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지역에 살고 있는 동일한 인물을 시조로 하는 성씨. 성씨는 성(姓)과 씨(氏)를 합친 말이다. 성은 지금의 성(姓)과 같고, 씨는 지금의 본관(本貫)을 뜻한다. 우리나라 성씨의 기원은 최초의 기록서인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린 내용을 근거로 할 때, 삼국 시대부터 써온 것으로 파악된다. 그렇지만 근래에 발견되고 있는 삼국 시대의 금석문을...
-
김주원을 시조로 하고, 김검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조선 시대에 충순위(忠順衛) 김일신(金日新)의 아들 김검(金儉)이 동래로 남하하여 강릉 김씨 충순공파를 연 이후, 북계(北溪) 김선(金璿) 때 동래 선동(仙洞)으로 이주하여 터전을 잡아 번창하였다. 이후 동래[수내, 여고, 산저] 및 기장 등에 세거하다가 지금까지 부산광역시 일원에 대대로 거주하고 있는...
-
왕보육을 시조로 하고, 왕대봉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왕씨의 본관은 왕씨의 주종(主宗)인 개성·강릉·해주 왕씨 외에도 15본이 전해지고 있으며, 그 밖에도 명나라에서 귀화한 제남 왕씨(濟南王氏)가 있다. 강릉 왕씨(江陵王氏)는 문헌에 시조 왕유(王裕)가 고려 태조 왕건(王建)[877~943]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으나 실상은 왕건의 열다섯째 아들 동양군(...
-
김알지를 시조로 하고, 김수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김씨(金氏)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 499본, 『성씨 대관』에는 600본, 『조선 씨족 통보』에는 623본으로 나타나 있다. 김씨는 크게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는 수로왕계와 신라 왕실의 박(朴)·석(昔)·김(金) 3성 중의 하나인 김알지계로 볼 수 있다. 경주...
-
박혁거세를 시조로 하고, 박태성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박씨(朴氏)의 본관은 문헌에 300여 본이 전해지고 있으나 시조가 분명하게 밝혀진 성씨는 대략 70본 안팎이다. 모든 박씨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유일조(唯一祖)로 받들고 있다. 경주 박씨(慶州朴氏)는 신라 시조왕 박혁거세의 후손으로 영해(寧海)·면천(沔川)·강릉(江陵) 등 박씨와 함께...
-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고, 이빈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이씨(李氏)는 문헌에 451본 혹은 546본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시조가 밝혀진 성씨는 120본 내외이고, 그중 100여 본 정도가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 이씨 성이 언제부터 등장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32년(유리왕 9) 신라...
-
최치원을 시조로 하고, 최묵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최씨(崔氏)의 본관은 문헌에 대략 300여 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의가 후손들의 거주 지명을 나타내는 것일 뿐, 그 중 시조가 분명히 밝혀져 있고 후손들이 현존하는 성씨는 30여 본에 지나지 않는다. 최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신라 말의 최치원(崔致遠)[857~?]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최씨의 분파가 최...
-
공자를 시조로 하고, 공학성을 입향 시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공씨는 중국 산동성 곡부(曲阜)가 단본이며, 시조는 문선왕(文宣王) 공자(孔子)이다. 그의 53세손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孔紹)가 1351년(충정왕 3) 원나라의 한림학사로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수행하여 고려에 와서 귀화하였다. 공소는 문하시랑 평장사로 회원군(檜原君)에...
-
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만균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광산 김씨의 시조 김흥광(金興光)은 신라의 왕자로서 장차 나라가 어지러워질 것을 예견하고 무진주(武珍州) 서일동(西一洞)[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으로 피하여 학문을 닦고 살았다. 그래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은 무진주가 광산으로 개칭되었기 때문에 광산으로 하였다. 광산 김씨는 고...
-
김녹광을 시조로 하고, 김차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광주 김씨는 신라 경순왕의 다섯째 아들인 의성군(義城君) 김석(金錫)[의성 김씨의 시조]의 7세손인 고려 시대 광주군(廣州君) 김녹광(金祿光)을 시조로 한다. 김녹광은 1236년(고려 고종 23) 몽고군이 침입할 때 상장군으로 전공을 크게 세워 광주군으로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의성 김씨에서 분적...
