지원 기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부산 지역의 교육 행정 총괄 기관.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부산 지역의 교육,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63년 1월에 부산시가 직할시로 승격됨에 따라...
-
부산광역시의 남부·동래·북부·서부·해운대 구역을 담당하는 교육 행정 기관. 시도의 교육청은 교육감(敎育監)의 감독 아래 국가 행정 사무 중 시도에 위임된 교육·학예에 관한 업무를 집행하며, 1개 또는 2개 이상의 시·군·구를 관할 구역으로 하는 지역 교육청을 두고 있다. 지역 교육청은 시도 교육청의 하급 교육 행정 기관으로, 교육장[3급 상당]의 감독 아래 시도의 교육·...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부산 남부 지역 유치원과 초·중·고교를 관리하는 교육 행정 기관. 교육인구의 증가와 행정 구역의 확대로 인해, 교육 행정의 원활화와 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부산직할시 교육위원회[현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지역 산하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1981년 2월 28일 개정된 「서울특별시·직할시·도의 교육 위원회 직제」[대통령령 제10221호]에 의...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교육 행정 기관. 부산광역시 동래교육지원청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 등 3개 구의 교육과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교육 행정 기관. 부산광역시 북부교육지원청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북구, 강서구 등 3개 구의 교육과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교육 행정 기관. 부산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은 부산광역시 서구, 사하구, 영도구, 중구 등 4개 구의 교육과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교육 행정 기관. 부산광역시 해운대교육지원청은 부산광역시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의 교육과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6년...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의회 중 상임 위원회로서, 교육·학예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사·의결하기 위한 위원회. 부산광역시 의회 교육위원회는 부산광역시 교육청에서 제출된 각종 의안과 청원, 심사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된 준독립형 의결 기관이다. 부산광역시 의회 교육위원회는 기본적으로 지방 분권의 원칙에 입각하여 지역 주민들의 교육에의 참여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청소년 대안 교육 프로그램 운영 기관. 대안교육지원센터는 「초·중등 교육법」 제28조,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 제54조 및 제105조에 의거하여 기존 정규 학교 교육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 학업 중단 위기 학생 및 재소·입원 등의 특수한 환경에 있는 학생을 대안 학교 위탁 기관에 위탁 교육함으...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부산교육대학교 내에 있는 방과후학교를 지원하는 센터. 부산방과후학교지원센터는 방과후학교의 강사와 강좌의 질 관리를 위하여 2010년 3월에 설립되었다. 부산방과후학교지원센터는 수요자 중심의 단위 학교 자율 운영, 지역 사회의 연계 협력이라는 목표 아래 프로그램의 질을 제고시키고, 우수 강사 발굴·육성, 취약 계층 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소속 특수 교육 지원 기관. 지역이 중심이 되는 분권화된 특수 교육 지원 체제 구축을 위해 부산특수교육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 특수 교육 관련 서비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을 통한 장애 학생 교육 복지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2007년 3월 1일 부산특수교육지원센터가 문을 열었다. 특수 교육 지원 센터는 시 교육청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었던 학부모 교육 지원 기관. 부산학부모지원센터는 학부모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 인프라를 극대화하고 학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학교 참여 등을 지원함으로써 학부모 지원 사업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4년 3월 19일 전국 최초로 학부모 대상 교육 기관으로 학부모교육원이 개원하였다. 2010년 1월...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대안 교육 협의 단체. 부산경남대안교육협의회는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대안 교육 관련 학교나 단체들이 서로 협동하여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교류하며 연대를 통해 대안 교육의 활성화와 교육 혁신에 기여하여 교육의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목적이다. 2007년 5월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시립 유아 교육 지원 기관. 부산광역시 유아교육진흥원은 유아 전용 체험 놀이 학습장을 통하여 유아들의 전인 발달을 도모하고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유아 교육 관련 정보 공유 및 유아 교육 진흥 등을 통한 행복하고 건전한 사회 조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2007년 3월에 「부산광역시 행정 기구 설치...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시립 영재 교육 기관.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은 영재 교육 관련 정책의 개발과 각종 자료의 개발 보급 및 각종 연수를 통해 영재 교육 기관의 운영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영재 교육의 진흥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3년 1월 1일에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 설립 및 운영 조례」가 제정[조례 3822호]되었고, 200...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무원 교육 훈련 기관. 부산광역시 인재개발원은 ‘창의, 열정, 도전으로 일류 부산을 선도할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에 맞추어 지역 성장을 견인하는 공무원의 직무 능력 향상은 물론 다양화와 고급화되고 있는 시민들의 행정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 과정 운영 등 지역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4년 10...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에 있는 국가 인재 개발 기관. 해양수산인재개발원은 수산 관계 공무원과 어민에게 지식과 기술을 습득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8년 12월 26일 수산청 산하 국립수산기술훈련소로 부산직할시 영도구 남항동 2가에 개설되었다. 1989년 12월 8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의 현 청사로 신축 이전하였고, 1991년 6월 19...
