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509 |
---|---|
한자 | 大里川 |
영어의미역 | Daericheon Stream |
이칭/별칭 | 구포천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반용부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을 흐르는 하천.
[명칭 유래]
대리천은 구포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인 대리 마을을 지나고 있어서 붙은 이름이며, 구포 지역에 있는 하천이라 하여 구포천이라고도 부른다.
[자연환경]
대리천은 불태령(佛態嶺)[614m]의 서쪽 사면 계곡에서 발원하는 계류[계곡을 흐르는 소하천]와 금수사 부근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787번 지선과 백양산[637m]의 서쪽 계곡에서 발원하는 계류가 운수사 계곡을 지나며 합류해 소당 폭포를 이루고 대리 마을로 흘러들어 구포초등학교 부근을 지나 구포 시가지를 통과하는 도시 하천이다. 대리천은 상류부의 하도가 급사면을 이루나 대리 마을을 지나면서 경사가 완만해진다. 대리천은 덕천천과 덕천 배수장에서 합류되어 낙동강으로 유입한다.
[현황]
대리천의 총 유로 연장은 1.6㎞, 유역 면적은 3.6㎢이다. 대리천은 시가지화 된 구포 지역을 흐르는데, 총 연장 1.6㎞ 중 875m가 복개된 도시 하천이다. 대리천의 하류 지역은 고도가 낮은 평탄 저지대로 호우 시 구포 시가지 주변 일대가 범람으로 종종 침수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침수 피해를 막고자 낙동강 합류점에 덕천 배수장이 설치되었다. 하천이 흐르는 구포 지역이 김해 지역과 강서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성장하면서 복개된 대리천 구간은 대부분 도로와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