-
노해를 시조로 하고, 노사원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광주 노씨(光州盧氏) 시조 노해(盧垓)는 당나라에서 한림학사를 역임하고 신라로 와서 도시조 노수(盧穗)의 첫째 아들로서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노해를 시조로 하고 광산(光山)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그 후 계대(繼代)가 실전되어 후손 중 고려 때 정승을 지낸 광주군...
-
이당을 시조로 하고, 이흥원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광주 이씨 시조 이자성(李自成)은 칠원(漆原)에서 대대로 살아온 호족의 후예로서 신라 내물왕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냈다. 시조는 신라가 고려에 항복하자 고려에 불복하고 절의를 지켰으므로 고려 태조가 회안(淮安) 호장(戶長)으로 삼았다. 처음에는 본관을 회안으로 하였다가 940년(고려 태조...
-
김신을 시조로 하고, 김진화를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금산(錦山)은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그 땅이 백제, 신라, 고려 등을 거치면서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가 조선 시대에 들어 금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금산 김씨는 경주 김씨의 맥을 이어받은 성씨로서 신라 경순왕의 후손이며 정3품 사복시 부정(司僕寺副正) 김정보(金正寶)의 13세손 김신(金侁)이 금주...
-
나총례를 시조로 하고, 나경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나씨(羅氏)는 중국에서 귀화한 성씨로, 원래 중국 축융씨(祝融氏)의 후예인 운씨였는데 춘추 시대에 나(羅)에 봉해졌기 때문에 지명을 성으로 삼아 나씨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나씨는 문헌에 46본이 나타나 있지만 금성·나주·안정·군위·수성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세히 알 수 없다. 그 중 안정·군위·수성...
-
전영을 시조와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전씨(全氏)의 본관은 정선·천안·용궁·계림·기장·완산·나주·죽산·성산·황간·감천·옥천·옥산·함창·성주·평강·팔거·부여 등 18본이 있으나 모두가 동원(同源) 분파여서 『전씨 대동보』 상으로는 정선파(旌善派), 천안파(天安派), 용궁파(龍宮派)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전씨의 도시조는 백제의 개국 십제공신(十濟功臣) 전섭...
-
김시흥을 시조로 하고, 김원실·김의련·김영필·김복 등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김녕 김씨 시조 김시흥(金時興)은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9세손으로 경상북도 의성에서 출생하였다. 고려 인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묘청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군(金寧君)에 봉해졌으며, 명종 때 조위총의 난을 토벌하여 공을 세워 식읍을 하사받고 금주군(...
-
김수로왕을 시조로 하고, 김보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김해 김씨는 가락계 김씨의 종통으로 가락국의 개조인 김수로왕을 시조로 한다. 김수로왕의 탄생 설화를 보면, 『가락국전지(駕洛國傳誌)』에 “42년 가락국의 9촌장들이 강물의 가장자리에서 놀다가 구지봉(龜旨峰)에 올라 나라를 다스릴 군장(君長)을 얻고자 하늘을 향해 의식을 올리자 하늘에서 한 줄기 붉은...
-
양을나를 시조로 하고, 양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양씨(梁氏)는 제주, 남원, 충주를 본관으로 하는 것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양씨 가운데서도 남원 양씨가 80% 정도를 차지한다. 본관은 달라도 모두 제주 삼신인(三神人) 중 한 사람인 양을나(良乙那)를 같은 시조(始祖)로 삼는 인식이 예부터 내려왔다. 그러므로 1587년에 제주, 남원 두 본관의...
-
문다성을 시조로 하고, 문평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남평 문씨의 시조는 고려조의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인 문다성(文多省)이다. 문다성의 탄생과 관련된 이야기가 『남평 문씨 족보』에 전해지는데, “아득한 옛날 전라도 남평현 장자못[長者池]가에 솟은 천길 높이의 바위에 오색영롱한 구름이 일더니 갓난아이의 울음소리가 울려 퍼졌다. 신기하게 여긴...
-
서진을 시조로 하고, 서제·서상태 등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달성 서씨(達城徐氏)는 영남의 거족으로서 고려 멸망 후에 경파(京派)와 향파(鄕派)로 크게 나누어졌다. 경파는 서한(徐閈)을 시조로 하고 조선조에 벼슬에 나아가 중앙 조정에 출사한 계통을 말하는 바 뒤에 보통 대구 서씨(大丘徐氏)로 부르게 되었고, 향파는 서진(徐晉)을 시조로 하며...
