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25 |
---|---|
한자 | 金谷洞 |
영어의미역 | Geumgok-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8.11㎢ |
가구수 | 18,148가구 |
인구(남, 여) | 38,120명[남 18,397명|여 19,723명]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동원동·화정동·공창동·대천동을 합쳐 동래군 구포면 금곡동 개설 |
변천 시기/일시 | 1943년 - 동래군 구포면 금곡동에서 동래군 구포읍 금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1월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에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금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8년 2월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금곡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금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금곡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으로 개편 |
법정동 | 금곡동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금곡동(金谷洞)은 일반적으로 동쪽에 위치한 금정산의 주봉인 고당봉에서 서쪽의 낙동강변으로 뻗은 큰 골짜기의 지명이 금곡이라서 붙여진 이름으로 전한다. 한편 금정산 서쪽 골짜기에 금맥을 찾아 뚫은 굴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가야 시대에 쇠를 녹이던 야철지(冶鐵址)가 있어 ‘쇠 금(金)’ 자를 써 금곡이라 이름 붙였다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금곡동은 조선 후기 양산군 좌이면에 속하였으며, 1906년 동래군 좌이면,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원동·화정동·공창동·대천동을 합쳐 동래군 구포면 금곡동이 되었다. 1943년 구포면이 구포읍으로 승격되어 동래군 구포읍 금곡동이 되었고, 1963년 1월 부산직할시에 편입되어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금곡동이 되었다. 1975년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를 통합한 북부출장소에 속하였고, 1978년 2월 북구 금곡동이 되었으며, 1995년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금곡동의 동쪽은 금정산이 있고, 서쪽은 낙동강이 흐른다. 동쪽의 금정산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서쪽으로 흘러 낙동강에 유입한다. 시가지는 낙동강변의 평지를 따라 길게 발달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8.11㎢이며, 인구는 1만 7,763가구에 총 3만 5,930명으로 남자가 1만 7,317명, 여자가 1만 8,613명이다.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하며, 자연 마을로는 공창리 마을·동원리 마을·율리 마을·화정 마을이 있었다. 금곡동은 북구의 최북단에 위치해 북으로는 양산시, 동으로는 금정구, 남으로는 화명동, 서로는 양산시와 강서구에 접한다.
서쪽 낙동강변을 따라 도시 철도 2호선, 다대항 배후 도로,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며 서북부 부산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관내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산지역본부·KT 금곡지점·부산광역시 교통문화연수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금곡 청소년 수련관 등이 있고, 도시 철도 2호선 역인 금곡역과 동원역이 있다. 또한 최근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관내 주민의 90%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하며, 영구 임대 아파트가 있어 저소득층에 대한 복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8.02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08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9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8.11㎢이며, 인구는 1만 8,168가구에 총 3만 9,164명으로 남자가 1만 8,958명, 여자가 2만 206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8.11㎢이며, 인구는 1만 8,152가구에 총 4만 365명으로 남자가 1만 9,583명, 여자가 2만 782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