연구소·학회
-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정치학 관련 학술 단체. 21세기정치학회는 1970년 발족한 한국정치학회 부산분회를 모태로 부산·경상남도 지역의 정치학자들을 중심을 설립되어 전국적 규모로 성장한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학술 단체이다. 등재 학술지인 『21세기정치학회보』를 발간하고 있다. 21세기정치학회는 정치학의 연구 및 발표를 활성화하고 회...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4가에 있는 학교 법인. 덕원학회(德元學會)는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기독교 정신을 토대로 중등 및 고등 보통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3년 4월 23일 원자화학약품양행의 전 재산을 기증하여 덕원중학교·덕원고등학교 설립기성회를 김이현, 강호, 김영범, 강풍산, 이종태, 김덕봉, 박영호 설립 위원을 중심으로 결성하였다....
-
일제 강점기 동래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이 설립한 한글 연구회. 3·1 운동 이후 조선에는 각종 문화 단체들이 창립되었다. 일본어 교육에 반발하여 한글을 지키고 한글 교육을 통하여 조선인들을 계몽시키기 위한 단체들도 생겨났다. 그 중 조선어연구회는 1921년 장지영(張志暎) 등이 중심이 되어 서울 휘문의숙에서 처음 설립되었다. 한글 계몽 순회강연을 열고 학회지를 발간하는 등 여러 가지...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설 연구 단체. 민주주의사회연구소는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지역의 민주주의 의제를 정립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과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2000년 민주 공원 부설 연구소로 창립된 이후, 2004년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설 연구소로 변경되었다....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에 있던 부산 최초의 바이올린 교육 기관. 바이올린연구소는 일제 강점기에 음악가로서의 꿈을 가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바이올린과 음악 이론 등을 가르침으로써 부산 출신의 전문 음악인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3년 부산 음악계에서는 여러 교육 기관들이 발족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음악 분야의 교습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는...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3동에 있는 부산·경상남도 지역의 비영리 역사 연구 단체. 부경역사연구소는 부산·경상남도의 역사 연구자와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우리 지역 역사를 체계적이고 올바르게 연구하고 그 성과를 대중과 함께 함으로써, 지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드높이고자 설립하였다. 1992년~1993년까지 연구소 설립을 위한 준비 모임 및 창립 준비 보고 대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학교 교육 지원 기관. 부산광역시 교육연구정보원은 연구와 정보, 진로 진학 상담 분야의 질 높은 지원 체제로 종합적인 학교 교육 지원을 통해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인재 육성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2002년 2월 19일 설립한 부산광역시 교육정보원을 2003년 부산광역시 교육연구정보원으로 개편하고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에...
