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104 |
---|---|
한자 | 沙德新長路- |
영어의미역 | Sadeok-Sinjangro Village |
이칭/별칭 | 나룻가,나릿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4통|5통|6통 사덕 신장로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배병욱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사덕 신장로(沙德新長路) 마을은 사덕리(沙德里)와 신장로(新長路)를 합성한 지명이다. 사덕리는 상리·신장로·신덕 3개 마을의 옛 지명으로 모래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며, 신장로는 마을 앞에 새로 만들어진 신작로의 변형이다.
[형성 및 변천]
사덕 신장로 마을의 형성 시기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일찍부터 사덕리의 일부로 자연 마을이 구성되어 있었다. 1908년 낙동소학교[현 대상초등학교]가 설립되고, 1916년 대저수리조합 사무소가 설치되는 등 대저면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이후 1930년대 구포 다리가 개통되며 신장로 마을로 불리기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이 시기 마을은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 사덕리에 속하였으며, 1973년 대저면이 대저읍으로 승격되었다.
1978년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면서 대저 1동과 대저 2동으로 분동되며 대저 1동에 속한 사덕 신장로 마을로 개칭되었다. 1983년 북구 지역 일부가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로 독립하였다. 1989년 강서출장소가 김해군 가락면과 농산면, 의창군 천가면을 편입하여 강서구로 승격하여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속하였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 사덕 신장로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사덕 신장로 마을은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인 대저 평야에 위치하며, 하중도인 대저도의 북서쪽에 자리하고 있다. 갈대밭을 개간한 농지가 넓고 평탄하게 나타나며, 북쪽으로 서낙동강이 흐르고 동쪽으로 낙동강이 흐른다.
[현황]
사덕 신장로 마을은 대저 1동 4통·5통·6통에 속한 마을로 마을 북쪽으로 남해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동쪽으로는 공항로가 통과하며 구포 대교[1933년 3월 17일 구포 다리가 개통되었으나 2007년 철거된 뒤 재개설됨]와 도시 철도의 철교가 놓여 동쪽의 북구와 연결되어 있다.
사덕 신장로 마을 내에 강서구청을 비롯하여 대저 1동 주민센터, 우체국, 소방서, 경찰 지구대, 강서문화원, 한국농어촌공사 김해양산지사, 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은행 등 각종 기관이 밀집한 강서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사덕 신장로 마을은 예부터 나루터가 발달한 교통의 요충지여서 1880년대부터 섬장이라고 하는 5일장이 개설되었는데, 이후 대저장으로 개칭되며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