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
부산광역시에 있는 공공 도서관 시설. 도서관은 많은 도서와 전자책, 정보 매체, 디지털 자료 등을 수집·보관하고 일반인에게 열람시키는 시설이다. 이는 학교 도서관, 공공 도서관으로 구분된다. 학교 도서관은 개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다양한 정보 자료를 제공하여 교수, 학습 과정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시설이다. 공공 도서관은 부산 지역에 있는 지방 자치 단체가 설...
-
부산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및 이에 준하는 각종 학교에 설치된 도서관. 학교 도서관은 부산이 임시 수도였던 1950년대 초의 6·25 전쟁 시기에 최초로 설치되었다. 이후, 학교 도서관은 ‘학교의 교육 과정에 맞는 장서를 구축하여 학교 구성원의 교수 학습 활동과 독서 활동, 문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등 각급 학교에 설치되었다....
-
부산 지역에서 사회생활 및 문화 향상에 이바지하도록 운영하는 작은 도서관 시설. 작은 도서관은 국민의 지식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생활 친화적 도서관 문화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부산의 자치 단체, 법인, 단체, 개인 등이 운영하는 도서관이다. 2000년부터 부산의 시립 도서관 10개[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제외]에서 1개소 이상의 평생 마을을 운영하도록 하여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부산·울산·경상남도 지역 도서관 연합체. 한국도서관협회 부산울산경남지구협의회는 지역 도서관 진흥과 지역 회의 문화 창달에 공헌하기 위해 한국도서관협회 산하에 설립되었다. 1963년 3월 9일 부산지구 도서관협의회가 설립되었고, 1964년 7월 18일에 경남지구 도서관협의회와 통합해서 부산경남지구 도서관협의회를 발족하였다. 196...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시민 단체 희망세상이 주축이 되어 반송 지역에서 마을문고로 출발하였다. 이후 2006년 11월 22일 희망세상이 책 읽는 사회 문화 재단 주최의 ‘희망의 작은 도서관 만들기’ 사업에 선정되어, 2007년 1월부터 지역 주민 모금 활동과 기금 조성 활동을 시작하였다. 2007년 4월 문화관광부의 문화 공간 조성 사업에 선정되...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사립 공공 도서관. 부산북구공동육아협동조합 조합원과 어린이도서연구회[현 어린이책시민연대] 서부지회 회원들이 주체가 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마을 도서관을 만들자는 논의가 발전하여 2005년 7월 4일에 첫 준비 모임을 시작으로 개관을 위해 준비하였다. ‘맨발 동무’라는 이름은 시인 동천 권태응(權泰應)[1918~1951]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강서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97년 9월 25일 도서관 건물을 준공하고, 1998년 1월 8일 개관하였다. 2002년 10월 1일에 디지털 자료실을 설치하였다. 1...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금정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하여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93년 금정구에 시립 화장장[현 영락 공원] 건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지역 주민의 혐오 시설에 대한 반대 의견이 높아지자, 부산시가 금...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기장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2003년 1월 2일 준공하여 2월 28일 개관하였다. 2007년 4월 24일 기장꿈나무어린이도서관이라는 어린이 도서관을 단독 건물...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남구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95년 3월 31일 도서관 신축 인가를 받아, 6월 1일에 착공하였다. 1996년 12월 27일 준공하여 1997년 7월 1일 개관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동구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96년 12월 30일 도서관 신축에 대한 인가를 받았고, 1997년 12월 29일 도서관 직제에 대한 승인을 받아 건립이 결정되었다. 1...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부산 최초의 민간 유치 사업[BTL; 민간 자본에 의해 준공되고 약정된 사용 기간 동안 임대료를 지불한 다음 소유권이 이전되는 방식]으...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디지털 도서관. 부산광역시 북구디지털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지방 자치 단체로서는 처음으로 정보화 기반 조성을 위한 디지털 도서관 기능 수행에 중점을 두고 북구청이 건립하였다. 부산광...