-
1997년 부산 지역에 설립된 민간 교육 연구소. 부산교육연구소는 교과 연구를 위한 교육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여 회원인 교사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부산 지역 교사들의 연구 역량과 교육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부산교육연구소는 1997년 5월 10일 부산 지역 교사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1999년 9월 ‘사단법인 부산교육연구소’로 법인 설립을 하였다....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에 있는 천주교 전문 연구소. 부산교회사연구소는 부산 지역의 천주교 교회사를 연구하고, 서울에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 천주교 연구에 관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지역 안에 있는 다른 종교 간의 연구를 통해 학문적 일치를 모색하고, 지역 천주교인들에게 성지 연구와 역사를 가르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출연 지방 연구원. 부산연구원은 「지방 자치 단체 출연 연구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법률 제11398호, 2012. 3. 21]과 「부산발전연구원 운영 및 지원 조례」[조례 제4625호, 2011. 6. 8]에 의거, 지방화·세계화 시대를 맞아 세계로 열린 환태평양의 거점 도시인 부산을 중심으로 한 부산광역권...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던 음악 교육 기관. 부산음악연구소는 음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가르침으로써 당시 부산 지역의 음악 연주 활동 및 음악 문화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부산음악연구소는 경상남도 김해 출신으로 해방 후 부산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바이올리니스트 배도순(裵道淳)에 의해 1947년 5월에...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특수 치료 연구 기관. 부산특수치료교육연구원은 발달 장애 아동들에게 시기적절하고 입체적인 치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1월 18일에 설립되었다. 2009년 4월에 바우처 사업[아동 치료 바우처, 문제 행동 조기 개입 바우처, 문화 바우처 등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가 시민의 생활 보호 및 지원을 위하...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가에 있던 부산 최초의 성악 연구소. 일제 강점기 음악에 관심이 있는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성악과 음악 이론 등을 가르침으로써 지역의 전문 성악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성악연구소는 김동춘(金東春)에 의하여 1943년, 지금의 신창동 대각사(大覺寺)[당시 일본인의 동본원사(東本願寺)] 안에 있는 유치원에 세워졌다. 1943년은 부...
-
해방 직후 부산에서 국어를 보급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회. 일본 식민지 통치자들이 한국인의 민족혼을 빼앗기 위하여 한국어의 사용과 교수를 금하고, 일본어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우리의 한글을 아는 이도 쓰는 이도 적어져 민족정신을 흐리게 하였고, 자주 독립 사상을 좀먹게 하였다. 이를 우려한 선각자들은 일제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우리글과 말의 계도와 보급에 전력하였으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퇴계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계승하는 연구원.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비롯한 선현들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 계발하여, 정신문화 창달과 도덕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후진들에게 유교의 기본 정신을 전수하여 계승해 나가도록 하며, 인성 교육과 도덕 교육을 통해 세상을 올곧게 살아가도록 한다. 1982년 3월 27일...
-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에 있던 부산 최초의 피아노 교습소. 일제 강점기에 음악에 관심이 있는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피아노와 음악 이론 등을 가르침으로써 지역의 전문 음악인을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피아노연구소는 일본인 우츠노미야[宇都官辛三]가 당시 일본인 거주 구역인 서정(西町), 지금의 중구 신창동에서 1943년에서 1945년 8월 15일에 일본이 패망...
