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980 |
---|---|
한자 | 反核釜山市民對策委員會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일 |
[정의]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반핵 시민 단체.
[개설]
부산광역시에는 5기의 핵 발전소가 가동 중이고, 5기의 핵 발전소가 건설 중이며, 추가로 2기의 핵 발전소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2023년이 되면 부산에는 총 12기의 핵 발전소가 가동되게 된다. 수명이 끝난 핵 발전소 고리 1호기는 2008년부터 연장 가동되어 2017년 말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12기의 핵 발전소가 가동 될 예정이고, 발전소 수명 연장도 진행되고 있음에도 부산광역시의 정책과 대안은 전무한 상황이다.
[설립 목적]
후쿠시마 핵 발전소 사고 이후 핵 없는 부산과 핵 없는 대한민국을 최종 목표로, 부산의 핵 문제에 대해 시민 사회가 올바로 대응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변천]
2011년 4월 7일 30여 개 단체의 연합으로 설립되었으며, 2013년 현재 60여 개 단체로 확대되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반핵부산시민대책협의회는 핵 사고에 대한 시민 안전 대책을 촉구하고 핵 발전소 운영에 시민 사회의 참여를 확대하고자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밀양 송전탑 관련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단체이다. 반핵부산시민대책협의회는 일본 핵 사고에 따른 방사능 피해 모니터링, 핵 사고 재난 대비 부산시 매뉴얼 마련을 위한 간담회 개최, 방사능과 핵 발전소에 대한 시민 이해를 돕기 위한 시민 강좌와 캠페인, 수명 연장하여 가동 중인 고리 1호기 가동 중단, 신고리 발전소 추가 건설로 인한 핵 단지화 저지, 부산 지역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정책적 대응 등의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핵 바로 알기 시민 강좌, ‘고리 1호기 가동 중지 가처분 소송’ 전개, 시민 캠페인 활동, 후쿠시마 행사 등을 통해 지속적인 반핵 활동을 전개 중이다. 또한 2013년에는 밀양 송전탑 공사 중단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현황]
2013년 현재 집행위 단체 22개와 가입 단체 39개 등 총 61개 단체가 연합하여 활동하고 있다. 구성은 61개의 회원 단체를 중심으로 상임 대표와 집행 위원, 실무 간사로 이루어져 있다. 활동은 네이버 카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가입 단체는 건강도시시민네트워크, 765Kv 송전탑반대 고(故) 이치우열사 분신대책위원회, icoop 남부산생협, icoop 동래생협, icoop 푸른바다생협, icoop 해운대생협,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 낙동강오염방지협의회, 노동인권연대, 노동자생협, 녹색당 부산시당 창준위, 대천마을학교, 대학생사람연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산지역본부, 민주주의사회연구소, 민주통합당, 반핵평화군축시민연대, 백양산롯데골프장저지주민대책위원회, 부산YWCA, 부산YMCA, 부산경남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산녹색연합, 부산민족예술인총연합, 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산생태공부모임 구들장, 부산생협, 부산시민센터, 부산여성환경센터, 부산여성회,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부산초록온배움터준비위원, 부산환경운동연합, 부산흥사단, 사회복지연대, 새날교회, 생명그물, 생태유아공동체, 습지와 새들의 친구, 시민생산자생협, 실업극복지원센터, 에너지정의행동, 자원순환시민센터, 부산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재미난 복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 진보신당 부산시당, 참교육학부모회,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천주교 우리농촌 살리기, 통합진보당 부산시당, 한살림, 환경과 자치 연구소 등이다.
[의의와 평가]
반핵부산시민대책협의회는 이러한 핵 발전소의 위협을 시민 활동의 측면에서 대응하고 있다. 시민에 대한 홍보, 캠페인, 세미나 등을 통해 사회적 관심과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