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39 |
---|---|
한자 | 北區 |
영어의미역 | Buk-g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북구(北區)는 조선 시대 읍치가 있던 동래의 북쪽에 위치한 데서 명칭이 유래한 것으로 짐작된다.
[형성 및 변천]
북구는 고대에 변한에 속하였으며, 이후 금관가야에 해당하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조선 시대에는 현재의 북구 지역 대부분이 경상도 양산군 좌이면에 속하였고, 현재의 만덕동 일대[만덕리]는 동래부 서면에 속하였다. 1869년(고종 6) 양산군 좌이면이 동래부 좌이면이 되었다가, 1875년(고종 12) 다시 양산군 좌이면으로 복귀되었으며, 1896년(고종 33) 부산부 좌이면에 속하였다가 1897년(고종 34) 양산군에 다시 귀속되었다.
1910년 양산군에서 이관되어 부산부 좌이면이 되었고, 만덕리는 동래군 서하면에 속하게 되며, 1914년 좌이면에 속한 지역에 서하면의 만덕리를 병합해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이 되었다. 1943년 구포읍으로 승격되어 동래군 구포읍이 되었다가, 1963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및 사상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5년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및 사상출장소를 통합하여 시 직할 북부출장소를 설치하였고, 1978년 북구로 승격하며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 명지면 일원과 가락면의 대사리·북정리·상덕리·계도리 일원을 편입해 행정 구역을 확장하였다. 1983년 강서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발족하였고, 1989년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분리 독립하였다. 1995년 부산광역시 북구가 되었고, 삼락동·모라 3동·덕포동·괘법동·감전동·주례동·학장동·엄궁동이 사상구로 분리되어 나갔다.
[자연 환경]
북구는 북동쪽으로 금정산[801m]이 있고, 금정산에서부터 이어진 산줄기가 북쪽의 경계를 이루고 동쪽으로 상학산과 상계봉으로 이어지며 경계를 이룬다. 남쪽으로는 백양산이 주변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서쪽으로는 낙동강이 남쪽으로 흐르고, 동쪽의 산지에서 발원한 대천천·대리천·덕천천 등이 낙동강에 유입된다. 동쪽으로는 해발 고도 500~600m 산지이고, 서쪽으로는 강가의 낮은 평지라 전체적으로 동고서저의 지형이며, 시가지는 대부분 구의 서쪽에 낙동강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발달해 있다. 산성 고개와 만덕 고개 방향 산골짜기 안쪽으로 시가지가 발달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39.37㎢이며, 인구는 12만 3,082가구에 총 27만 5,773명으로 남자가 13만 5,532명, 여자가 14만 241명이다. 법정동은 금곡동·화명동·만덕동·덕천동·구포동 등 5개이며, 구청 소재지는 구포동에 있다. 행정동으로는 금곡동, 화명 1동·화명 2동·화명 3동, 만덕 1동·만덕 2동·만덕 3동, 덕천 1동·덕천 2동·덕천 3동, 구포 1동·구포 2동·구포 3동 등 13개가 있다.
북구는 북쪽으로 경상남도 양산시, 서쪽으로 강서구, 동쪽으로 금정구·동래구, 남쪽으로 부산진구·사상구와 접하고 있다. 동쪽 낙동강변을 따라 도시 철도 2호선과 만덕 고개를 통과해 동서로 관통하는 도시 철도 3호선이 지나가고,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며 경부선 KTX 정차역인 구포역이 있다. 또 남해 고속 국도가 제2 낙동 대교를 통해 덕천동으로 이어지며, 다대항 배후 도로와 남해 고속 도로를 연결하는 덕천 IC가 있다. 만덕 터널이 있어 동래와 북구를 연결하며, 화명 대교·구포 대교·낙동 대교를 통해 북구와 강서구·김해·창원이 연결되고 있다. 또한 초읍 터널 및 산성 터널 건립이 예정되어 있어 접근성 향상이 기대된다.
기존 중심지인 덕천동·구포동은 덕천 교차로 일대를 중심으로 유통·서비스업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으며, 화명동·금곡동은 화명 신도시가 조성되며 문화·교육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고, 만덕동은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구포동에는 단일 장으로 전국에서 손꼽히는 규모의 구포 오일장이 3·8일 열리며, 1919년 3월 29일 구포 장터 3·1 만세 운동을 기념해 매년 3월 말 구포 장터 3·1 만세 운동 축제가 열린다.
낙동강과 금정산, 백양산을 끼고 있는 천혜의 자연 경관을 바탕으로 부산 화명 수목원, 화명 강변 공원, 구포·화명·덕천 근린공원 등을 조성하여 친환경 생태 도시로의 발전을 도모하며, 낙동강 문화 대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북구의 슬로건은 ‘Hu Nature’로 ‘Human & Nature’의 합성어이다. 이는 풍부한 인적 자원과 천혜의 자연 환경을 바탕으로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어 살기 좋은 도시 창조의 비전을 나타내고 있다. 이전 캐릭터는 거북이를 의인화한 ‘우리 친구 북이’로 거북을 정감 있게 의인화하여 친근하고 다정하면서 유서 깊은 고장의 역사를 표현하였다.
구목(區木)은 깊은 뿌리, 넓은 수관, 끈끈한 생명력을 보이는 팽나무로 고장의 안녕과 구민의 굳건한 의지를 상징하며, 구화(區花)는 철쭉으로 타오르는 듯이 피어오르는 정열적인 꽃망울은 구민의 진취적인 기상과 구의 번영을 상징하고, 구조(區鳥)는 까치로 희망찬 미래를 기약하는 길조로서 고장 발전과 구민의 화합 단결을 상징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8.02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2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9 | 현행화 | 2020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39.37㎢이며, 인구는 12만 668가구에 총 28만 6,291명으로 남자가 14만 1,605명, 여자가 14만 4,686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2019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39.37㎢이며, 인구는 12만 273가구에 총 29만 3,704명으로 남자가 14만 5,449명, 여자가 14만 8,255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