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현대의 속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813
한자 現代-俗信
영어의미역 Folk Beliefs in Contemporary Time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경숙

[정의]

부산광역시의 민간에서 현대에 믿고 있는 속신적 사유 체계.

[개설]

현대의 속신이란 지금의 시대에 일상생활에 구속력을 가지고 있는 민간의 미신적인 신앙 관습을 말한다. 현대의 속신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주로 예조(豫兆)[조짐이나 징후]·점복(占卜)[미래에 대한 어떤 징조를 주술의 힘을 빌려 미리 판단하는 행위]·금기(禁忌)[어떤 대상에 대한 접촉이나 언급을 금지하는 일] 등에 나타난다. 부산광역시 지역에서 현재 믿고 있는 속신은 일반적으로 예조·점복, 금기, 자동차 속신, 청소년 속신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예조·점복]

예조란 미리 나타나는 조짐[징조]이고, 점복이란 점을 쳐서 길흉을 예견하는 일이다. 부산 지방의 예조와 점복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예조: 설날에 날이 질면 시절이 좋다. 대보름에 날이 맑아 달이 잘 보이면 그해에 풍년이 든다. 대보름에 줄다리기를 하여 이긴 쪽의 마을에 그해 풍년이 든다. 삼월에 당산나무의 잎이 한꺼번에 돋으면 그해 풍년이 들고, 드문드문 돋으면 그해 흉년이 든다. 잎이 윗부분부터 피어 내려오면 밭농사가 잘되고, 동쪽 가지에 잎이 먼저 피면 동쪽 마을에 풍년이 든다. 처서(處暑)에 비가 오면 십리(十里)에 천석(千石)을 감(減)한다. 추석이 맑아야 이듬해에 풍년이 든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면 이듬해에 풍년이 든다. 동지 팥죽을 그릇에 퍼 놓아 팥죽 위가 많이 갈라지면 다음 해 가뭄이 심하다.

2. 점복: 대보름에 윷을 던져 ‘모’가 나오면 그해 운수가 좋고, ‘윷’이 나오면 그해 운수가 나쁘다. 토정비결을 보아 그해의 운수를 점친다.

[금기]

금기란 특정한 인물·사물·언어·행위 등을 신성시하거나 혐오시하거나 위험시함으로써 그에 대하여 관습적 속신 관념이 생겨 말하거나 보거나 손대거나 먹는 것 등을 금지하고 꺼리는 것을 말한다. 부산 지방에서 현재 민간에 전승되고 있는 금기 사항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성별(性別)·대인(對人) 관련 금기: 남자가 길을 갈 때 여자가 앞을 가로질러 가면 재수가 없다. 사랑하는 이에게 결혼 전 신을 사 주면 이별한다. 사랑하는 이에게 손수건을 선물하면 이별한다.

2. 산속(産俗) 관련 금기: 임부가 오리고기를 먹으면 발가락이나 손가락이 오리발처럼 붙은 아이를 낳는다. 임부가 담을 넘거나 담에 걸터앉으면 낳은 아이가 커서 도둑이 된다. 임부가 있는 방의 문을 바르면 아이를 낳는데 난산하거나 벙어리 아기를 낳는다. 임부가 있는 방의 부엌 재를 치면 산모의 젖이 적다. 해산 후 일주일 안에 물건을 집밖으로 가지고 나가면 산모의 젖이 적어진다.

3. 어린애 관련 금기: 말을 아직 못하는 아이가 말 더듬는 아이와 입을 맞추면 말더듬는 아이를 닮는다. 어린애 머리를 자(尺)로 때리면 재주가 없어진다. 갓난아이를 “무겁다”고 하면 그 아이가 여윈다.

4. 혼사(婚事) 관련 금기: 약혼한 처지에 있는 여자끼리 서로 왕래하면 한 여자는 불행하게 된다. 결혼식 날 그릇을 깨면 부부가 갈라진다. 초례청에서 신랑이 웃으면 첫딸을 낳는다.