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2001년 11월에 건물 공사에 착공하였고, 2003년 2월에 부산광역시 조례에 의해 설립이 결정되었다. 2002년 11월에 도서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2010년 2월 25일에 준공하여, 3월 19일에 개관하였다. 2011년에 부산광역시 평생 학습관으로 지정되었다. 2012...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 수영구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2002년 1월 31일에 구 해운대 교육청 부지를 매입하여, 4월 8일에 도서관 건립을 위한 개·보수 공사를 시작하였다. 2002년 6월...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수영구도서관의 분관. 부산광역시 수영구도서관 망미분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2009년 7월 1일에 수영구 망미동의 망미동주민자치센터 복합 청사에 부산광역시 수영구도서관 망미분관으로 개관...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1994년 1월 24일에 도서관 설치를 위해 구 대양중학교 부지를 선정하여 부산시로부터 무상 사용 승인을 받았다. 1995년 3월 9일 개보수 공사를 시작하였다. 1996년 4월 10일 부산시 조례에 의해 설립이 결정되었다. 1996년 7월 1일 부산광역시 영도도서관으로 영도구 남항동에 부산 최초의 자치구 도서관으로 개관하였...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시립 도서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1978년 1월 16일 부산직할시립구덕도서관으로 건립되어, 3월 28일 개관하였다. 1992년 1월 1일부터 입관료를 무료화하였으며,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립구덕도서관으로...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1983년 7월 19일 부산직할시립구포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0년 11월 25일 부산광역시 평생 학습관으로 지정되었...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부산광역시립명장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93년 2월 17일 도서관 건물 신축 공사를 착공하였고, 1994년 1월 25일 부산직할시 조례에 의해 설립이 결정되었다. 1993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부산광역시립반송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78년 1월 6일 부산시 조례에 의해 설립이 결정되어 동년 3월 28일 부산직할시립반송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95년 1월 1일 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1982년에 부산직할시립부산도서관[현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이 부산진구 초읍동 새 청사로 이전이 결정되면서 기존의 건물을 도서관으로 사용하기로 하였고, 1982년 4월 8일에 부산직할시립부전도서관 설립이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1982년 8월 17일에 부산직할시립부전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95년 1월 1일에 부산광역시립...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84년 7월 5일에 부산시 조례에 의해 설립이 결정되었다. 1984년 7월 27일에 준공하여, 1984년 9월 25일에 부산직할시립사하...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1983년 5월 18일에 부산직할시립서동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95년 1월 1일에 부산광역시립서동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6년 6월 14일에 종합 자료실과 어린이실을 설치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최초의 시설은 1910년 한일 합방 이전 일본인이 한국에 설치한 4군데 도서관 중 한 곳인 부산 도서 구락부(釜山圖書俱樂部)[1901년]...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부산광역시립연산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86년 9월 27일 부산시 조례에 의해 설립이 결정되어 1987년 3월 6일 부산직할시립연산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87년에 종합 자...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에 있는 시립 도서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87년 12월 16일 내무부 특별 지원 사업 계획에 의거하여 설립이 추진되었고, 1988년 10월 17일 도서관 건물 공사에 착공하였다. 1989년 8월 17일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의 분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분관 부산영어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영어 자료 제공과 독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영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영어 독서 문화의 확산을 위해 건립되었다. 