-
김흥도를 시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김씨(金氏)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 499본, 『성씨 대관』에는 600본, 『조선 씨족 통보』에는 623본으로 나타나 있다. 김씨는 크게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는 수로왕계와 신라 왕실의 박(朴)·석(昔)·김(金) 3성 중의 하나인 김알지계로 볼 수 있다. 경주 김씨 외에도 동래에 입향...
-
정회문을 시조와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동래 정씨는 본래 신라6부촌의 진지촌장(珍支村長) 지백호(智白虎)의 후손이다. 『경신보』 총록에 따르면 서기 32년(신라 유리왕 9) 지백호가 정씨(鄭氏)로 사성(賜姓)되어 경주를 본관으로 하다가 뒤에 동래로 분적(分籍)되었다고 한다. 동래 정씨의 시조 정회문(鄭繪文)은 동래군의 향직 안일호장(安逸戶長)이...
-
박언침을 시조로 하고, 박양화·박익문·박말생·박견춘·박익용 등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밀양 박씨의 시조 박언침(朴彦枕)은 박혁거세의 29세손인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로서 밀성[밀양] 대군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이를 연유로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밀양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고려 문종 때 태사 중서령을 지낸 8세손인 박언부(朴彦孚)를...
-
손순을 시조로 하고, 손석산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손씨(孫氏)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148본으로 전해지지만 경주·밀양·비안·월성·청주·평해·일직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알 수 없다. 위의 손씨 중 일직을 제외한 각 손씨는 모두 신라가 국가로 성립되기 이전의 원시 부족 사회인 사로(斯盧) 6촌 중 무산(茂山) 대수촌장(大樹村長)...
-
김일을 시조로 하고, 김생순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김씨(金氏)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 499본, 『성씨 대관』에는 600본, 『조선 씨족 통보』에는 623본으로 나타나 있다. 김씨는 크게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는 수로왕계와 신라 왕실의 박(朴)·석(昔)·김(金) 3성 중의 하나인 김알지계로 볼 수 있다. 부안...
-
배원룡을 시조로 하고, 배경식·배영채·배영록 등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배씨(裵氏)는 신라 6부 촌장 중 금산가리 촌장(金山加利村長) 배지타(裵祗陀)를 원조로 하였으나 고증할 자료가 실전되어 고려의 개국 공신 배현경(裵玄慶)[?~936]을 중시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 왔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분성 배씨, 성산 배씨, 달성 배씨, 곤양 배씨, 흥해...
-
최천로를 시조로 하고, 최윤번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최씨(崔氏)의 본관은 문헌에 대략 300여 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의가 후손들의 거주 지명을 나타내는 것일 뿐, 그중 시조가 분명히 밝혀져 있고 후손들이 현존하는 성씨는 30여 본에 지나지 않는다. 최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신라 말의 최치원(崔致遠)[857~?]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최씨의 분파가 최...
-
안자미를 시조로 하고, 안억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안씨(安氏)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109본이 나와 있으나 주요 본관은 순흥·광주·죽산·탐진·공산·충주·안산·태원·강진 등이고 나머지는 그 세가 미미하다. 그 중에서도 순흥·광주·죽산의 3본이 대본이며, 특히 순흥 안씨는 전체 안씨의 과반수를 상회한다. 안산·태원을 제외한...
-
이인수를 시조로 하고, 이덕연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이씨(李氏)는 문헌에 451본 혹은 546본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시조가 밝혀진 성씨는 120본 내외이고, 그중 100여 본 정도가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 이씨 성이 언제부터 등장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32년(유리왕 9) 신라...
-
정덕성을 시조로 하고, 정덕손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우리 나라에 현존(現存)하는 정씨(丁氏)는 나주(羅州)·창원(昌原)·영광(靈光)·의성(義城) 등의 4본이 있으나 모두 도시조(都始祖)인 정덕성(丁德盛)의 후손으로 전(傳)하며, 『정씨 대동 종안보(丁氏大同宗案譜)』에는 이들 모든 정씨를 압해 정씨(押海丁氏)로 통일하고 있다. 그러므로 압해(押海)는 곧...
