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144
한자 新浦-
영어의미역 Sinpo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2통|22통 신포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갑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개설 시기/일시 1934년 -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 신포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 신포 마을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명지동 신포 마을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3년 - 북구 일부 지역이 강서출장소로 독립
변천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명지동 신포 마을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신포 마을로 개편
자연 마을 신포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2통·22통 신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1934년 부산~진해 간 국도 2호선이 개통되며, 그 동쪽의 맥도강평강천이 합류해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지점에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서 ‘신포(新浦)’라고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신포 마을은 1934년 국도 2호선이 진목 마을을 중심으로 통과하며 그 동쪽에 새로 형성된 마을이다. 형성 당시 마을이 속한 지역은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이었다. 1960년에는 영강 마을에서 100여 년 전부터 이어져 온 명지장과 우시장이 이곳으로 옮겨 왔다. 또한 영강 마을에 있던 명지에서 부산 하단으로 가는 도선장인 명지 나루터가 1970년경 신포 마을로 옮겨 와 하단장과 명지장을 연결하였다.

1978년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면서 명지동이 되었으며, 1983년 북구 지역 일부가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로 독립되었다. 1984년 낙동강 하구 둑이 완공되며 명지 나루터는 폐쇄되고 육상 교통으로 연결되었으며, 1989년 강서출장소가 부산직할시의 자치구인 강서구로 승격하였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신포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명지도의 동쪽에 자리하며, 서쪽으로는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을숙도와 마주한다. 마을 북쪽에서 맥도강평강천이 합류하며 낙동강으로 유입한다.

[현황]

신포 마을명지동 2통·22통 지역으로, 르노삼성 대로가 마을 서쪽을 지나고 남쪽으로는 명호교가 있다. 1984년 5월 낙동강 하구 둑이 완공되면서 마을 앞에 신포 삼거리가 건설되고, 구포·하단·진해·명지 주거 단지로 가는 나들목이 설치되면서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이후 하구 쪽 강변을 따라 건물이 신축되면서 신포 활어 센터가 조성되는 등 현대식 상가가 형성되어 명지동의 중심지로 변모하였다. 마을 남동쪽 끝단에는 신포 선박 출입항 신고서와 신포 출장소가 자리하고 있다. 마을 내에 명지우체국, 부산광역시 수협 낙동지점, 명지해수탕이 있다.신포 마을에서는 신포시장을 중심으로 매년 9월 4일~6일까지 명지 전어 축제가 열린다. 현재 마을 주민의 대부분이 신포 시장과 관련된 상인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