전국 최초의 영어 전용 도서관으로 2009년 7월 1일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개관하였다.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분관...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의 분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수정분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부산시립도서관의 동래분관[1968년, 동래구 복천동]에 이은 두 번째 분관으로 건립이 결정되어 1976년 1월 22...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1982년 6월 10일 부산직할시립해운대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87년 8월 18일에 전면 개가제를 실시하였고, 1991년 12월 7일에 아동 열람실을 개설하였다. 1995년 1월 1...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의 분관.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이 해운대구 좌동으로 신축 이전함에 따라, 2010년 1월 6일 기존의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 부지에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 우동분관이 개관하였다. 1층은 서고와 사무 공간, 전 주제 분야의 일반 도서[총류·철학·종교·사회 과학·순수 과학·기술 과학·예술·어학·문학·역사]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사립 특수 도서관. 부산점자도서관(釜山點字圖書館)은 활자 매체로부터 소외된 시각 장애인들에게 점자, 음성, 각종 전자 기기 등을 통하여 문자 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시각 장애인의 독서와 교육, 여가 선용 등 교육 문화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83년 9월 5일에 시각 장애인 및 자원 봉사자 10여 명에 의해 설립되어,...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에 있는 놀이 체험 전문 도서관. 놀이와 축제 문화에 관한 실물, 자료, 모형 등을 소장함으로써 어린이들의 놀이 체험을 유도하고 놀이의 유익함을 배우게 하자는 의도에서 설립되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아동학 특성화 사업에 따라 부산여자대학 교육 서비스 문헌 정보과에 의해 기획·개관하였고, 산학 협력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산광역시 전문 도서관 2004-...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 2가에 있는 부산광역시 영도도서관의 분관. 영어 자료와 영어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사회 어린이들에게 영어 학습을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부산광역시 영도도서관의 분관으로 기존의 영도도서관을 리모델링하여 개관하였다. 영도구가 교육과학기술부가 주관한 ‘어린이 영어 도서관’ 시범 운영 공모 사업에 응모하여 선정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와 부산시교육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1998년 12월 30일에 도서관 신축 인가를 받아, 1999년 1월 4일에 착공하였다. 1999년 11월 6일에 부산광역시 조례로 도서관 직제가 승인되어 설립이 결정되었다. 1999년 10월 30일 준공하여, 1999년 11월 24일 해운대구 반여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2002년 8월 6일에 디지털 자료실을 설치하였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어린이 공공 도서관. 2003년 3월 20일 다우썸이 도서관 용도로 부지를 무상 기증하여, 2005년 6월 30일 도서관 건물을 착공하였다. 2006년 7월 1일 도서관 직제가 승인되었고, 2006년 10월 2일 부산광역시 조례로 설치가 결정되었다. 2006년 4월 28일에 준공하여, 10월 31일 해운대구 재송어린이도서관[부산 최초의...
박물관
-
부산 지역에 있는 공립·사립·대학 박물관. 박물관은 인간 환경의 물질적인 증거를 수집하고 보존하고 연구하여, 사회의 발전에 봉사할 수 있도록 전시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해서 연구·교육·과학에 이바지하는 비영리적이고 항구적인 시설이다. 우리나라에서 박물관이라는 정식 명칭을 가진 근대적인 시설이 나타난 것은 20세기로 접어든 이후이며,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의 발족에서 비롯되...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경성대학교에 있는 박물관. 경성대학교 박물관은 발굴 조사한 유물들을 전문 연구자들뿐 아니라 일반 학생도 이용하게 하여 학문 연구의 증진을 뒷받침하고 나아가 일반 시민 교육에도 일익을 담당하고자 1972년 설립하였다. 