-
이만영을 시조로 하고, 이식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양산 이씨는 인천 이씨에서 분적되었다. 시조 이만영(李萬英)은 고려 말기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태조 때 이조 판서를 지냈다. 그리고 그의 아들 이전생(李全生) 역시 고려 말기에 문과에 급제, 1371년(공민왕 20) 순찰사가 되어 각 고을을 순시할 때 양산에 이르러 하북면 초산리에 자리를...
-
송유익을 시조로 하고, 송극명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여산 송씨의 시조 송유익(宋惟翊)은 수익(收益) 혹은 유익(有翼)이라고도 했다. 고려조의 진사로 나라에 공훈이 많아 여산군에 봉해지고 은청광록대부 추밀원부사(銀靑光祿大夫 樞密院副使)에 추증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시조의 4세손 송송례(宋松禮)[?∼1289]가 고려 원종 때에 권신 임연(林衍...
-
정종은을 시조로 하고, 정여적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정씨(鄭氏)의 본관은 문헌에 210본에서 247본 정도가 나와 있으나 오늘날 현존하는 본관을 30여 본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정씨의 원조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신라의 6촌 중 취산진지촌(觜山珍支村)의 촌장인 지백호(智伯虎)이다. 오늘날 정씨의 각 본관별 시조들은 모두 지백호의 원손(遠孫)...
-
천암을 시조로 하고, 천찬석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천씨(千氏)의 본관은 영양(潁陽) 단본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영양 외에도 개성·강화·광주 등 97본이 전해지고 있으나 모두 영양 천씨의 세거지를 나타내는 데에 지나지 않는다. 『천씨 세보』에 의하면 영양 천씨 시조는 명나라 초의 조신인 천암(千巖)이며, 그의 후손이 영양에...
-
신경을 시조로 하고, 신지병과 신옥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신씨(辛氏)의 본관은 영산(靈山)·영월(寧越) 2본이지만 모두 같은 혈족으로서 영월 신씨가 작은집으로 알려져 있다. 영월 신씨는 고려 인종 때 송나라 사신으로 우리나라[고려]에 와서 귀화하여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정의공(貞懿公) 신경(辛鏡)을 시조로 한다. 신경의 선대는 당나라 사람으...
-
최한을 시조로 하고, 최경윤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최씨(崔氏)의 본관은 문헌에 대략 300여 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의가 후손들의 거주 지명을 나타내는 것일 뿐, 그중 시조가 분명히 밝혀져 있고 후손들이 현존하는 성씨는 30여 본에 지나지 않는다. 최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신라 말의 최치원(崔致遠)[857~?]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최씨의 분파가 최치...
-
변안렬을 시조로 하고, 변렴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변씨(邊氏)는 『문헌비고(文獻備考)』에 의하면 은나라 미중(微仲)의 후손이라고 한다. 미중이 송(宋)에 봉해지고 평공(平公)의 아들 어융(御戎)의 자가 자변(子邊)인 까닭에 자손들이 ‘변’으로 성을 삼고 농서(隴西)의 변(汴)에 살다가 송나라가 망하자 고려에 귀화하여 취성(取城)[지금의 황주(黃州)]에...
-
손순을 시조로 하고, 손삼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월성 손씨(孫氏)는 부족 사회인 사로(斯盧) 6촌 중 무산(茂山) 대수촌장(大樹村長) 구례마(俱禮馬)를 원조로, 신라 흥덕왕 때의 효자 손순(孫順)을 시조로 하고 있다. 손순의 손자 손익감(孫翼減)·손익담(孫翼淡)·손익원(孫翼洹) 3형제가 밀양·평해·경주 등으로 각각 분관되고, 이 3본이 다...
-
송대원을 시조로 하고, 회덕(懷德)에서 동래로 입향한 세거 성씨. 시조 송대원(宋大源)의 자는 천지(川至)로, 처음 이름은 송견(宋堅)이었다고도 한다. 고려조에 판원사(判院事)를 지냈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졌다. 『여산 송씨 세보』에 은진 송씨(恩津宋氏)는 여산 송씨(礪山宋氏)와 근원이 같아, 여산 송씨의 시조 송유익(宋惟翊)의 아우 송천익(宋天翊)이 은진에 세거하였...