교육 단체
학교 법인
-
「사립 학교법」에 따라 학교의 설치와 경영을 목적으로 설립된 부산 지역의 공익 법인. 8·15 광복 후 급증하는 교육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부산 지역에서도 많은 사학이 설립되었으며, 사학의 설립은 「사립 학교법」에 따라 학교 법인의 설립이 필요하였다. 광복 이후 많은 학교가 설립된 것은 육영 사업에 뜻을 둔 사람이 많았고, 피란민과 지방민의 도시 유입 증가로 취학 희망 학생이 늘었...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금성고등학교·덕문여자고등학교·금성중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중등 보통 교육 및 고등 보통 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금성학원(錦城學園)의 전신은 경남노회 기독교교육학원이다. 경남노회 기독교교육학원에서 1948년 금성중학교를 인수하고 1954년 금성고등학교를 개교하였다. 그리...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대명여자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대명학원(大明學園)은 여성 교육의 중요성과 후학 육성에 남다른 의지와 깊은 뜻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1985년 8월 6일 대명학원을 학교 법인으로 설립 인가 승인을 받은 후 초대 이사장으로 황석동이 취임하였다. 1986년에 대명여자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일본의 대학과 자매결연을 하여 학생...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광명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우리나라가 1910년 국권 피탈을 당하고 난 이후에, 의분을 금치 못하던 수많은 구국 지사들과 나라를 잃은 백성들이 고향을 등지고 두만강을 건너 중국 지린 성[吉林省] 연변 땅으로 이주하여 용정(龍井) 지역을 중심으로 항일 투쟁과 독립운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국권 회복을 위해서는 교육을 통한 민족정기를...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에 있는 남성초등학교와 남성여자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김길창 목사는 “교육 없이는 전도도 없고, 교육 없이는 애국도 없으며, 교육 없이는 소망도 없다.”는 교육 철학과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사학 재단을 설립하였다. 1941년 5월 1일 김길창 목사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 184번지에 경남성경...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범어사 종립 학교 법인. 금정학원은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입각하여 ‘불타의 자비 정신으로써 인격이 완전하고 애국정신이 투철한 민주 국가의 국민을 양성하고자 중등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건학 이념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1916년 3월 15일에 범어사(梵魚寺) 침계료에 지방 학림을 개설하였으나 재학생의 독립 운동 참가로 191...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부산구화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청각 장애아와 발달 장애아를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교육하여, 발달 장애아를 자립할 수 있는 사람으로 기르고 청각 장애아에게는 철저한 청각 구화식 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1966년 3월 16일 성보(省步) 이종수 장로가 청각 장애아에게 구화식 농교육(聾敎育)을 실시하기 위해 부산구화학원을 설...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동인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1876년 강화도 조약에 의한 부산의 개항 이후 개화의 물결 속에서 민족 교육의 의지를 지켜 오던 동래 향교는 끊임없는 시련 속에서 1908년 5월 28일에 사립 명륜학교를 설립하여 신교육의 의지를 펼쳤다. 그러나 식민지 사회에서 절조(節操)의 전통 정신으로 인해 재정적 압박과 관권의 시련을 견디지 못하...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대덕여자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익재(益在) 이상악(李柤岳)은 1970~1980년대 부산 사상 공업 단지의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살고 있는 주민들을 보고 후세 교육에 보탬이 되어야겠다는 신념으로 모든 사재(私財)를 털어 대덕학원(大德學園)을 설립하였다. 건학 이념을 ‘대덕백익천(大德白益天)’으로 하였다. ‘대(大...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성도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인재 양성과 기독교의 사랑 전파’이다. 1975년 5월 31일 성도학원[이사장 김상훈]을 인가받았다. 1976년 12월 1일 성도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78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학교 시설 확충 등으로 인해 학교 운영에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하여 1987년 5월 31일 이사장이...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에 있는 대저중학교와 부산대저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대저학원(大渚學園)은 국가의 장래는 인재 양성에 있다는 인식 하에 부산의 낙후된 전원 지역에서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맞는 중등 보통 교육과 고등 보통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부산의 사학 법인인 명인학원은 경영하고 있었던 대저중학교, 부산대저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서 동의대학교와 동의과학대학교 등 4개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1960년대 후반은 교육인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교육 시설이 부족하여 기능 인력의 양성이 시급하였다. 