1972년 3월 부산직할시 영도구 영선동 소재 한성여자초급대학 박물관으로 발족하였다. 초대 박물관장은 황윤영이 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위치한 국립 박물관. 국립해양박물관은 세계 최초로 건립되어 운영 중인 종합 해양 박물관으로 해양 역사·인물, 해양 문화, 해양 산업, 항해 선박, 해양 영토, 해양 과학 등의 해양과 관련된 각 분야의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국민의 진취적인 해양 기상을 높이고, 해양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완공과 동시에 해양 강국의 랜드 마크가...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의 부산 동삼동 패총전시관. 동삼동 패총전시관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속된 전시관으로 부산 동삼동 패총(釜山東三洞貝塚)[사적 제266호] 유적에 위치하고 있다. 부산 동삼동 패총 유적은 남해안 지역 신석기 시대 전 기간에 걸쳐 형성된 유적으로, 남부 지방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유적이다. 동삼동 패총전시관은...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동아대학교 부속 대학 박물관.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은 건학 이념인 홍익인간에 바탕을 두고 ‘심오한 학술 이론과 그 응용 방법을 연구 교육하고 사회에 봉사하며, 자주 정신과 시민으로서의 품격을 함양함으로써 민족의 번영과 복지 사회 실현 및 인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이라는 대학 이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국의 고고, 역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동의대학교 부속 대학 박물관. 동의대학교 박물관은 건학 이념인 동의지천(東義知天)에 바탕을 두고 대학 박물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자 설립되었다. 한국의 고고, 역사, 민속, 예술, 자연 및 과학과 산업에 관한 여러 자료를 수집·정리·전시하여 한국의 전통적 고유문화를 이해하고 계승·발전시켜 학술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롯데 자이언츠의 역사를 기록한 박물관. 한국 프로 야구 원년 창단 멤버인 롯데 자이언츠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아 롯데 자이언츠 야구단의 역사를 보존하고 계승하고자 롯데 자이언츠 박물관을 건립하였다. 2009년 4월 4일 한국 프로 야구 개막일에 맞추어 개관하였다. 롯데 자이언츠 박물관은 주제에 따라 자이언츠의 영웅, 우...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박물관. 선찰대본산 범어사(禪刹大本山梵魚寺)는 영남의 3대 사찰 중 하나인 범어사[7세기경인 신라 문무왕 때 의상 대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는 설과 9세기 흥덕왕 때 창건되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음]에는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다양하고 수많은 불교 문화재가 안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592년(선조 25...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 박물관. 복천박물관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의 산하 박물관으로 사적 제273호인 부산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중심으로, 삼한 시대부터 삼국 시대까지의 부산의 역사를 보여 주는 고고 전문 박물관이다. 매장 문화재 조사, 학술 총서 간행, 특별전 및 학술 세미나 개최, 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동 부경대학교 내에 위치한 대학 부속 박물관. 부경대학교 박물관은 1984년 고고·역사와 해양·수산 분야 등을 중점적으로 발굴 수집하고 이를 연구, 전시하며 학생, 나아가 모든 일반인들에게 지역 문화의 계승과 우리의 문화유산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설립하였다. 부경대학교 박물관은 1984년 5월에 개관하여 오늘에 이르고...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있는 민속박물관. 1974년 「동래 야류」 기능 보유자 이남선(李南先)이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금강 공원 내에 부산 민속 예술관을 개관하고 민속자료를 전시하였다. 1993년 1월 1일에 부산정보대학[현 부산과학기술대학교]이 민속자료를 인수하였다. 1993년 2월 17일에 부산정보대학 민속박물관을 설립하고, 199...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립 역사 종합 박물관. 부산과 관련된 전통문화 자료의 수집과 보존, 연구 및 전시를 통하여 종합 박물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함으로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건립되었다. 1975년 11월 11일 신축 공사에 착공하여, 1977년 9월 30일에 직제 및 조례를 제정하였다. 1978월 1월 31일에 준공하여,...