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637 |
---|---|
한자 | 釜山廣域市北區廳 |
영어공식명칭 | Buk-Gu Office Busan Metropolitan City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1570번길 33[구포동 1124-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세화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북구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개설]
부산광역시 북구청은 기초 지방 자치 단체인 부산광역시 북구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대표 기관으로, 부산광역시 북구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북구의 행정과 민원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주민 복지 증진과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75년 8월 30일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면서 부산진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구포동의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1963년 1월 1일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동래군의 구포읍과 사상면 지역이 시역으로 편입되어 부산진구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가 설치되었다]가 전신이다. 1978년 2월 15일 구로 승격되어 부산직할시 북구청으로 변경하면서, 경상남도 김해군으로부터 대저읍, 가락면, 명지면[지금의 강서구 지역]을 편입하였다. 1983년 5월 1일 편입 지역이 시 직할 강서출장소로 분리되었고,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되면서 강서출장소를 다시 편입하였다. 1989년 1월 1일 강서구의 분구로 강서출장소를 폐지하면서 3개 동을 이관하였고,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북구청으로 변경하였다. 1995년 3월 1일 사상구가 분구되어 8개 동을 이관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역대 북구청장은 제1대 신상돈[~1978년 8월 1일], 제2대 강판녕[~1980년 7월 18일], 제3대 황길태[~1983년 12월 26일], 제4대 정태영[~1986년 3월 7일], 제5대 김만연[~1988년 6월 14일], 제6대 신상돈[~1989년 11월 20일], 제7대 이영택[~1990년 6월 18일], 제8대 서종수[~1991년 7월 17일], 제9대 정병호[~1993년 3월 28일], 제10대 변익규[~1995년 3월 27일], 제11대 권익[~2002년 6월 30일; 민선 제1기, 제2기], 제12대 배상도[~2006년 6월 30일; 민선 제3기], 제13대 이성식[~2010년 6월 30일; 민선 제4기] 등이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북구의 행정 구역 관리, 조례와 규칙의 제정, 예산의 편성과 집행, 지방세 부과와 징수, 국가 재산의 관리, 호적과 주민 등록 관리, 복지 및 위생, 환경 보호와 개선, 산업 진흥, 지역 개발, 재난 안전 관리 등의 행정 및 민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희망찬 미래, 행복한 북구’라는 슬로건 아래, 인재를 양성하고 삶이 풍요로운 교육·문화 도시 조성,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는 녹색 도시 건설, 나눔과 협력을 통한 행복한 복지 도시 조성, 소통과 참여로 구민이 주인 되는 열린 행정 구현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구청장[제14대 황재관, 2010년 7월 1일~현재, 민선 제4기·5기] 아래 부구청장, 기획실, 감사실, 총무국[행정지원과, 문화체육과, 재무과, 세무과, 민원봉사과], 주민생활지원국[복지행정과, 자립지원과, 주민복지과, 경제진흥과, 청소행정과, 환경위생과, 청정녹지과], 도시국[교통행정과, 도시디자인과, 재난안전관리과, 건축과, 건설과, 토지정보과], 보건소[보건행정과, 덕천지소], 북구 문화 빙상 센터, 북구디지털도서관, 화명도서관 등으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으며 487명의 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39.44㎢[부산광역시 전체의 5.1%]의 면적에 구포 1동, 구포 2동, 구포 3동, 금곡동, 화명 1동, 화명 2동, 화명 3동, 덕천 1동, 덕천 2동, 덕천 3동, 만덕 1동, 만덕 2동, 만덕 3동 등 13개의 행정동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5개의 법정동, 284개의 통과 1,440개의 반 등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