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549 |
---|---|
영어의미역 | Smog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일곤 |
[정의]
부산 지역 대기에 발생하는 대기 오염 현상 중 하나.
[개설]
스모그(Smog)는 매연(Smoke)과 안개(Fog)의 합성어로 매연과 안개가 섞이는 현상을 의미했는데, 현재는 대기 오염 물질로 인해 하늘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 전반을 일컫는다. 스모그는 일반적으로 석탄의 연소에서 생겨난 이산화 탄소와 일산화 탄소 등이 안개와 결합한 런던형 스모그와 자동차 배기가스의 질소 산화물에 의한 LA형 스모그로 구분된다. LA형 스모그는 광화학적 스모그라고도 부른다. 현대 도시의 스모그는 광화학적 스모그의 발생이 더 잦다.
[원인]
전통적으로 스모그의 원인은 석탄계 연료나 자동차 배기가스였으나, 부산과 같은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스모그는 아황산가스·이산화질소·탄화수소·미세 먼지·오존 등이 원인이다. 이 물질들이 태양빛에 의해 화학적 반응을 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광화학적 스모그로 칭해진다.
1. 아황산가스[SO2]
아황산가스는 연료 중 함유된 황 성분이 연소 과정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발생한다. 부산광역시의 대기 중 아황산가스 농도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그 동안 중점 추진해 온 유류의 황 함유량을 지속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대기 정책과 환경 기술의 개발 때문이다. 부산 지역의 아황산가스 농도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공업 지역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상업 지역, 주거 지역 순으로 나타난다. 부산 전역에서 아황산가스 농도는 상업 지역인 중구 광복동이 가장 높은데, 이는 부산항과 인접해 있어 선박 연료로 사용되는 고유황 유류의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 이산화질소[NO2]
질소 산화물은 각종 연료가 고온에서 연소할 때 발생되는 것으로 주배출원으로는 자동차가 있다. 부산광역시의 대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는 대기 환경 기준 이하이며, 2002년을 정점으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기 환경 개선 계획에 따라 제작된 자동차 배출 가스 강화 장치 및 저공해 자동차 보급 확대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주거지가 가장 낮으나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3. 오존[O3]
오존은 질소 산화물이나 탄화수소류 등의 1차 대기 오염 물질이 태양광선 중 자외선에 의해 광화학 반응이 일어나 생성되는 2차 오염 물질로서 그 생성량은 일사량, 기온 등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대기 중 오존 농도는 자동차 배출 가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최근 몇 년 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부산은 오존량이 타 시·도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해양 기원 오존의 영향으로 추정하고 있다. 스모그의 원인 물질 중 유일하게 주거 지역에서 더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
4. 미세 먼지[PM-10]
미세 먼지는 먼지 중 입경이 10㎛ 이하인 것으로 부산광역시에서는 1995년 1월 1일부터 주거 지역[북구 덕천동]과 상업 지역[부산진구 전포동], 공업 지역[사하구 신평동]에서 측정을 시작해 2010년 말 기준으로 18개 대기 오염 자동 측정소에서 측정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자동차 배출 가스, 연료의 연소 과정 및 공사장 등이다. 세밀한 측정과 감소 노력으로 2007년부터 점진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 황사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황]
현재 부산과 같은 대도시에서 스모그는 대기 오염과 동의어처럼 인식된다. 광화학적 스모그가 주를 이루면서, 주요 대기 오염 물질과 스모그 원인 물질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부산 지역은 바람이 강해 해안가에서는 대기 오염 물질이 잘 흩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여름철에는 해양 기원의 오존량 증가로 스모그 현상이 잦다. 또한 사상과 신평·장림 등지의 공업 지역은 공장에서 배출하는 오염 물질의 영향을 받으며, 도심 시가지는 자동차 배기가스의 영향을 받아 지역별로 다양한 원인 물질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강한 바람이 국지적으로 작용하며, 원인 물질을 분산시키는 면도 있지만, 일정 지역으로 모으기도 해 정체로 인한 스모그도 두드러진다. 전반적으로 부산 지역의 스모그는 서면과 남포동 등지의 도심부와 사상과 신평·장림 등의 공업 지역, 동래와 같은 분지형의 지역에서 자주 관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