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지역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대기 현상의 종합적 평균 상태. 한반도 동남단에 자리하고 있는 부산 지역은 동해·남해로 둘러싸여 있다. 지형적으로는 금정 산맥[금정산 801.5m]과 금련 산맥[금련산 415m]을 중심으로 한 동부 구릉 지대와 낙동강 삼각주로 이루어진 서부 평야 지대로 구분된다. 금련 산맥은 동남쪽 해안선을 따라 북에서 남으로 발달해 있고,...
-
부산광역시에서 도시 발달에 따라 나타나는 기후 조건 또는 기후 현상. 도시는 자연 환경을 변형하는 각종 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곳으로 지표면을 덮고 있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 구조물, 대규모 에너지의 유입과 연소, 화석 연료 사용에 기인한 공해 물질, 높은 건물에 의한 수평적 에너지 교환 약화 등 매우 특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천연 상태의 지표가 모두 아스팔트와 콘크...
-
부산광역시의 기후 변화가 보건에 미치는 영향. 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로 한반도 기후 특성이 아열대화되어 가는 가운데 토지 이용, 인구 분포, 생태 환경 변화로 각종 질병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확산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기온의 변동, 강수 패턴, 폭풍의 강도, 홍수와 가뭄의 빈도, 해수면 상승 등으로 설명되는 전 지구적 기후 변화로 인간의 보건 환경도 크게...
-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부산의 기후적 특성. 우리나라의 관문인 항도(港都) 부산은 대한민국 본토의 남단으로 대한 해협을 건너 태평양과 접해 있어 해양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을 띤 온난한 지역이다. 연평균 기온이 14℃ 이상이고 한냉 지수(寒冷指數)가 -10℃ 이하인 난온대 삼림대(暖溫帶森林帶)에 속하며, 특히 해안선을 따라 난대계 식물과 해안 식물이 풍부하여 식물 분포상 중요한 지...
-
부산 지역에서 수증기가 비나 눈, 우박 등으로 바뀌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현상. 강수(降水)는 하늘에서 떨어져서 물이 될 수 있는 모든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비나 안개비 등이 지표면에 도달하는 경우를 강우(降雨)라 하고, 눈을 강설(降雪)이라고 한다. 한국의 연평균 지역별 강수량은 중부 지방 1,200~1,500㎜, 남부 지방 1,000~1,800㎜이다. 경상북도 지역은...
-
부산광역시에서 기상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 기상 재해(氣象災害)는 강풍, 호우, 대설, 가뭄, 낙뢰, 고온, 저온 등 이상 기상 현상으로 발생한다. 부산은 특히 홍수, 물 관리, 해수면 상승, 강풍 면에서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되어 기상 재해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조사 대상을 분류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전국 광역 시도별로 평가하였을 때, 홍수에 의한...
-
부산광역시의 대기 온도. 기온이란 기후 요소의 하나로 대기의 온도를 줄인 말이다. 기온의 측정은 고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므로 고도 기준이 존재하는데, 국제적으로는 1.25~2.0m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지상 1.5m를 기준으로 한다.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부산은 동쪽과 남쪽이 바다에 접해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산맥에 가로막혀...
-
부산 지역의 바다에 나타나는 기상 현상. 부산 지역은 한반도 동남단에 자리하여 남해와 동해에 접하고 있다. 그런 탓에 육상의 기후 특성뿐 아니라 바다 날씨도 중요하다. 날씨는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하는 대기의 종합적이며 평균적인 상태를 보는 기후와 달리 그날그날의 비, 구름, 바람, 기온 따위가 나타나는 기상 상태를 의미한다. 남해와 동해를 끼고 있는...
-
부산 지역의 공기의 움직임. 바람은 공기의 지표면에 대한 상대적 운동으로 풍향과 풍속으로 표시된다. 풍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뜻하며, 풍속은 공기가 이동한 경로의 길이와 이동에 소요된 시간의 비로 m/s[meters per second]로 표시된다. 바람은 대기 운동으로 지역 전체에 영향을 주지만, 지형 조건에 따라서 바람의 강도와 방향은 차이를 보인다. 한반도 동...
-
부산 지역에서 지표면 가까이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부옇게 떠 있는 기상 현상. 안개란 매우 작은 물방울이 지표면의 대기 중에 떠돌아다녀서 수평 시정(視程)[목표물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최대 거리, 거리에 따라 0~9계급으로 나뉨]이 1㎞ 미만인 경우의 기상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연간 안개 일수를 살펴보면 서해안 지방이 동해안보다 많다. 해안 지방은 여름철에, 도시는...