-
김석을 시조로 하고, 김기영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김씨(金氏)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 499본, 『성씨 대관』에는 600본, 『조선 씨족 통보』에는 623본으로 나타나 있다. 김씨는 크게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는 수로왕계와 신라 왕실의 박(朴)·석(昔)·김(金) 3성 중의 하나인 김알지계로 볼 수 있다. 의성...
-
예낙전을 시조로 하고, 예종린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예씨(芮氏)의 본관은 부계(缶溪) 단일본이다. 시조 예낙전(芮樂全)은 고려 인종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내고 부계군(缶溪君)에 봉해졌으며, 문장과 덕업이 일대에 뛰어났다고 한다. 예씨의 선대는 본래 중국에서 왔다고 전하나 문헌이 없어 예낙전 이상의 선계를 밝히지 못하고 그를 시조로 삼고, 본관...
-
장정필을 시조로 하고, 장대엄과 장운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장씨(張氏)는 중국의 성씨로서 황제(黃帝)의 제9자인 청사(靑賜)가 아들 휘(揮)를 낳아서 활을 만드는 관원인 궁정(弓正)을 삼았는데 호시성(弧矢星)을 보고 처음으로 활과 화살을 만들고 축호(祝弧)[궁신(弓神)에게 제사 지내는 일]를 주관하였으므로 장씨가 되었다고 한다. 장씨의 본관은 문헌에...
-
이허겸을 시조로 하고, 이주완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이씨(李氏)는 문헌에 451본 혹은 546본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시조가 밝혀진 성씨는 120본 내외이고, 그중 100여 본 정도가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 이씨 성이 언제부터 등장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32년(유리왕 9) 신라...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국로를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李翰)은 신라 시대에 사공(司功) 벼슬을 지냈으며, 태조 이성계(李成桂)[1335~1408]의 21대조이다. 전주 이씨의 분파는 공칭 122파로 거의가 왕자인 대군과 군을 파조로 하고 있다. 전주 이씨의 분파는 시대 구분에 따라 세 갈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시조 이한...
-
박기오를 시조로 하고, 박천추를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박씨(朴氏)의 본관은 문헌에 300여 본이 전해지고 있으나 시조가 분명하게 밝혀진 성씨는 대략 70본 안팎이다. 모든 박씨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유일조(唯一祖)로 받들고 있다. 죽산 박씨(竹山朴氏)의 시조 박기오(朴奇悟)는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넷째 아들인 죽성 대군(竹城大君) 박언립(...
-
강이식을 시조로 하고, 강위민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우리나라 강씨(姜氏)의 시조는 고구려 때 도원수(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이다. 이후 강씨는 통일 신라와 고려 중엽까지 문헌이 실전되어 그 계보를 밝힐 수 없다. 그래서 시조 강이식의 원손을 각각 중시조로 하여 박사공파(博士公派), 소감공파(少監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은열공파(殷烈公派),...
-
이위를 시조로 하고, 이선항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이씨(李氏)는 문헌에 451본 혹은 546본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시조가 밝혀진 성씨는 120본 내외이고, 그중 100여 본 정도가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 이씨 성이 언제부터 등장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32년(유리왕 9) 신라...
-
구성길을 시조로 하고, 구맹립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창원 구씨는 원래 구씨(仇氏)로 중국 송나라 대부 구목(仇牧)의 후손이라고 전해지나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왔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신라 문무왕 때 사찬(沙飡) 구진천(仇珍川), 용사(勇士) 구근(仇近) 등이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일찍부터 대성으로 우리나라에...
-
황충준·황석기·황양충 등을 시조로 하고, 황복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황씨(黃氏)는 문헌에 163본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평해·장수·창원·덕산·상주·성주·우주·제안·회덕·항주 등 10여 본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고이다. 또 위의 10여 본 중 항주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평해·장수·창원 등 3본에서 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황씨의 도시조는 중국...
