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049 |
---|---|
한자 | 釜山參與連帶 |
영어공식명칭 | Citizen's Solidarity for participation of Busan |
이칭/별칭 | 참여와 자치를 위한 부산지역시민연대회의,부산참여자치시민연합,부산참여자치연대,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909번길 6[양정동 393-1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노승조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지방 자치 관련 시민 단체.
[개설]
부산참여연대는 정치 행정 개혁과 자치 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애드보커시(Advocacy)[전방위 권리 옹호]형의 종합 시민 단체이다.
[설립 목적]
부산참여연대는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생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율적이고 다양한 시민운동을 실천함으로써 다원적인 참여 민주주의 사회의 실현과 자치 공동체 문화의 창달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91년 5월 28일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 62-730번지에서 ‘세상을 밝히는 시민의 힘’이라는 슬로건 아래, 참여와 자치를 위한 부산지역시민연대회의를 창립하였다. 1994년 11월 부산시민 의정참여단을 발족하였다. 1995년 4월 22일 제5차 정기총회에서 부산참여자치시민연합으로, 1999년 3월 10일 제9차 정기 총회를 통하여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로 각각 개칭하였다.
1999년 8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94-27번지로 이전하였다. 2000년 부산광역시에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하였고, 2001년 2월 8일 제10차 정기 총회를 통하여 지방분권운동본부를 발족하였다. 2007년 지정 기부금 단체로 인정되었고, 2017년 3월 10일 부산참여연대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지방 자치·지방 분권 운동과 정치 행정 개혁 운동, 시민 권리 찾기 운동, 아파트 공동체 운동, 녹색 교통 운동 및 사회 복지 운동, 시민 교육 사업 등의 활동을 전개해온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권력 감시형 종합적 시민운동 등에 주력하고 있다. 지역의 주요 현안에 대한 대응을 하는 동시에 시민들의 절실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스스로의 권리를 찾을 수 있는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상적으로는 시정과 의정을 감시·견제하는 활동을 통해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 대중교통 요금, 서민 경제, 국제 행사 유치, 행정의 낭비적 사례나 의정비, 공무 국외 여행 등에 대한 모니터 활동을 하고 있다. 주민 참여 예산제 등 주민 직접 참여 제도나 시장 공약 평가 사업, 지방 분권과 균형 발전 관련 정책적인 사업도 전개하고 있다.
[현황]
부산참여연대 조직은 2012년 기준 총회, 고문, 대표, 감사, 정책 자문단, 후원 이사회, 운영 위원회, 인사 위원회, 사무처, 권력 감시 운동 본부[집행위원회, 도시·문화사회·시민권리·지방자치·재정경제위원회], 풀뿌리 운동 본부[집행위원회, 10개 지회, 편집위원회, 자치모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무처에 실무 책임자 1명[사무처장]과 비상근 활동가 7명이 근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참여연대는 정치 행정 개혁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행권 개선 운동 및 사회 복지 운동 등 종합적 시민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함으로써 부산 지역의 교통과 사회 복지 운동 등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단체로 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지방 자치와 함께 단체의 활동을 시작함으로써 균형감 있는 지방 자치를 실현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