5. 장례(葬禮)·제사(祭祀) 관련 금기: 죽은 사람을 보고 “왜 이리 곱느냐?”라고 말하면 시체에서 추깃물이 많이 난다. 상여 메고 나가면서 “무겁다”고 하면 상여가 더 무거워진다. 제사 때 문을 닫아 놓으면 조상이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한다. 제사를 지낼 때 빨랫줄을 매거나 걷지 않으면 조상이 강림하지 못한다. 제사 음식에 머리카락이 들어가면 조상이 머리카락을 뱀으로 여겨 흠향하지 않는다.

6. 생업(生業) 관련 금기: 모내기 하는 날에 불을 물로 끄면 모가 자라지 않는다. 과일나무가 자라 첫 열매를 맺었을 때 여자가 그 열매를 따면 해거리한다. 초상이 났을 때 벌통에 부고장을 붙이지 않으면 벌이 다 날아간다. 장사하는 집에 첫 손님으로 여인이 물건을 사러 오면 재수가 없다. 아침에 물건을 외상으로 주면 그날 재수가 없다.

7. 신체(身體)·의복류 관련 금기: 마른 때를 벗기면[문지르면] 애가 많아진다. 깎은 손톱·발톱을 부엌 아궁이[또는 불]에 넣으면 손톱·발톱이 자라지 않는다. 빠진 이[齒]를 아무 데나 버리면 이가 나지 않는다. 젖은 옷을 입으면 모함을 받는다. 베개를 세워 놓으면 수명이 짧아진다. 실패에 실이 감겨 있지 않으면 옷 복이 없다.

8. 때[時] 관련 금기: 밤에 문구멍을 바르면 도둑이 든다. 밤에 이웃집에 다리미를 빌려 주면 딸이 가출하거나 바람을 피운다. 잠자는 사람의 얼굴에 물감 칠을 해 놓으면 혼이 나갔다가 돌아오지 못해 죽는다.

9. 음식·식사 관련 금기: 밥을 먹다가 자리를 옮겨 먹으면 이사를 자주 한다. 노루고기를 먹으면 재수가 없다. 까마귀 고기를 먹으면 건망증이 생긴다. 쌍동밤[쪽밤]을 혼자 먹으면 쌍둥이를 낳는다. 이 빠진 그릇에 밥을 담아 먹으면 재수가 없다.

10. 안택(安宅)·가사(家事)·가재도구 관련 금기: 대문을 함부로 고치면 사람이 다치거나 집에 좋지 않는 일이 생긴다. 대문 있는 쪽으로 수채 구멍을 내면 집의 복이 나간다. 칼이나 가위 또는 빗자루를 머리맡에 두고 자면 꿈자리가 어지럽다. 길을 가다가 칼을 주워 오면 화급한 일이 생긴다. 광주리[또는 바구니]를 머리에 쓰면 벼슬길이 막힌다. 빗자루를 깔고 앉으면 빚을 지게 된다. 지게를 방문 앞에 세워 두면 초상이 난다. 다듬잇돌을 깔고 앉으면 입이 돌아가고, 다듬잇돌을 베고 자면 입이 비뚤어진다. 깨진 거울을 보면 부부간에 정이 깨진다. 다리미 불을 쬐면 낯 뜨거운 일을 당한다.

11. 치병(治病)·복약(服藥) 관련 금기: 마마 또는 열병할 때 못질을 하면 덧난다. 두 사람이 약을 함께 나누어 먹으면 약의 효험이 적다. 홍역 앓을 때 개를 잡으면 부정을 탄다. 홍역 할 때 다리미질을 하면 더 심해진다.

12. 당제(堂祭)·산신(山神) 관련 금기: 제주는 손톱·발톱·수염을 깎지 않으며, 머리를 빗지 않는다. 가제(家祭)를 비롯한 일체의 제의에 참례하지 않는다. 자기 몸에 절대로 상처가 나지 않게 한다. 당산나무를 베거나 훼손하면 벤 사람이 죽거나 화를 당한다.

13. 기타 금기: 숯을 밟으면 구설수가 생긴다. 대나무 지팡이나 버드나무 지팡이를 짚으면 부모가 죽는다.

