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평택 임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359
한자 平澤林氏
영어의미역 Pyeongtaek Imsi|Pyeongtaek Im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김연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시조 임팔급(林八及)
입향시조 임중생(林重生)
입향 시기/일시 1636년연표보기 - 임중생이 신평동으로 입향
본관 평택 - 경기도 평택시
입향지 신평동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세거|집성지 신평동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정의]

임팔급을 시조로 하고, 임중생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임씨(林氏) 성은 중국 은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폭정을 삼촌인 비간(比干)이 죽음을 무릅쓰고 직간하다가 도리어 참형을 당하자 그의 아들 견(堅)이 장림산에 은거하면서 성을 ‘임(林)’으로 변성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임씨의 본관은 문헌에 216본으로 전해지나 1985년도 인구 조사에 의하면 나주·평택 그리고 평택에서 분적한 조양·진천·울진·예천·부안·순창·장흥·밀양·은진·옥구·경주·익산 등 90여 본으로 파악되었다. 나주 임씨는 고려 대장군 임비를 원조(遠祖)로 하고 있고, 그 나머지 임씨는 당나라 문종 때 신라에 와서 정착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하고 있다.

[연원]

평택 임씨는 우리나라 성씨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씨족의 하나로, 범임씨(汎林氏)의 도시조는 학사공(學士公) 임팔급이다. 그는 중국 당나라 말엽 문종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간신들의 참소를 받아 동료 일곱 학사와 함께 신라로 건너와 국가의 위난을 평정하고 팽성(彭城)[평택의 별호]의 용주방(龍珠坊)으로 옮겨 와 정착하였다. 그래서 본관은 평택으로 삼게 되었다.

평택 임씨는 후대에 와서 선산·진천·예천·부안·울진·은진·순창·경주·옥야 등 25개 관향으로 분관된다. 그러나 관향만 다를 뿐 임팔급을 유일조로 하는 동일 혈손이라는 것이 평택 임씨를 중심으로 한 대다수 문중의 공통된 견해이다.

[입향 경위]

임중생(林重生)은 임경업(林慶業)[1594~1646]의 후손으로1636년(인조 14) 충주에서 사하구 신평동으로 입향하였다.

[현황]

1934년 조선 총독부에 발행된 『朝鮮の姓』의 동래군조에는 평택 임씨구포면에 17호가 있다고 하였으며, 1937년 문기주(文錡周)가 편찬한 『동래군지』의 성씨조에는 평택 임씨가 세거(世居)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평택 임씨는 3,468가구에 1만 1408명[남자 5,681명, 여자 5,727명]이 부산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평택 임씨 세거지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