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부산대학교 부속 박물관. 부산대학교 박물관은 대학 박물관 설치령에 따라 부산·경상남도 지역의 문화재 조사 및 연구를 위해 1956년 3월 건립되었다. 이후 1963년 3월에 박물관 설치 인가를 얻어 1964년 5월에 개관하였다. 1979년 3월 증축되었다. 1993년 구(舊) 음악관으로 박물관 본관을 이전하고 원래의 건물은 박물...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어촌 민속 박물관. 부산어촌민속관(釜山漁村民俗館)은 우리나라 제1의 항구 도시이자 해양 수도인 부산 지역 어촌 문화의 정통성과 역사성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하여 부산광역시가 설립한 박물관이다. 부산을 비롯한 동남권 지역민에게 어촌을 중심으로 한 전통문화 향유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해양과 어촌에 대한 꿈과 비전을 심어주기 위하여 개...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부산여자대학교 내에 있는 차 전문 박물관. 부산여자대학교는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에 의거하여 전통적인 충효정신과 예의범절의 근본인 다도정신을 기초로 고등교육 실시를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이에 다도 교육을 뒷받침하고 다학(茶學)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茶) 박물관을 설립하고 다도에 관계되는 모든 다(茶) 도구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부산 지역 최초의 사립 박물관. 부산포민속박물관은 관장 김정민이 사재를 털어 수집한 민속자료를 한 자리에 모아 보존·관리·조사·전시함으로써,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계승 발전시켜 나가며 또한 지역 사회의 문화적 욕구에 부응하고자 2006년 5월 2일에 개관하였다. 2006년 5월 25일에 부산 지역 제3호 박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해양 자연사 박물관.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은 국내 최초, 최대의 해양 자연사 박물관이다. 세계 100여 개 국의 희귀종, 대형종, 한국 특산종 등 해양 생물을 중심으로 자연사 자료들을 수집·전시하고 있다. 사라져가는 다양한 해양 자연사 자료의 수집과 보존·조사·연구, 특별전 및 교육 활동을 통하여 해양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기회를...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신라대학교 내에 있는 대학 박물관. 신라대학교 박물관은 유적의 지표 조사, 발굴 조사, 학술 연구 보고서 간행, 유물의 전시, 문화 강좌 및 유적 답사 등을 통해서 신라대학교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재에 대하여 안목을 높이고 이해를 돕기 위해 설립하였다. 신라대학교는 1964년 부산여자초급대학으로 설립 인가를...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한국의 가톨릭 순교자를 현양하기 위하여 설립된 박물관. 해방 직후 성 김대건[金大建] 신부 순교 100주년이 되던 해[1946년 4월 21일]에 황해도 개성 본당의 주임 신부인 방유룡[안드레아] 신부가 윤병현[안드레아], 홍은순[라우렌시오] 두 수녀와 함께 ‘복음 선포와 순교자 현양’을 목적으로 ‘한국순교복자수녀회’를 창설하였다. 한국순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한국해양대학교 내에 있는 대학 부설 해양 박물관. 1985년 한국해양대학[현 한국해양대학교] 내에 해사박물관 전시실을 설치하였다. 1992년 종합 대학교로 승격되면서 국립 대학 설치령에 따라 대학 박물관이 신설되었다. 2003년 2월 29일 해양 박물관으로 확장 개관하였다. 초기에는 대학의 역사 유물을 중심으로 수집, 소장, 관리, 전시...
역사관·기념관
-
6·25 전쟁 당시 부산 지역 피난민들의 삶과 애환을 40계단 테마를 중심으로 전시한 복합 역사 문화 공간. 중구는 일제 강점기부터 부산의 중심지였으며 6·25 전쟁기에는 많은 피난민들이 거주하였던 곳이다. 특히 피난민들이 힘겨운 하루하루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이용했던 40계단은 서민들의 삶과 애환이 녹아 있는 곳이다. 개항 이후 부산의 중심지로 성장한 중구의 특성과 4...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경남여자고등학교 내에 있는 건물. 경남여자고등학교는 학교의 역사를 생생하게 후배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1977년 4월에 개교 50주년 기념사업으로 경남여자고등학교 수정의 집을 신축 완공하였다. 1997년 4월에 개교 70주년 기념사업으로 경남여자고등학교 수정의 집을 개축하였다. 2010년 8월에 경남여자고등학교 수정의 집을 옛...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가기록원의 전문 기록물 보존 시설. 1969년 8월 총무처에 정부기록보존소가 설립되었지만, 전문 보존 시설인 서고와 전문 인력이 확보되지 않아 기록물 보존 관리가 열악한 상황이었다. 이에 국무총리 지시에 따라 1975년에 정부 기록 통합 보존 청사 건립 계획을 수립하여 1984년 11월 1일 현 위치인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산126번...
