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056 |
---|---|
한자 | 大渚一洞 |
영어의미역 | Daejeo 1[il]-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대저(大渚)라는 지명은 낙동강 어귀에 형성된 ‘큰 모래톱’에서 비롯되었다.
[형성 및 변천]
대저1동은 『여지도서(輿地圖書)』[1757]의 『양산군읍지(梁山郡邑誌)』에 ‘대상하동방(大上下同坊)’에 속해 있었으며, 이 중 대상면이 대저1동의 출두(出頭)·사덕(沙德)·대지(大地)·평강(平江)에 해당된다. 1906년(고종 41) 경상남도 김해군에 편입되며 대저면이 되었다가 1973년 대저읍으로 승격되었다. 1978년 부산직할시 북구로 편입되면서 대저1동과 대저 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3년 북구 지역 일부가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로 독립되었다가 1989년 김해군 가락면과 농산면, 의창군 천가면을 편입하여 강서구로 승격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대저1동은 낙동강 삼각주인 대저도의 북단 동쪽에 있으며, 북쪽은 서낙동강과 접하며 동쪽은 낙동강과 사상구와 접해 있다. 낙동강 삼각주의 상부에 위치하여 대부분 평야 지역이다. 지질 구성은 주로 자갈, 모래, 진흙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두꺼운 제4기 충적층이 퇴적되어 있다. 지표면에서부터 점차 하부로 내려갈수록 상층에는 모래층이 퇴적되고, 그 하층에는 점성토층 그리고 이 점성토층 하부에는 다시 모래층이 퇴적되었다. 그 하부에는 사력층[자갈로 이루어진 지층]이 있고, 사력층 하부에는 자갈 또는 자갈이 혼재된 풍화가 심한 층이 있으며, 아래에 기반암층이 있다. 홍수가 일어날 때마다 침수가 잦아 조선 후기의 양안(量案)에는 농지 대부분이 4~6등급이었다. 일제 강점기 대동 수문과 제방을 축조한 이후 농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7.73㎢이며, 인구는 3,505가구에 총 5,938명에 남자가 3,287명, 여자가 2,651명이다. 자연 마을로 대저 신정 마을, 대지 동연정 마을, 대지 상리 마을, 대지 서연정 마을, 대지 중리 1구 마을, 대지 중리 2구 마을, 대지 중촌 마을, 대지 하리 마을, 사덕 상리 마을, 사덕 신덕 마을, 사덕 신장로 마을, 출두 당리 마을, 출두 번덕 마을, 출두 신촌 마을, 평강 대리 마을, 평강 사리 마을, 평강 칠점 마을, 평강 하리 마을이 있다. 신정 마을은 행정 구역상 대저동에 속하지만 김해시 대동면과 접해 있다.
낙동강 삼각주상에 위치해 토마토·오이 등 시설 원예 채소 등을 재배하여 도시 속 농촌 모습을 보인다. 북동쪽에는 1934년 김해평야의 관개용수 조절 및 낙동강 선박 출입과 홍수 방지 조절용으로 건설된 대저 수문이 있으며, 1992년 준공된 녹산 제2 수문으로 인해 배수 능력이 더욱 증대되었다. 부산교도소 등의 공공 기관과 교육 기관이 있어 강서구의 중심 기능을 담당한다. 남해 고속도로와 국도 등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20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0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7.80㎢이며, 인구는 3,877가구에 총 6,970명에 남자가 3,856명, 여자가 3,114명이다 |
2020.05.28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7.80㎢이며, 인구는 3,817가구에 총 7,113명에 남자가 3,966명, 여자가 3,147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