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747 |
---|---|
한자 | 大川-學校 |
영어의미역 | Daecheon Village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양달로 64[화명동 31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귀원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방과 후 교육 및 평생 교육을 위한 교육 시설.
[개설]
대천마을학교는 ‘마을이 학교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설립된, 마을 모든 이의 배움터이다. 마을이 품고 있는 풍부한 교육의 곳간을 뒤져서 그 자원들을 그물코처럼 이어나감으로써, 온 마을이 학교인 마을 교육 문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한 교육 문화 활동으로 초·중등 방과 후 교육 활동과 성인 평생 교육 프로그램과 동아리 활동, 가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건립 경위]
대천마을학교는 마을이 갖는 교육 공동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나아가 이를 매개로 마을 공동체를 다시 세우고자 하는 시도로써 부산북구공동육아협동조합을 모태로 탄생하였다.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교육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청소년 문화 교육, 그리고 성인들을 위한 평생 교육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를 모두 실현 할 수 있는 마을 문화 센터 형식의 교육 공동체를 형성하기로 하였고, 2007년 말부터 마을 학교 준비 모임이 구성되어, 부산북구공동육아협동조합원들이 조성해 준 2,000만 원 가량의 기부금을 토대로 학교를 건립하게 되었다. 2008년 3월 8일에 대천마을학교가 화명동에서 개교하였다.
[변천]
2010년 10월 30일에 화명동의 대천천 환경 문화 센터 2층으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성]
135㎡의 전용 면적에 작은 방 2개와 열린 부엌 공간에 아일랜드형 식탁이 놓여 있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넓은 강당은 남쪽 벽체에 큰 화이트보드가 부착되어 있다. 장판이 깔려 있고 앉은뱅이 탁자들이 동쪽 창문 아래 비치되어 있어 강의, 영화 상영, 공연, 체육 활동, 집단 식사 등 활동 내용에 따라 공간 활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황]
2012년 현재 가입 회원은 160명 정도이다. 회원제로 운영되지만, 비회원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회원들의 정기 총회[매년 연초]를 통해 10명 이내의 운영 위원을 선출하며, 운영 위원의 호선으로 운영 위원장[현 이귀원]을 뽑아 ‘교장’으로 부른다. 교장 이외에 상근 간사 2명이 근무 중이며, 운영위원회는 월 1회 임시 총회와 간담회 등을 통해 회원 의견이 수렴된다. 대천마을학교의 교육 문화 활동은 초·중등 방과 후 교육 활동과 성인 평생 교육 활동, 가족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초·중등 방과 후 교육 활동은 미술, 음악, 연극, 영상, 힙합, 마술 등의 예술 활동과 체육, 요리, 독서 등의 프로그램들로 구성되며, 방학에는 영상 캠프, 야구 캠프, 야영 캠프, 스스로 여행 학교, 제주도 자전거 여행 등을 진행한다.
성인 평생 교육 활동은 프로그램과 동아리 활동으로 나뉘며, 프로그램으로는 통기타, 민요·판소리, 장구, 가야금, 세밀화, 수채화, 일본어 회화, 사진, 타로, 공동체 놀이, 아빠 요리 교실 등을 진행하였고, 동아리 활동으로는 바느질·염색, 한문 고전 읽기, 몸 살림, 위빠싸나 명상, 자전거 나들이, 사진 출사 등을 진행한다. 그밖에 부모 교육 강좌, 인문학 강좌, 심리 상담 강좌, 시사 강연, 독립 영화 공동체 상영 등이 비정기적으로 진행되며, 가족 프로그램으로 자전거 트레킹, 역사 기행, 가족 연극 놀이, 금요 밥상 등도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