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54
한자 釜山廣域市立市民圖書館
영어의미역 Civ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이칭/별칭 시민도서관,부산도서관,용두산도서관,초읍도서관,부산부립도서관,부산시립도서관,부산시립부산도서관,부산직할시립부산도서관,부산직할시립시민도서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5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립 도서관
면적 11,443㎡[부지]|12,558㎡[건물 면적]
전화 051-810-8200
홈페이지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http://www.siminlib.go.kr)
개관|개장 시기/일시 1901년 10월 10일연표보기 - 독서구락부 도서실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11년 5월 - 용두산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45년 12월 25일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63년 8월 5일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에서 부산진구 부전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2년 8월 17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초읍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19년 4월연표보기 - 독서구락부 도서실에서 부산부립도서관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9년 8월 15일연표보기 - 부산부립도서관에서 부산시립도서관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8년 1월 6일연표보기 - 부산시립도서관에서 부산시립부산도서관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1년 4월 4일연표보기 - 부산시립부산도서관에서 부산직할시립부산도서관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2년 4월 8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립부산도서관에서 부산직할시립시민도서관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립시민도서관에서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1월 - 지역 대표 도서관으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 문화관광부로부터 도서관 문화 학교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4월 - 부산지역중심평생학습관으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7월 - 부산 지역 평생 교육 정보 센터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4월 - 부산 지역 대표 도서관으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6월 - 다문화 자료 특성화 도서관으로 지정
최초 설립지 독서구락부 도서실 - 교서 산하정
주소 변경 이력 독서구락부 도서실 - 부산부 용두산 중턱
주소 변경 이력 부산부립도서관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시립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168
주소 변경 이력 부산직할시립시민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산51-1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5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건립 경위]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지식 정보 자원의 제공과 독서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최초의 시설은 1910년 한일 합방 이전 일본인이 한국에 설치한 4군데 도서관 중 한 곳인 부산 도서 구락부(釜山圖書俱樂部)[1901년]로 1987년 5월에 일본 홍도회원(弘道會員)이 발기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01년 10월 10일 교서(交西) 산하정(山下町)[현 용두산 아래로 추정]에 홍도회 부산지부에서 개관한 독서구락부 도서실이 그 출발점으로 전국 공공 도서관의 효시라 할 수 있다. 1911년 5월에 사립부산교육회가 승계하여 용두산 중턱에 도서관 건물을 신축하여 운영하였고, 1919년 4월 부산부로 이관하여 공립 공공 도서관인 부산부립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 1937년 8월 9일 구 부청사 건물로 도서관이 이관하였으나, 1938년 2월 9일 부산부립도서관에 화재가 발생하여 용두산 중턱의 구 도서관 건물에 다시 이관하였다. 8·15 광복 직후인 1945년 12월 25일 동광동 시교육위원회 구 청사에 도서관을 이관하여 재개관하였다. 1949년 8월 15일 부산시립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 1962년 8월 처음으로 대출 문고를 운영하였다.

1963년 7월 22일 부전동[현재 부전도서관 부지]에 신축 도서관이 완공되었고, 8월 5일 ‘부전동 시대’가 시작되었다. 1968년 11월 20일 동래구 복천동에 동래분관[건물 면적 452.1㎡, 280석]을 설치하였으며, 1976년 1월 22일 동구 수정동에 수정분관[부지 1,343.1㎡. 건물 면적 335.78㎡, 좌석 164석]을 설치 운영하였다. 1978년 1월 6일 부산시립부산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81년 4월 4일 부산직할시립부산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1년부터 관외 대출을 시작하였으며, 1981년 10월에는 자동차로 순회하는 이동 도서관의 운영을 시작하였다. 1982년 4월 8일 부산직할시립시민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2년 8월 17일에는 현 위치인 부산진구 초읍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1992년 문화관광부로부터 도서관 문화 학교로 지정되었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6년에는 동래분관의 노후화로 폐관하였으며, 1999년 1월 수정분관이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1998년 부산 지역의 평생 학습관으로 지정되었고, 2000년 7월 부산 지역 평생 교육 정보 센터로 지정되었다. 2002년 12월 도서관 내 디지털 도서관을 확충 개관하였다. 2004년 3월에 학부모 교육원을 개원하였다. 2008년 4월 부산 지역 대표 도서관으로 지정되었다. 2010년 11월 다문화 자료실을, 12월에 장애인 정보 누리터를 개관하였으며, 2011년 6월 다문화 자료 특성화 도서관으로 지정되었다.

[구성]

1층은 사무 공간과 ‘꿈 있는 책마을[유아 및 어린이실]’, 고문헌실, 아메리칸 코너, 장애인 정보 누리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2층은 서고와 인문·사회 과학실, 자연·기술 과학실, 어문학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층은 연속 간행물실, 다문화 자료실, 디지털 자료실, 족보 자료실, 제1열람실[여자], 평생 학습을 위한 공간인 배움1~3실과 동아리실, 세미나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4층은 제2열람실[남자]과 성인 열람실로 구성되어 있다. 5층에는 평생 학습 공간인 배움4실이 있고, 지하 1층에는 시청각실과 식당 및 매점, 휴게실이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은 1만 1443㎡의 대지 위에 지상 4층, 지하 1층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 면적은 1만 2558㎡이다. 총 46개의 시설에 2,420석의 열람석을 구비하고 있다. 2012년 현재 총 69만 5831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어 부산에서 최대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도서관이다. 이 중 도서 자료는 65만 1501권, 비도서 자료는 4만 4330점을 소장하고 있다. 3만 7694권의 어린이 자료와 1만 1459권의 청소년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문, 잡지, 논문 자료 등의 정기 간행물 자료를 4만 4839권 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6,105권의 고문헌 자료와 4,709권의 다문화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사회 과학, 인문학, 자연 과학 기술, 예술 등 다양한 주제 분야의 정보 자료와 국내외에서 발행되는 신문, 잡지, 학술지 보고서, 논문 등을 비치하여 이용자의 정보 자료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한·일 외교 관련 자료 원본을 비롯하여 국내 최고본(最古本)으로 추정되는 귀중한 고서(古書)와 다수의 8·15 광복 전 일본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향토사와 분야별 근대사를 연구하는 학자 및 연구자에게 연구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역사, 정부, 언어, 문화 및 국민들에 관한 다양한 자료와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몽골, 필리핀 등의 다문화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인쇄 자료뿐만 아니라 첨단 기기 및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확보하여 이용자의 정보 욕구에 부응하고 디지털 자료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도서관장 산하에 도서관 정책부를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광역 도서관의 정책 및 도서관 발전 종합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도서관 장서를 구성하고 이를 정리하여 DB를 구축하는 정리과와 각 자료실의 운영과 관리, 자료 대출 및 상호 대차, 독서 교육 및 문화 강좌 등의 서비스를 이행하는 열람과, 행정적 지원을 수행하는 총무과, 지역 사회 평생 교육과 학부모 교육을 수행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학부모 지원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세부 조직들은 지역 사회의 정보 욕구 충족과 독서 문화 활성화를 위해 기능하고 있다.

아울러 독서 교실, 독서회, ‘독서의 달’ 및 ‘도서관 주간’ 운영, ‘원 북 원 부산(One Book One Busan) 운동’ 등 시민의 독서 생활화를 위한 독서 진흥 활동과 독서 문화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초등학생 이하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방과 후 교실과 토요 스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 지식 습득 및 평생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다양하고 유익한 평생 교육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