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9371 |
---|---|
한자 | 錦城羅氏 |
영어의미역 | Geumseong Nasi | Geumseong Na Clan |
이칭/별칭 | 나주 나씨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부산광역시 |
집필자 | 김연지 |
[정의]
나총례를 시조로 하고, 나경언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나씨(羅氏)는 중국에서 귀화한 성씨로, 원래 중국 축융씨(祝融氏)의 후예인 운씨였는데 춘추 시대에 나(羅)에 봉해졌기 때문에 지명을 성으로 삼아 나씨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나씨는 문헌에 46본이 나타나 있지만 금성·나주·안정·군위·수성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세히 알 수 없다. 그 중 안정·군위·수성 등은 금성 나씨에서 분적했다고 한다.
안정 나씨의 시조 나천서(羅天瑞)와 군위 나씨의 시조 나문서(羅文瑞)는 형제간으로 금성 나씨의 시조 나총례(羅聰禮)의 11세손이다. 고려 공민왕 때 나천서는 안정백(安定伯)에, 나문서는 적라백(赤羅伯)에 봉해져서 본관을 각각 안정과 군위로 하였고, 수성 나씨는 나총례의 14세손 나순직으로 들어올 때 둘째 아들 나광우(羅光佑)가 그곳에 남아 눌러 살았기 때문에 그의 후손들이 본관을 수성으로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근년에 와서 이들도 금성으로 통합했다고 하니, 오늘날 우리나라의 나씨는 나주 나씨와 금성 나씨로 대별된 셈이다.
[연원]
시조 나총례는 고려 초에 삼한 공신으로 금성부원군(金城府院君)에 봉해졌다. 나총례의 선계는 당나라 태종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였던 나지강(羅至强)이다. 나지강은 고구려를 정복하자는 조정의 의견에 반대하고 우리나라에 망명하여 발라현(發羅縣)에 정착, 신라조에 벼슬하여 좌승상에 이르렀다. 이때부터 나씨가 나주에 살게 되었으며, 신라 효공왕 때 그의 원손 나경(羅璥)이 나주사찬(羅州沙湌)에 봉해져서 본관을 나주로 했다고 한다.
그러나 연대와 세계가 확실치 않고, 또 나주는 당나라 태종 때는 발라로 백제 땅이었고, 신라 효공왕 때는 금산 혹은 금성이라 하여 후백제 견훤(甄萱)의 치하에 있다가 903년(효공왕 7) 고려의 지배하에 들어감에 따라 비로소 나주로 개칭하게 된 점으로 보아 나지강이 신라에서 벼슬하였다는 사실과 나경이 나주사찬에 봉해졌다 함은 객관성이나 합리성이 부족하므로 연대와 세계가 확실한 나총례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나주로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나주에는 이 계통 외에 나부(羅富)를 시조로 하는 나주 나씨가 있어서 동본 이족(同本異族)이 같은 나주를 발원지로 삼게 되었다. 나부를 시조로 하는 나씨는 원래 여황 나씨였으나 고려 성종 때 여황현(艅艎縣)이 나주에 귀속되면서 나주로 개관하여 이족이면서도 본관을 같이 하여 수백 년을 살아왔으며, 나총례를 시조로 하는 나주 나씨는 영조 때 무신란의 화를 면하기 위해 나주의 옛 이름이 금성이고 또 시조가 금성부원군에 봉해졌음을 연유하여 금성으로 이관하였다.
[입향 경위]
정랑 나무송(羅茂松)[1577~1653]의 현손인 나경언(羅景彦)이 18세기 중후반 무렵에 동래부로 들어와 살게 되었다.
[현황]
1937년 문기주(文錡周)가 편찬한 『동래군지』의 성씨조에는 금성 나씨가 우거(寓居)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금성 나씨는 461가구에 1,494명[남자 790명, 여자 704명]이 부산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