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404
한자 釜山科學技術大學敎民俗博物館
영어의미역 Folk Museum at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분야 문화·교육/교육,생활·민속/민속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132번길 88[구포동 산48-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선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박물관
면적 약 1,061㎡
전화 051-330-7056
홈페이지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http://bisthome.bist.ac.kr/index/01_intro_/intro_06_pop9.php)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3년 11월 12일연표보기 - 부산정보대학 민속박물관 개관
개칭 시기/일시 2012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정보대학 민속박물관에서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4년 - 동래 금강 공원 내 부산 민속 예술관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1월 1일 - 이남선이 민속자료를 부산정보대학에 기증
최초 설립지 부산정보대학 민속박물관 -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 132번길 88[구포동 산48-6]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 -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 132번길 88[구포동 산48-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있는 민속박물관.

[건립 경위]

1974년 「동래 야류」 기능 보유자 이남선(李南先)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금강 공원 내에 부산 민속 예술관을 개관하고 민속자료를 전시하였다. 1993년 1월 1일에 부산정보대학[현 부산과학기술대학교]이 민속자료를 인수하였다. 1993년 2월 17일에 부산정보대학 민속박물관을 설립하고, 1993년 11월 12일에 개관하였다.

[변천]

2012년 3월에 부산정보대학이 부산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함에 따라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으로 개칭하였다.

[구성]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의 규모는 약 1,061㎡이다. 세 개 전시실을 중심으로 회랑과 출입구에 간이 전시실이 조성되어 있고, 야외 전시장이 있다. 이외에 자료실과 준비실, 소강당 등이 갖추어져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보유 유물은 2,689점이다. 제1전시실에 463점, 제2전시실에 520점, 제3전시실에 863점, 화랑 전시실에 350점, 출입구 전시장에 24점, 야외 전시장에 10점, 자료실에 486점, 교사 자료실에 411점 등이 있다. 농기구와 부엌살림을 중심으로, 오래된 행낭과 손가방, 지폐와 엽전, 문방구류, 기름 짜는 용구, 떡 찌는 용구, 한약 조제 기구와 같은 생활용품이 대종을 이룬다. 이외에 공구류, 의류, 무구, 소지와 호적 문서 등 문서류, 서화와 탁본 등이 있고, 윷놀이, 자치기, 구슬치기, 재기, 썰매, 새총, 팽이 등 놀이 용품도 전시되고 있다. 이 가운데 486점의 유물은 자료실에 보관 중이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이며, 토요일·일요일 및 공휴일에 휴관한다.

[참고문헌]
  • 『부산 일보』(2002. 7. 29)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 리플릿」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민속박물관(http://bisthome.bist.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