석당 김임식 전 이사장은 동의지천(東義知天)의 건학 이념 하에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후세 교육과 인력 개발에 있다는 교육입국(敎育立國)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동의학원(東義學園)을...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삼성중학교와 삼성여자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삼성학관(三聖學館)은 1947년 설립자인 강대석[장로]이 어려운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설립한 애아원에서 시작되었다. 해방 후의 혼란 상황에서 부모가 없는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 설립한 애아원은 6·25 전쟁을 거치면서 원생들이 급증하게 되었다. 애아원 원생들이 학교 진학에 어려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해운대고등학교와 해운대중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동해학원(東海學園)은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중등 보통 교육과 고등 보통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1967년 12월 21일 경상남도 함안군 출신의 재일 교포 조무조가 동광학원을 학교 법인으로 설립하고,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76년 8월 14일 학교 법인...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서 경일고등학교와 경일중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1950년대 명지 지역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많고 교육 환경이 열악하여 지역민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이때 지역 유지들이 뜻을 모아 대한민국의 근본이념에 의거하여 중등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명지학원(鳴旨學園)을 학교 법인으로 설립하였다. 1950년 6월 15일 김민두가 경상남...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부산은애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장애 아동들의 조기 교육과 실생활 교육을 통하여 미래 훌륭한 사회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특수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1993년부터 조기교육원을 개원하여 장애인 교육을 해 오다, 1998년 2월 15일 허종실(許宗實)이 목은학원(牧隱學園)을 학교 법인으로 설립 인가 받아 부산은애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부산진여자고등학교와 양정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한 중등 교육을 실시하되 민족 발전의 원동력이 될 인재를 육성한다.”이다. 1955년 2월 28일 인가를 받아 설립된 성신학원[설립자 김한수]을 신길수가 인수하여 1973년 10월 29일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인수 당시 성신학원이 운영하고...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신라대학교와 신라중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1952년 전시 체제에서 전후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여성들에게도 질 좋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신념 아래 홍익인간의 정신과 박애 육영의 이념을 구현하고, 창의적인 학문 연마와 미래 지향적인 문화 창조를 통해, 인간을 사랑하고 사회에 봉사하며, 조국의 미래를 선도하고, 나아가 인류...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배정고등학교와 부산경영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교육은 인간의 존립과 번영을 위해 필요 불가결한 조건임에도 36년 동안 일제에 강점되어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기회는 상실되고 식민지 노예 교육으로 일관되었다. 광복 이후 교육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와 같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고, 인재 육성을 통해 국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겠...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보천학원(甫泉學園)은 대한민국 교육 이념에 기하여 중등 교육을 실시하며, 앞날을 내다보며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참된 일꾼을 기르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3년 11월 13일에 동주학원[이사장 박수용]이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2가 87번지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문기 제...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와 부일외국어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최초 설립 목적은 ‘교육의 근본이념과 기독교 정신에 기한 고등 보통 교육과 실업에 관한 전문 교육’이었으나, 정관의 변화로 인해 현재 설립 목적은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한 중등 교육을 실시함’이다. 1951년 5월 30일 명덕육영회[설립자 윤효량]가 재단 법인으로 설립...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사직여자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슬기롭고 예절 바른 부덕을 함양하여 자아를 실현하고 국가 발전과 인류 공영에 이바지하는 창조적 여성을 육영한다.”이다. 설립자인 고 석파(夕波) 박봉갑은 학업을 계속할 수 없었던 자신의 어려운 가정 환경을 경험으로 장차 이 나라를 이끌어 갈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경제 활동을...