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093
한자 西洛東江
영어의미역 The West Nakdong Rive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하천
면적 285.1㎢
길이 26.4㎞
572m[최대]|235m[최소]
전구간 서낙동강 - 부산광역시 강서구
해당 지역 소재지 서낙동강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흐르는 하천.

[명칭 유래]

삼각주의 형성으로 낙동강이 분류(分流)되며 삼각주의 서쪽을 따라 흐른다 하여 서낙동강(西洛東江)으로 불렀다.

[자연 환경]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낙동강의 상류에서 운반되어 온 토사의 퇴적으로 삼각주[하중도]가 형성되었다. 낙동강에 만들어지는 삼각주로 인해 하천의 유로가 2개의 강으로 분류되어 동쪽 유로를 택한 동낙동강과 서쪽 유로를 택한 서낙동강으로 각기 나뉘어 흐른다. 서낙동강대사리에서 평강천이 갈라져 흐르고 두 강의 사이에 대사도가 발달해 있다. 서낙동강 본류는 대사도의 북쪽을 따라 흐르다가 남으로 곡류하며 김해와의 사이를 흐른다. 남쪽으로 흐르는 하도 상에는 안치등과 수안치등을 비롯해 중사도둔치도 등의 하중도가 나타나며, 둔치도 남단에서 김해로부터 흘러든 조만강과 합류하여 노적봉을 지나 남해로 흘러든다.

[현황]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대저도 북단과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남단의 대저 수문에서 녹산 수문까지 이어지는 호수화된 국가하천으로 녹산 제2교에서 남해로 유입한다. 서낙동강 본류는 18.5㎞, 평강천맥도강을 합치면 38.9㎞로, 너비는 좁은 곳이 235m, 넓은 곳은 572m이다. 서낙동강은 염해를 방지하고 담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해, 1934년에 대저 수문과 녹산 방조 수문을 만들어 하천 양안의 비옥한 삼각주 평야와 삼각주 주변 분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도시화와 김해 지역의 교외화 현상으로 서낙동강 양안이 농업 중심에서 상공업 중심으로 변화되었으며, 인구가 급증하여 지류에서 유입된 생활 하수와 공장 폐수로 인해 수질이 크게 오염되어 용수 이용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서낙동강 유역에 경제 자유 구역과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하천 주변은 더 큰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서낙동강을 통과하는 다리로는 낙동강서낙동강이 분기하는 지점에 대저교가 있고, 북쪽으로 중앙 고속 도로와 연결되고 남해 고속 도로가 통과하는 불암교, 부산 김해 경전철이 통과하는 김해교, 강동교, 서낙동강교, 조만강 합수점에 자리한 둔치 2호교, 하구언 둑에서 연결되어 노적봉을 통과하는 낙동남로, 신호 대교가 있어 동서간의 연결로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