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상업고등학교 역사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864
한자 釜山商業高等學校歷史館
영어의미역 History Hall at Busan Commercial High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역사관
면적 384.5㎡
전화 051-897-6405[교무실]|051-897-6404[행정실]
준공 시기/일시 1991년 11월 23일연표보기 - 준공
최초 설립지 개성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4동 642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부산상업고등학교의 흔적을 알 수 있는 역사관.

[개설]

개성고등학교[전 부산상업고등학교]는 1895년 부산개성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896년 3월 1일 개성학교로 개교하였다. 1909년 6월 4일 공립 학교로 정식 개교하였으며, 1911년 11월 1일 부산공립상업학교로, 1922년 4월 1일 부산진상업학교로, 1923년 4월 1일 부산제이공립상업학교로 개칭하였다. 1950년 5월 17일 부산상업고등학교로 개칭하였으며 1989년 4월 25일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당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2004년 11월 1일 개성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러한 부산상업고등학교는 일제 강점기 항일 항쟁의 중심이었고 특히 동래고등학교와 같이 투쟁한 1940년의 부산 항일 학생 운동은 광주 학생 의거와 함께 대한민국 항일 투쟁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또한 1969년 유신 독재 시절 신용찬 학생회장을 위시하여 1,000여 명의 재학생이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현대 극장 앞에서 결의문을 낭독하고 시청을 지나 중구 남포동까지 진출하며 당시 고등학교로서는 처음으로 독재 정권에 항의하는 시위를 가졌다. 이후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는데, 대표적으로 김지태(金智泰)[기업인], 금수현(金守賢)[음악가], 신영복(申榮福)[학자], 노무현(盧武鉉)[16대 대통령] 등이 있다. 이러한 학교의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부산상업고등학교 역사관이다.

[건립 경위]

부산상업고등학교의 업적과 전통을 기리고 후대에 전승하기 위하여 그 유적, 유물에 관계된 것을 수집·보존·조사·연구·전시하여 후학에게 올바른 자부심과 전통관, 주체적 역사관과 건전한 가치관을 정립하여 나라와 학교, 개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1991년 11월 23일에 설립하였다.

[구성]

부산상업고등학교 역사관은 진열관 30개, 진열대 18개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설립자 박기종과 대한민국 제16대 노무현 대통령은 별도 진열관이 배정되어 있다. 그리고 역대 학교장, 역대 동창회장 액자가 있다. 그리고 물건으로 시대별 교과서, 타자기, 주판[교육용 주판 포함], 옛 컴퓨터, 옛 책상 및 의자, 교복, 교모, 체육복, 피아노, 목조 모표, 각종 액자-서예 작품[윤보선(尹潽善) 대통령 친필 편액 등], 그림이 있다. 또한 역대 앨범, 역대 교지 및 동창회보, 부상 백년사, 회원 명부, 옛 교기, ‘부산상업학교’ 옛 현판 및 주소 현판, 각종 대회 우승 상패, 우승기, 우승 트로피, 유명 체육인 유니폼, 졸업장, 표창장, 상장, 기타 각종 사료[각종 포스터, 서적, 통지표, 기념 책자, 금수현 선생 친필 「그네」 악보 등]을 전시하고 있다.

[현황]

현재 부산상업고등학교 역사관은 기존 비치물 외에도 수시로 사료 및 자료를 추가 수집하고 있으며 장소가 협소하여 더 넓은 장소로 이전을 계획 중이다.

[참고문헌]
  • 개성고등학교 총동창회 참고 자료(2011. 11. 20)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