-
부산에 피해를 준 열대성 저기압. 태풍[typhoon]은 중심 최대 풍속이 17㎧ 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는 열대 저기압을 가리킨다. 적도 부근에서 발생해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며 고위도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저위도와 고위도 간의 열적 불균형을 해소하는 작용을 한다. 열대 저기압인 태풍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불리는데 북서태평양에서는 태풍[typhoon], 북중미...
-
1991년 8월 22일 발생하여 부산에 큰 영향이 끼친 태풍. 태풍 글래디스는 1991년 8월 22일 발생한 제17호 태풍이다. 글래디스의 진로는 북동진하여 일본과 한국 사이의 대한 해협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8월 23일 오전 9시경 북서진으로 바뀌며 남해안에 상륙해 계속 북서진하여 서해상으로 빠져나가 소멸하는 특이한 양상을 보였다. 태풍이 갑작스럽게 경로를 변경하면서 남...
-
2003년 9월 12일 부산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힌 태풍. 태풍 매미는 2003년 9월 6일 발생한 제14호 태풍이다. 발생 당시에는 열대 폭풍에 지나지 않았으나 북상하며 세력이 증가하였다. 한반도 상륙 당시 중심부 최저 기압이 950h㎩로 가장 낮아[중심부 기압이 낮을수록 세력이 강함] 우리나라의 기상 관측 이래 최저를 기록하였다. 최대 순간 풍속도 종전의 최고 기록을 경신하...
-
1959년 9월 17일 부산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힌 태풍. 태풍 사라호는 1959년 9월 11일 발생한 제14호 태풍이다. 우리나라의 기상 관측 이래 중심부 최저 기압이 가장 낮아[중심부 기압이 낮을수록 세력이 강함] 강풍을 동반하였다. 특히 부산은 9월 17일 직접 영향권에 들며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태풍 사라호는 부산 상륙 당시 일 최저 해면 기압 951.5hPa로,...
-
2006년 7월 10일 발생하여 부산에 큰 영향을 끼친 태풍. 태풍 애니위아는 2006년 7월 1일 발생한 제3호 태풍이다. 발생 후에는 북북서 쪽으로 이동하면서 중심 기압 930hPa, 최대 풍속 50㎧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하였다. 최성기를 지나 세력이 조금씩 약해지면서 7월 8일 밤부터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해 우리나라에는 7월 10일 오전 9시 중심 기압 975hPa,...
-
부산 지역의 강풍과 호우, 태풍 등으로 일어나는 재해. 풍수해(風水害)는 태풍 및 강풍에 의한 재해, 홍수 등 물에 의한 재해를 가리킨다. 우리나라의 풍수해는 주로 강수가 집중되는 여름에 발생하며, 장마 때 내리는 집중 호우로 수해와 태풍에 의한 풍해(風害)와 수해(水害)를 입는 것이다. 풍해와 수해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풍수해로 묶어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2010년...
-
부산 지역에서 물 부족으로 발생하는 기상 재해. 한해(旱害)는 물 부족으로 발생하는 기상 재해이다. 물 부족 현상은 비가 오랫동안 오지 않거나 적게 오는 기간이 지속되는 가뭄으로 한발(旱魃)이라고도 한다. 가뭄은 기상학적으로는 무강수 계속 일수로 정의되며, 기후학적으로는 월별 또는 연별 강수량을 동일 기간의 누년 평균치의 백분율로 표시되며, 농작물 생육에 직접 관계되는...
-
부산 지역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큰비. 호우(豪雨)는 대우(大雨)·강우(强雨) 등과 같은 뜻으로 사용한다. 단시간에 많은 비가 오는 것을 강우 또는 집중 호우라고 하고, 반드시 단시간에 한하지 않고 총 강수량이 많은 것을 호우라고 한다. 홍수 및 침수 등의 피해를 일으키는 많은 비를 가리키는데, 호우 내에 집중 호우까지 포함되는 개념이다. 집중 호우는 시간적 집중성과 공간...
-
부산광역시의 인간 생활에 나쁜 영향을 주는 대기 중 유해 물질 농도. 대기 오염(大氣汚染)은 자연적 원인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발생한 물질이 사람을 포함한 생물에 유해할 정도의 농도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1. 대기 오염의 원인 대기 오염은 기체 혹은 에어로졸(aerosol)의 형태를 띠며 인위적으로, 혹은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부산과 같은 대도...