-
김지대를 시조로 하고, 김갑손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청도 김씨의 시조 김지대(金之岱)는 신라 56대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8세손이다. 김지대는 1217년(고려 고종 4) 거란군의 침입과 몽골군의 북변 침입을 막는데 공을 세웠고, 1241년(고종 28)에는 진주 촉석루를 창건하였다. 원종 즉위 초 정당문학, 이부 상서(吏...
-
한란을 시조로 하고, 한지를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한씨(韓氏)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이른바 삼한 갑족(三韓甲族)이다. 한씨의 본관은 문헌에 131본으로 나타나 있으나 청주·평산·한양·안변·양주·곡산·단주·홍산·가주·면천·대흥·부안·당진·함흥·금산·신평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한씨의 세거지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 이 중에서도 곡산...
-
윤신달을 시조로 하고, 윤경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윤씨(尹氏)의 본관은 문헌에 149본으로 전해지지만 파평·해평·남원·칠원·무송·함안·해남·해주·예천·야성·기계·경주·양주·현풍·죽산·고창·평산·영천·여주·신녕·덕산 등 20여 본을 제외한 나머지는 알 수 없다. 해평 윤씨(海平尹氏)·무송 윤씨(茂松尹氏)·칠원 윤씨(漆原尹氏)를 제외한 나머지 본관은 모...
-
조춘을 시조로 하고, 조석기를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조씨(趙氏)는 원래 전욱(顓頊)의 후예로서 주나라 목왕(穆往)이 서언왕(徐堰王)을 칠 때 공을 세운 조부(造父)란 사람을 조성(趙城)에 봉하자 그가 나라 이름을 따서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조씨의 본관은 문헌에 200여 본으로 전하고 있으나 그중 몇 본이 현존하고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풍...
-
임팔급을 시조로 하고, 임중생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임씨(林氏) 성은 중국 은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폭정을 삼촌인 비간(比干)이 죽음을 무릅쓰고 직간하다가 도리어 참형을 당하자 그의 아들 견(堅)이 장림산에 은거하면서 성을 ‘임(林)’으로 변성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임씨의 본관은 문헌에 216본으로 전해지나 1985년도 인구 조사에 의하...
-
조맹을 시조로 하고, 조만용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조씨(趙氏)는 원래 전욱(顓頊)의 후예로서 주나라 목왕(穆往)이 서언왕(徐堰王)을 칠 때 공을 세운 조부(造父)란 사람을 조성(趙城)에 봉하자 그가 나라 이름을 따서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조씨의 본관은 문헌에 200여 본으로 전하고 있으나 그중 몇 본이 현존하고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풍...
-
조정을 시조로 하고, 조근을 파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함안 조씨(咸安趙氏)의 시조 조정(趙鼎)은 중국 후당(後唐) 사람으로 신라 말기에 두 아우 조부(趙釜)와 조당(趙鐺)을 데리고 우리나라로 왔다고 한다. 조정은 고려의 개국 공신인 신숭겸(申崇謙)[?∼927], 배현경(裵玄慶)[?~936], 복지겸(卜智謙), 권행(權幸) 등과 교분이 두터웠다고 한...
-
오현보를 시조로 하고, 오경선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오씨(吳氏)의 본관은 문헌에 210본으로 전하고 있으나 해주·동복·보성·고창·홍양·나주·함평·울산·낙안·평해·군위·장흥·함양·화순·전주·연일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16본 오씨들의 세거지에 지나지 않는다. 『오씨 대동보』에 의하면 우리나라 오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오첨(吳瞻)이라 한다. 그는...
-
김훤술을 시조로 하고, 김양설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해평 김씨의 시조는 고려초 김훤술(金萱述)이다. 김훤술은 김알지의 후손이라고 전할 뿐 문헌이 실전(失傳)되어 선계를 상고할 수 없다. 그는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으나 그 후 다시 실전되어 고려조에 전직(殿直)을 지낸 김태(金兌)를 1세(世)로 하여 세계를...
-
곽경을 시조로 하고, 곽준태를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곽씨(郭氏)는 중국의 성씨로서 주문왕(周文王)의 아우 괵중(虢仲)이 괵에 봉함을 받은 후 괵과 비슷한 음을 따서 곽공(郭公)이라 불렸기 때문에 곽을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우리나라 곽씨의 본관은 문헌에 현풍·청주·선산·해미·여미·봉산 등 6본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청주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현풍의 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