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는 부산삼육초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 및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유아, 초등, 중등 및 고등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1944년 8월 30일 선교사인 원륜상이 자동의숙을 재단 법인으로 설립하였다. 1959년 6월 16일 자동의숙에서 삼육학원(三育學園)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동주대학교와 동주여자고등학교 등 4개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석파학원(石波學園)은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중견 직업인 양성에 관한 직업 고등 교육과 유아 교육 및 중등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7년 7월 30일에 정종섭이 산업 인재를 육성할 목표로 동주여자전문대학을 설립하기 위하여 사재를 출연하여 석...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선화여자중학교와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를 운영 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1960년대 후반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여성 교육의 질적 향상’이다. 1953년 10월 13일 재단 법인으로 설립 인가를 받은 초량동의 새한의숙[이사장 박기출]을 1964년 10월 1일 인수하여 선화학원(善花學園)[이사장 남기열]으로 변경하였다. 1965년 2월...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서 부산가톨릭대학교·대양전자정보고등학교·데레사여자고등학교·성모여자고등학교·지산고등학교의 5개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마리아의 전교자 성프란치스코수녀회 수녀들이 육영 사업 일환으로 가톨릭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교육 실시 및 인재 양성을 하기 위해서 설립하였다. 1958년 6월 마리아의 전교자 성프란치스코수녀회를 천주교 부산교구에 창설한...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부산외국어대학교와 성지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육영 사업에 관심이 높았던 고 정태성 박사가 학교 교육이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신념으로 지식 습득과 인격 함양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59년 12월 24일에 성창학원을 재단 법인으로 설립하여 1960년에 성지고등기술학교를 설립하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대연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성실하고 예의 바르며 웅지를 품고 진로를 개척하는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동량지재(棟梁之材)의 육성’이다. 1986년 5월 9일 승웅학원(承雄學園)을 학교 법인으로 인가받아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670-4번지에 설립하였다. 설립자 양용치가 ‘젊은이들이 촌음을 아껴 지식과 슬기를 갈고 닦아 몸과...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금정전자공업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조국 근대화의 지름길에서 점진적인 번영과 새 시대의 알찬 일꾼을 배양하기 위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민주 시민의 긍지를 살리면서, 일반 정규 학교가 다하지 못하는 불우아의 진학과 선도에서 안으로는 자아 완성과 더불어 밖으로는 교육적 성장을 다짐하며 참되게 배울 수 있...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부산정보고등학교와 영남중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설립 목적은 “정직한 삶의 자세로 남에게 신뢰받는 인간, 자신의 맡은 일에 소신을 갖고 책임 있게 처리할 줄 알고 공익을 중시하는 사람을 육성”이다. 한의사 제도의 법제화와 대한한의사협회를 설립한 고 이우룡(李羽龍)이 6·25 전쟁 시기에 미래 사회의 소중한 자산은 교육이라는 신념으로...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불교 종립 학교 법인. 영축학원은 부처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우주 만유의 상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로운 사람을 길러 내며,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자비 정신을 바탕으로 정토 사회의 구현과 인류 문화의 창달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에 뜻을 두고 설립되었다. 1932년 1월에 대승불교의 정수인 『법화경(法華經)』의 교의를 기초...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부산예술대학교와 동천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동학 천도교의 사상과 3·1 독립 운동 정신을 계승하여 인내천(人乃天) 사상의 천도교 이념에 따라 민족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안관성 초대 이사장이 전 재산을 바쳐 설립하였다. 원곡학원(圓谷學園)은 1978년 8월 8일 설립 인가를 받...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종립 학교 법인. 원효학원은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중등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불타의 자비 정신으로 인격이 완전하고 애국정신이 투철한 민주 국가 국민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5년에 원효학원이 설립되었다. 1946년 4월 8일 원효학원은 부산시 영도구에 불교경남교무학원[현 해동중학교...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경혜여자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고등 보통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1984년 11월 1일 오전 10시 태양학원 창립 이사회를 개최하였다. 이사장 송금조를 선출하고, 감사에 정정표, 송가호를 각각 선임하였다. 