-
2006년 9월 30일 금정중학교 중앙 현관에 개관한 금정중학교 역사관. 2004년 2월 9일 금정중학교 역사관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3월 31일 부산광역시 설동근 교육감으로부터 역사관 건립 예산 4000만 원 지원 약속을 받아 2004년 12월 22일 금정중학교 역사관을 개관하였다. 2004년 12월 개관했으며 개관 당시에는 3·1 운동 유공자의 유물인 고서적, 각종 증서,...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동래읍성 관련 전시 시설. 부산광역시 동래구가 지난 40~50년 동안 무허가 건물, 경작지 등으로 방치되어 온 동래 사적 공원 내 동래읍성지 문화재 보호 구역을 정비하고, 동래읍성의 역사, 형태, 출토물 등을 보존, 전시하기 위해 2007년 3월 동래읍성 역사관을 건립하였다. 동래읍성 역사관은 한옥 형태의 단층으로 이...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의 수안역 안에 건립된 임진왜란 당시의 동래읍성 전시관.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현재까지 확인된 임진왜란 전쟁터 중에서 여러 종류의 가장 많은 유물들이 출토된 역사의 현장에 세워진 역사관이다.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 전투의 생생한 모습은 물론, 목숨을 걸고 적에 맞선 선조들의 불굴(不屈)...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명예 회복을 위한 인권 박물관. 김문숙 정신대문제대책부산협의회장이 1991년 일본군 강제 위안부 문제를 접한 이후에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고 위안부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다니고 또 1993년과 1994년에는 일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다. 이것이 시모노세키 재판이다. 이 재판에서 일본군 강제 위안부 사실에...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2가에 있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의 박물관. 부산 근대 역사관은 부산의 근현대 역사와 관련한 유물을 보관·전시·연구하고 있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 박물관이다. 특별전·근현대 자료 발굴·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식민 통치와 미군정 등 외세로 점철된 근현대사에 대한 역사 교육 기관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건물은 부산 지...
-
부산 동래고등학교 100년의 역사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학교 관련 자료들을 전시한 역사관. 부산의 대표적 명문 학교인 동래고등학교는 동래의 유지들이 운영하던 동래기영회에서 1898년 동래부학교를 설립한 것이 그 출발이었다. 이후 교명은 1904년 3월 개양학교, 1906년 3월 삼락학교, 1907년 11월 동명학교, 1916년 사립동래고등보통학...
-
부산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부산상업고등학교의 흔적을 알 수 있는 역사관. 개성고등학교[전 부산상업고등학교]는 1895년 부산개성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896년 3월 1일 개성학교로 개교하였다. 1909년 6월 4일 공립 학교로 정식 개교하였으며, 1911년 11월 1일 부산공립상업학교로, 1922년 4월 1일 부산진상업학교로, 1923년 4월 1일 부...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조선통신사를 알리기 위한 전시관. 조선통신사 역사관은 부산광역시가 조선통신사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널리 알리고 부산의 대표적인 역사 문화 관광 공간으로 개발하기 위해 자성대 공원 내 영가대(永嘉臺) 옆에 건립하였다. 공사는 2008년에 시작하여, 2010년 3월 20일 준공하고, 2011년 4월 21일 정식으로 개관하였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청룡초등학교 내 역사관. 청룡초등학교는 1908년 5월에 명정학교로 창립 인가를 받고 범어사 금어암에서 문을 연 이래, 역사를 이어오다 1996년 3월 청룡초등학교로 개칭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명정학교는 근세 신학문 교육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던 일제 강점기 범어사 승려들의 원력으로 설립되었다. 금정중학교는 청룡초등학...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부산광역시청 1층 로비에 있는 부산 시정 홍보관. 부산미래도시관은 부산광역시의 도시 계획을 바탕으로 부산 지역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2010년 10월 19일에 부산광역시청의 1층 로비에 건립되었다. 부산 미래 도시관의 건립으로 부산광역시청의 1층 로비에 있던 기존의 부산 홍보관은 철거되었다....
