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명지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087
한자 鳴旨洞
영어의미역 Myeongji-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행정동
면적 15.67㎢
가구수 30,947가구
인구(남, 여) 83,975명[남 42,087명|여 41,888명]
개설 시기/일시 1978년 -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이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며 명지동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83년 - 북구 일부 지역이 강서출장소로 독립
변천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명지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으로 개편
법정동 명지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법정동.

[명칭 유래]

명지동명지도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명지도의 지명 유래에 대해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 ‘큰 비나 가뭄이 오거나 큰 바람이 불어오거나 하면 반드시 우는데 그 소리가 어떤 때는 천둥소리, 북소리 혹은 종소리 같기도 하다. 그러나 이 섬에서 들어보면 그 소리가 멀어져서 들려오는 것 같으나 어디에서 울려 오는지는 알 수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명지도는 명호(鳴湖)라고도 부른다.

[형성 및 변천]

『여지도서(輿地圖書)』[1757]에는 명지도에 대해 ‘육로 10리, 수로 40리의 거리에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 후기에는 김해군 명지면이었다가 1978년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면서 명지동이 되었다. 1983년 북구 지역 일부가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로 독립하였다. 1989년 강서출장소가 김해군 가락면과 농산면, 의창군 천가면을 편입하여 강서구로 승격되었고,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명지동은 낙동강 삼각주의 최남단에 있는 명지도순아도[명지의 북부를 이루는 모래톱으로 낙동강에서 운반된 토사가 형성한 하중도]에 해당한다. 동쪽으로는 낙동강이, 서쪽으로는 서낙동강이, 북으로는 평강천이 흐른다. 낙동강의 토사가 형성한 명지도순아도는 기복 없는 넓은 평지가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낙동강 하구에는 대마등이 형성되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5.65㎢이고, 인구는 3만 1,888가구에 총 8만 4,540명에 남자가 4만 2,345명, 여자가 4만 2,195명이다. 주로 갈대가 채취되던 곳이었으며, 특산물은 소금으로 한때 영남 전역에 공급할 정도로 유명하였다. 지금은 전국 최대의 대파 생산지로, 주민의 주 소득원은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은 대파, 김, 재첩 등이다. 자연 마을로 경등 마을, 동리 마을, 사취등 마을, 상신 마을, 새동네 마을, 순아도 마을, 신포 마을, 영강 마을, 진동 마을, 진목 마을, 전등 마을, 조등 마을, 중리 마을, 중신 마을, 평성 마을, 하신 마을, 해척 마을이 있다.

1934년 명지 방조제가 건설되었으며, 명지 나들목과 국도 2호선이 확장, 완공됨에 따라 서부산권의 교통 요충지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을숙도를 거쳐 사하구를 잇는 을숙도 대교가 건설되었다. 낙동강 변의 제방에 이어지는 명지 방조제가 해안을 감싸며 농토를 보호하고 진해~부산 간 국도가 섬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함에 따라 제방 구실을 하였으나, 지금은 명지 주거 단지와 진입 도로가 완공되어 방조제 역할을 한다. 하구 일대는 철새 도래지[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4.09.20 현행화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2022.11.10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2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5.67㎢이고, 인구는 28,954가구에 총 8만 1,171명에 남자가 4만 544명, 여자가 4만 627명이다
2020.05.28 현행화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5.67㎢이고, 인구는 25,842가구에 총 7만 3,651명에 남자가 3만 6,742명, 여자가 3만 6,909명이다
2019.05.02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