1984년 11월 학교 법인 설립 허가 신청을 하여 1985년 2월 21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학산여자고등학교와 학산여자중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불교 정신을 토대로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기하여 중등 여성 교육의 기회 확대를 통한 사회 공헌과 엘리트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1년 8월 6일 학산학원(鶴山學園)을 학교 법인으로 만들고 이와 같이 학산여자중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84년 12월 17일 학산여자...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경성대학교를 경영하는 학교 법인. 한성학원의 전신인 경남대학교육원의 설립 목적은 ‘본 대학은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기하여 대학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범대숙을 유지·경영한다.’이다. 이후 한성학원의 설립 목적은 ‘이 법인은 기독교 복음을 토대로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기하여 대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항도중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해방 이후 나라의 발전은 오직 ‘배움’에서 시작됨을 인식하고 교육 사업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인간 사랑을 바탕으로 기본적 교육에 충실하고, 지식 기반 사회를 이끌 인적 자원을 개발, 육성하고자 설립되었다. 1949년 10월 20일 항도학원(港度學園) 설립 인가 및 항도중학교 인가를 받아 김의교 초대 이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부산여자대학교와 혜화여자고등학교 등 6개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혜화학원(惠花學園)의 설립자 정상구는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에 의거하여 전통적인 충효 정신과 예의범절의 근본인 다도 정신을 기초로 한 고등 교육, 중등 교육 및 초등 교육으로 인재를 양성하고자 설립하였다. 1954년 12월 6일에 덕명학회가 재단 설립 인가를 받아...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부산천사의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진성학원은 하나님의 박애 정신을 뿌리로 한다. 「교육 기본법」 및 「특수 교육 진흥법」에 의거하여 발달 장애 유아가 심신의 장애를 치유하고 전인적인 발달을 하도록 돕는다. 2001년 1월 18일 진성학원을 설립하였다. 2001년 1월 20일 부산천사의학교 설립인가를 받아 3월 2일 개교하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동래여자고등학교와 동래여자중학교 등을 운영하는 학교 법인. 호주 장로교 선교회 여자전도부가 1895년에 세운 기독교계 동래일신여학교가 폐교 위기에 처하자 이를 인수하기 위하여 오태환(吳泰煥), 김명오 등 동래 지역 유지들이 1940년에 설립한 학교 법인이다. 일제 강점기 말이라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 여성 교육을 통하여 지방 교육...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브니엘고등학교와 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 등 4개교를 운영하는 학교 법인. 정선학원(正善學園)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중등 교육을 실시하며, 품성을 정진시키고 교회와 사회에 유익한 인재를 육성하고자 설립되었다. 정선학원은 브니엘학원을 모태로 하고 있다. 브니엘학원은 미국 중아선교회[VOCA] 소속 박성기 목사에 의해 19...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불교 총지종의 종립 학교 법인. 관음학사는 불법(佛法)을 생활화하고, 교육을 통하여 건전한 정신과 인격을 도야하며 국가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총지종(摠持宗)에서 1967년 3월 25일에 화봉학원을 설립하였다. 총지종은 원정대성사가 개종하였고, 진언염송 수행을 강조하는 진언 밀교의 정통 수...
장학회·기성회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장학 재단. 고화장학회는 장학 사업을 통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뜻을 잃지 않고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여 대한민국과 세계 인류를 위해 공헌할 수 있는 일꾼을 양성하고자 설립되었다. 1985년 11월 7일 고화장학회 설립 인가를 받아, 부산직할시 남구 용당동의 동명대학교 내에 설립하였다. 최초 자본금은 현금 8,0...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장학 재단 법인. 설립 목적은 학업 성적이 우수하고 모범적인 청소년을 발굴하여 지역 사회 및 국가 발전에 헌신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1991년 3월 25일 관음사 신도 정재선 외 11명의 불자들이 1억 400만 원의 기금을 모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장학회를 설립하였다. 2003년 12월 22일 당리동의 관음사 경내로 이전하고,...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장학 단체. 금정장학회는 출가자와 재가자가 함께 하는 새로운 신행 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불교 지도자를 육성하며 수행 정진하는 승려들을 뒷받침하고 청소년 인재 육성을 위한 장학 사업과 불교학의 연구, 증진을 통하여 불교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5년 7월 31일 금정장학회 설립을 발기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장학 재단. 동래장학회는 사회 일반의 이익에 공여하기 위하여 공익 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국가의 발전과 민족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육성과 교육 여건 개선 사업을 목적으로 한다. 동래장학회는 2007년 11월 「부산광역시 동래구 재단법인 동래장학회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된 것...
