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520
한자 慶州崔氏
영어의미역 Gyeongju Choisi|Gyeongju Choi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김연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시조 최치원(崔致遠)
입향시조 최묵(崔黙)
본관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입향지 중곡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세거|집성지 중곡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세거|집성지 내덕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덕선리
세거|집성지 당곡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정의]

최치원을 시조로 하고, 최묵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최씨(崔氏)의 본관은 문헌에 대략 300여 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의가 후손들의 거주 지명을 나타내는 것일 뿐, 그 중 시조가 분명히 밝혀져 있고 후손들이 현존하는 성씨는 30여 본에 지나지 않는다. 최씨의 실질적인 시조는 신라 말의 최치원(崔致遠)[857~?]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최씨의 분파가 최치원을 1세로 하는 경주 최씨(慶州崔氏)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동조동근(同祖同根)[조상이 같고 근본이 같음]을 주장하는 최씨의 전모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범최씨(汎崔氏)의 선대 세계 미분파 연원을 체계화한 『경주 최씨 상계 세보』에 의하면, 최치원소벌도리(蘇伐都利)의 23대손으로 최치원의 윗대에서 갈린 본관으로 개성·삭녕·동주와 전주 최씨의 군옥파(群玉派)가 있고, 그 외에는 최치원의 자손에서 분파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세보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과 이론이 있지만 모든 최씨가 소벌도리최치원을 잇는 신라 이전 사람의 후예가 된다는 데에는 별다른 이론이 없는 것 같다. 경주 최씨 외에도 동래에 입향한 최씨는 삭녕 최씨, 영천 최씨, 동래 최씨 등이 있다.

[연원]

최씨의 대종(大宗)인 경주 최씨는 신라의 전신인 사로(斯盧) 6촌 중 돌산 고허촌(突山高墟村) 촌장 소벌도리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6촌에 이(李)·최(崔)·손(孫)·정(鄭)·배(裵)·설(薛) 등 6성을 각각 사성(賜姓)한 것이 32년(유리왕 9)의 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사성 제도가 생긴 것은 중국 문화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미치기 시작한 5~6세기 무렵부터라고 보고 있다.

[입향 경위]

16세기 말에 정랑공(正郞公) 최호(崔灝)의 10세손 최묵(崔黙)이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중곡(中谷) 마을로 입거하였다.

[현황]

1934년 조선 총독부에 발행된 『조선의 성(朝鮮の姓)』의 동래군조에는 경주 최씨일광면 이천리에 17호, 장안면 덕선리에 28호, 사상면 감전리에 46호가 살고 있다고 했으며, 1937년 문기주(文錡周)가 편찬한 『동래군지』의 성씨조에는 경주 최씨가 우거(寓居)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경주 최씨는 3만 2131가구에 10만 4058명[남자 5만 1759명, 여자 5만 2299명]이 부산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 최씨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경주 최씨 세거지, 주례동 경주 최씨 세거지, 화명동 경주 최씨 세거지 등을 비롯하여 강서구 녹산동 중곡 마을, 기장군 장안읍 덕선리 내덕 마을[덕선리 경주 최씨 세거지],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당곡 마을 등지에서 세거하고 있다.

[관련 유적]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에 정무공파 사라 문중의 재실 사라재(士羅齋)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