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986
한자 全國敎職員勞動組合釜山支部
영어공식명칭 The Busan Branch of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al Workers‘ Uni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1043번길 50[연산동 1369-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지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노동조합
설립자 부산 지역 교직원
전화 051-853-6518
홈페이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http://busan.eduhope.net)
설립 시기/일시 1989년 6월 12일연표보기 - 결성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7월 1일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합법화
최초 설립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 - 부산광역시지도보기
현 소재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43번길 50[연산동 1369-9]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소속 지부.

[설립 목적]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는 ‘참교육’, ‘민족·민주·인간화 교육’을 기치로 결성하였다.

[변천]

1960년 4·19 혁명 이후 결성된 교원노동조합은 1961년 5·16 군사 정변에 의해 탄압받았다. 1986년 5월 10일 교육 민주화 선언[한국YMCA 산하 중등교육자협의회 회원 교사 540여 명이 참여, 부산 교사는 15여 명] 이후 평교사회 결성 운동, 사학민주화 투쟁, 민주교육추진 전국교사협의회 결성으로 교직 단체 활동을 시작하였다.

1989년 5월 2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창립하였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는 동년 6월 12일 결성되었다. 노태우(盧泰愚) 정권으로부터의 엄청난 탄압[1,527명 교사 파면, 해임]에도 불구하고 10년을 싸운 끝에 김대중(金大中) 정부 때인 1999년 7월 1일자로 합법화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2012년 현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의 주요 활동은 ‘새 학교 운동’이다. 진보 교육감이 선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혁신 학교 운동과 일본 사토 마나부[佐藤學] 교수의 배움의 공동체 교육 운동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향후 과제는 첫째, 학부모와 협력하여 학생들이 참된 행복과 배움의 기쁨을 얻을 수 있는 학교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교섭 정상화를 통해 부산 지역 학교의 변화 모색이다. 셋째, 학교 밖 교육 운동[대안 학교 등]과 보다 광범위하고 지속적으로 연대하는 것이다.

[현황]

2012년 현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의 조합원 수는 3,000여 명이다. 지회로 남부지회, 동래지회, 북부지회, 서부지회, 해운대지회, 초등남부지회, 초등북부지회, 초등서부지회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지난 20여 년 동안 부산 지역의 사회 민주화와 교육 민주화·정상화 운동의 구심 역할을 해 왔다. 부산 교육 전체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교육감과 교육 위원 선거에 나서기도 했으며 일상적으로는 학교 현장의 부조리와 관료주의를 개선하고 학생들의 바람직한 성장과 인권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벌여 왔다.

[참고문헌]
  • 전국교직원노동조합(http://www.eduhope.net)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http://busan.eduhope.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