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028
한자 民主統合黨釜山廣域市黨
영어의미역 Democratic Unionist Party Busan Metropolitan City
이칭/별칭 민주당 부산시당,민주통합당 부산시당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63[초량동 1147-1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정당 조직
설립자 민주통합당
전화 051-802-6677
홈페이지 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http://busan.minjoo.kr)
설립 시기/일시 2011년 12월 16일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1147-14 국제 오피스텔 5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63[초량동 1147-1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민주통합당 소속 시당.

[설립 목적]

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민주통합당 당헌[2013. 2. 27] 제2조에 의해, 국민 모두에게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는 경제 민주화의 실현, 보편적 복지를 국민의 기본적 권리로 보장하는 복지 국가 건설, 한반도 평화 통일, 동북아 지역 협력과 발전을 이루는 미래 지향적 대한민국 건설을 위하여 창당된 민주통합당 중앙당의 지역 조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87년 평화민주당, 1991년 신민주연합당, 1991년 민주당,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2000년 새천년민주당, 2003년 열린우리당, 2005년 민주당, 2007년 중도통합민주당, 2007년 민주당,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 2008년 통합민주당, 2008년 민주당 등으로 이어져 오다, 2011년 12월 16일 민주당[2008년 2월 17일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합당으로 창당]과 시민통합당[2011년 12월 7일 창당],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46년 3월 10일 창설]의 통합으로 민주통합당이 창당됨에 따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서 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으로 설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산하 자치구·군 등의 지역과 중앙당의 가교 역할을 하면서 지역에서 정책 등에 관한 여론을 수렴하여 중앙당으로 전달하고, 중앙당의 정책을 지역으로 전파·홍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방 선거와 국회 의원 선거 시기에는 당내 후보가 입후보한 선거구에 선거 사무소를 설치하여 선거를 지원한다. 또한 전국 대의원 대회가 개최되는 시기에는 상무 위원회에서 대의원을 추천하고, 시당 위원장과 사무처장이 시당을 대표하여 중앙 위원회에 참석하며, 시당 위원장이 시당을 대표하여 당무 위원회에 참석한다. 시당 위원장 선출 등 필요시에는 시당 대의원 대회도 개최한다.

[현황]

2013년 2월 현재 민주통합당 산하 16개 시·도당 중 하나로 부산광역시 전체를 관할하고 있으며 산하에 중·동구, 서구, 영도구, 부산진구 갑, 부산진구 을, 동래구, 남구 갑, 남구 을, 북·강서 갑, 북·강서 을, 해운대·기장 갑, 해운대·기장 을, 사하 갑, 사하 을, 금정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등 국회 의원 선거구별로 18개의 지역 위원회를 두고 있다. 시당 대의원 대회, 위원장[박재호], 부위원장단[수석 부위원장 명철진과 34명의 부위원장], 고문단[상임 고문 15명, 고문 31명], 대변인, 상무 위원회, 운영 위원회, 사무처, 11개 위원회[여성 위원회, 청년 위원회, 노인 위원회, 장애인 위원회, 노동 위원회, 지방 자치 위원회, 대외 협력 위원회, 윤리 위원회, 정치 혁신 위원회, 소통 위원회, 정책 위원회] 등의 조직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시당 위원장, 사무처장 2명, 정책실장, 조직국장, 공보국장, 여성국장, 직능국장, 홍보팀장, 청년국장, 인터넷소통팀장, 총무부장 등 12명의 당직자들이 상근하고 있다.

[참고문헌]
  • 민주통합당(http://http://minjoo.kr)
  • 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http://busan.minjo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