-
부산의 기업가 김지태가 1959년 1월에 설립했던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설립된 장학회. 정수장학회의 전신인 부일장학회와 5·16 장학회 및 정수장학회는 모두 장학 사업을 위해 설립되었다는 점에서는 설립 목적이 거의 동일하다. 『부산 일보』의 사고(社告)를 보면 “취학의 기회가 경제적 제한을 받을 수 없다 함은 오늘날 사회 체제에 있어서 당연히 보장되어야 할 사회...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장학 재단 법인. 김전(金全)은 친환경 및 상하수도 분야 발전과 학술 연구 및 학업에 대한 열의가 뛰어난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김전’은 한국주철관공업의 창업주인 김일렬·전용환 두 명의 성을 딴 것이다. 1976년 7월 1일 한국주철관 김전장학회로 부산직할시 남구 감만동에 설립하였으며, 초기 자산은 5000만 원이었...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장학 재단. 설립 목적은 기업 이윤을 스스로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함이다. 1980년 5월 태창기업 회장 황래성[1997년 4월 사망]이 일맥장학회[1975년 2월 창원에 설립]를 기반으로 장학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초량동에 설립하였다. 1981년 3월 기존 창원 지역에 대한 장학금 지원을 서울·부산·경상남도 지...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던 사립 남선대학 설립을 위해 조직된 기성회. 개항 이후 신식 교육에 대한 민중의 열망은 매우 강렬하였으며, 이는 일제 강점기 동안의 식민지 차별 교육을 통해 더욱 절실해졌다. 당시 조선인에게 초등 교육 외 고등 교육의 기회는 제한적이었고, 그나마도 실업 교육에 치중된 것이었다. 따라서 해방 이후 고등 교육에 대한 부산 시민의 요구는 뜨...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3가에 있던, 해방 직후 민립 대학 설립을 위해 조직된 기성회. 개항 이후 신식 교육에 대한 민중의 열망은 매우 강렬하였으며, 이는 일제 강점기 동안의 식민지 차별 교육을 통해 더욱 절실해졌다. 당시 조선인에게 초등 교육 외 고등 교육의 기회는 제한적이었고, 그나마도 실업 교육에 치중된 것이었다. 따라서 해방 이후 고등 교육에 대한 부산 시민의 요...
학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재수 종합 학원. 대성학원 부산본원은 서울과 부산의 교육 역량 차이를 줄이고, 부산과 경상남도의 우수한 학생들에게 고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대성학원 부산본원은 1965년 설립된 대학 입시 전문 기관인 대성학원의 부산본원으로 2008년 8월 개원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대성학원 부산본원...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가에 있던, 부산 지역에서 처음으로 개설된 서예 학원. 1955년 당시 안과 의사였던 운여 김광업, 청남 오제봉, 그리고 대각사(大覺寺) 주지였던 맥문 김홍경 등 3명 정도가 서예의 대가로 알려져 있었을 뿐, 부산 지역은 서예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이에 김광업과 오제봉, 김홍경이 서예의 후진을 양성하고자 뜻을 모아 동명서화원을 설립하였다. 19...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에 있던 부산 최초의 근대식 음악 전문학교. 부산음악학원은 해방 후 음악가로서의 꿈을 가진 부산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근대 음악 교육을 통하여 전문 음악인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8년 김학성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그 실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지만, 당시 일간지 개원 광고를 통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종합 입시 학원. 부산종로니드학원은 서울과 부산의 교육 역량 차이를 줄이고,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우수 자원에 대해 고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부산종로니드학원은 2006년 전국 최초의 지방 캠퍼스로 언양 기숙 캠퍼스와 함께 개원하였다. 2010년 12월에는 부산종로니드학원 북구 두학점이 개원하여 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외국어 전문 어학원. 파고다어학원은 글로벌 교육 기업으로서 최적의 언어 교육 서비스와 콘텐츠,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69년 서울 종로에서 파고다어학원이 설립되었으며, 부산파고다어학원은 1997년 부산 서면 사옥을 인수하면서 설립되었다. ‘I Can Do It’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