-
부산 지역 대기에 발생하는 대기 오염 현상 중 하나. 스모그(Smog)는 매연(Smoke)과 안개(Fog)의 합성어로 매연과 안개가 섞이는 현상을 의미했는데, 현재는 대기 오염 물질로 인해 하늘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 전반을 일컫는다. 스모그는 일반적으로 석탄의 연소에서 생겨난 이산화 탄소와 일산화 탄소 등이 안개와 결합한 런던형 스모그와 자동차 배기가스의 질소 산화물에...
-
부산광역시의 시가지가 주변 지역보다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 도시 열섬 현상은 구조물, 도로 포장, 대기 오염 등 복잡한 원인으로 도시 내부 기온이 주변 교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건축물 등 도시 내부의 피복 물질은 낮 시간 동안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하다가 야간에 장파 에너지인 열로 배출하기 때문에 열섬 현상이 강화된다. 이 외에도...
-
부산 지역에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상의 물체 표면에 얼어붙은 기상 현상. 서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면 또는 지물의 표면이나 설면(雪面)[쌓여 있는 눈의 표면] 등에 승화해서 생긴 바늘 모양·부채 모양·비늘 모양 등의 얼음 결정을 말한다. 서리는 이슬이 생길 때와 같은 원인으로 지표면이 냉각될 때 온도가 0℃ 이하에서 생긴다. 서리가 발생하는 기상 조건은 맑고 바람이...
-
부산 지역에 발생하는 해양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해풍(海風)은 육풍(陸風)에 대비되는 용어로 해양에서 육지 쪽으로 부는 바람을 말한다. 해양과 육지의 열적 성질 차이, 즉 비열(比熱) 차이로 낮 시간에 빨리 가열된 육지 쪽에서 상승 기류가 발생하고 온도가 낮은 해양 쪽에서 하강 기류가 생겨 결과적으로 해양에서 육지 쪽으로 부는 해풍이 나타난다. 육지와 해양의 온도 차에...
-
부산광역시의 평균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 지구 온난화(地球溫暖化)는 대기와 해양의 온도가 장기간에 걸쳐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연차적으로 온도가 오르고 내리는 자연적이고 가변적인 변동과 달리, 장기적인 평균 온도에 비해 상승하는 경향을 뜻한다. 최근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가 내놓은 자료에 의하면, 지구 온난화...
-
해안에서 발생하는 바다 물결이 육지로 넘어오는 해면 변동 현상. 해일(海溢)은 조석, 기압 변화, 해수 밀도 변화, 해류, 태풍, 화산 활동, 지진, 산사태 등의 발생으로 바다의 물결이 육지로 넘어 들어오는 해면 변동 현상을 말한다. 이 중 바람, 기압의 변화, 강수 같은 기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해변의 변화를 폭풍 해일[storm surge]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
부산광역시에 내리는 산도 5.6 이하의 비. 산성비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인위적으로 배출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이 빗물에 녹아 산도가 낮아진 강우(降雨)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산도 5.6 이하면 산성비, 5 이하일 경우 강한 산성비로 분류된다. 스코틀랜드 화학자 로버트 스미스(Robert Smith)[1817~1884]는 환경 및 공중위생과 관련한 오염 문제를 다...
-
서풍을 타고 부산광역시로 들어오는 흙먼지. 황사(黃沙)는 중국 북부나 몽골의 건조, 황토 지대에서 바람에 날려 올라간 미세한 모래 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강하하는 현상 또는 강하하는 흙먼지를 말한다. 대기 중 입자상 오염 물질인 먼지는 여러 발생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되거나 대기 중에 배출된 여러 오염 물질들의 물리·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 또는 성장한다. 발...
-
부산광역시 관할의 해양에서 발생한 오염 현상. 해양 오염(海洋汚染)은 산업 폐수, 축산 폐수, 가정 오수, 선박 원유, 발전소 배출수, 광산 오염수 등이 해양으로 유입되어 해양 생물과 그 서식 환경이 위협받거나 파괴될 만큼 해양의 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참고로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르면, 해양 오염은 “생물 자원 및 해양 생태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 유해하고,...
-
부산 지역에서 공기 가운데 수증기가 들어 있는 정도. 습도는 일반적으로 현재 수증기량과 현재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의 비를 나타내는 상대 습도(相對濕度)[보통 단순히 습도라고 하며, 건습계로 잼]를 말한다. 습도의 높고 낮음은 단지 대기 중의 수증기량만 관계되는 것이 아니라 기온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날씨가 나쁘고 구름이 많을수록 습도는 높게 나타나며, 구름이 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