-
2005년 부산대학교 내에 건립한 10·16 민주 항쟁 기념관. 10·16기념관은 부산대학교에서 발발한 1979년 10·16 민주 항쟁을 기념하고, 부마 민주 항쟁의 역사와 정신을 조명·계승하여 부산대학교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건립되었다. 2005년 부마 민주 항쟁 26주년을 맞이하여 구 효원 회관을 리모델링하여 10·16기념관으로 개칭하였다. 1979년 부마 민주 항...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에 건립된 부산 1세대 화가 김종식(金鍾植)의 작업실. 김종식[1918~1988]의 사후, 동아대학교 미술대학 백성도 교수 등과 유족들이 김종식을 기념하기 위하여 그가 만년에 기거하며 작업하던 작업실을 1990년 무렵 기념관으로 조성하였다. 남장 기념관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40계단’을 올라 인쇄길 골목을 거쳐 50...
-
부산광역시의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성된 기념관. 민주 항쟁 기념관은 1999년 10월 16일 개관한 민주 공원의 중심 시설로서, 부산의 민주화 운동사를 기리고 시민에게 민주주의 교육의 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늘 펼쳐 보임방’[상설 전시실]은 개관 이래 2003년 1차 리모델링, 2011년 2차 리모델링 등 두 차례의 전면 리모델링을 통하...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3가에 있는 백산 안희제를 기리는 기념관. 일제 강점기에 백산상회[1914년~1919년]와 백산무역주식회사[1919년~1928년]가 있었던 자리에 백산 기념관(白山記念館)을 건립하였다. 백산 기념관은 오랫동안 백산 안희제(安熙濟)[1885~1943]의 항일 정신을 계승하는 데 앞장섰던 백산기념사업회의 노력과 당시 문민정부의 지원으로 1995년 3월...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2가에 있는 광복을 기리는 기념관. 부산 광복 기념관은 1876년 부산항 개항 이후부터 1945년 8월 15일 광복까지의 일본의 침략상과 부산 지역의 항일 독립 투쟁에 관한 역사적 유물을 전시함으로써, 선인들의 민족정신과 광복 활동을 기려 전승하고, 후손들에게 올바른 국가관을 세워 주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1997년 8월 15일 기본...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체육 박물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아시아 경기 대회]이 끝난 직후부터 부산광역시 체육회를 중심으로 부산광역시 체육회관 건립을 추진해 오다, 2003년 아시안 게임 잉여금을 활용하는 내용으로 사업 계획안이 확정되었다. 사직 야구장 뒤 1만 3119㎡의 부지에 시비와 체육회 기금 등 199억 원을 들여 체육 회관을 건립하였고, 그 1...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를 기리는 기념관. 세계적인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를 기리기 위하여 생전에 연구 활동을 하였던 옛 원예 시험장 자리에 건립된 기념관이다. 우장춘 박사는 1950년 3월에 한국 정부의 요청으로 일본에서 귀국한 후, 당시 부산에 있었던 중앙원예기술원 원장과 농사원 원예시험장[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초대장을 맡아,...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3가에 있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의 기념관. 임시 수도 기념관은 6·25 전쟁 때 임시 수도였던 부산의 역사를 기념하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 박물관이다. 1926년 8월 10일에 경상남도 도지사 관사로 건립된 2층 목조 일본식 주택으로, 이후 1950년 8월부터 약 3년 동안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으며, 6·25 전쟁을 지휘하였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