이상의 금기 사항을 보면 산속과 아기에 관한 금기가 가장 많다. 그리고 성별에 관한 금기는 여자에 관한 것이 많은 편이다. 이를 통해 전통 사회에서 성(聖)과 속(俗)을 엄숙하게 구획했으며, 또 성별에서 음양관에 의해 여성이 얼마나 하대(下待)를 받았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여자가 임신하였을 때 음식물과 행동거지에 각별한 금기가 필요하니, 이때의 금기는 유사율에 기초한 동종 주술과 접촉률에 기초한 감염 주술적 사유관 및 귀신관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자동차 속신]

현대에 들어와 자동차와 관련한 속신 문화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특히 영업용 차량이나 소방차와 구급차 같은 특용차 운전자 집단에서 속신이 흔하다.

1. 영업용 차량 운전자

1)운행 경험을 바탕으로 일진 예측: 첫 운행 시 여자가 차 앞을 지나가면 재수가 없다. 아침에 짐승의 사체를 보면 그날 재수가 없다. 차의 시동을 걸기 전에 열쇠를 떨어뜨리면 흉하다. 고양이가 차에 치이면 흉하다.

2)첫 손님의 유형에 따라 일진 예측: 젊은 여성이나 긴 생머리를 한 여성이 타면 재수가 없다. 상주나 흰옷을 입은 사람이 타면 재수가 없다. 장님이 타면 재수가 없다. 아이를 안거나 여성이 타면 길하다. 출고 후 첫 운행 때 남자 손님이 타면 길하다.

3)귀신 손님이나 허깨비에 대한 속신: 귀신 손님을 태웠을 경우 귀신이 방문한 집에서 음식을 얻어먹어야 한다. 길에서 허깨비를 보았을 경우 차를 멈추지 말고 전속력으로 허깨비를 향해 돌진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보았다.

4)영업용 차량 운전자의 금기: 평소 사고와 관련된 단어를 입에 올리지 않는다. 죽음과 관련된 말을 하지 않는다. 차 안에서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깨진 거울을 차 안에 두지 않는다. 붉은색 양발을 신지 않는다.

2. 특용차 차량 운전자

1)운행 경험을 바탕으로 일진 예측: 아침에 세차하면 출동이 잦아진다. 아침에 붉은색 옷을 입은 여자를 보면 재수가 없다. 아침에 길을 묻는 사람이 있으면 그날 출동 건수가 많다. 오전에 장난 전화를 받고 출동하면 재수가 없다. 첫 이송자가 사망자이면 그날은 사망 환자가 많이 나온다. 첫 출동에 무거운 사람을 이송하면 그날 운이 좋지 않다.

2)특용차 차량 운전자의 금기: 출동 건수가 별로 없다라는 말을 하면 큰 사고가 일어난다. 말끝에 죽겠네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아침에 옷을 세탁하거나 다려 입지 않는다. 구멍 난 옷이나 양말을 신지 않는다. 붉은색 양말을 신지 않는다. 소방서 안에 죽은 동물을 들이지 않는다. 깨진 물건은 차 안에 두지 않는다.

[청소년 속신]

청소년들이 하나의 거대하고 중요한 집단으로 등장하면서 청소년 집단에서의 속신 또한 새롭게 생겨났다. 청소년들은 시험과 관련하여 용모나 생리 현상, 운송 수단, 자동차, 보행 과정, 학용품, 고사장 및 시험지, 사람, 동물, 수(數)와 관련한 다양한 예조 문화를 보이고 있다.

1. 청소년 집단의 예조

머리를 감을 때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면 시험을 잘 못 본다. 시험 날 손톱이 부러지면 시험을 잘 보지 못한다. 등굣길에 신발 끈이 풀어지거나 스타킹에 고가 나가면 시험을 잘 보지 못한다. 시험 날 화장실에서 넘어지거나 다치면 시험을 잘 보지 못한다. 횡단보도나 보도블록의 중간선을 밟게 되면 시험을 잘 못 본다. 아침에 소방차를 보면 시험을 잘 못 친다. 등굣길에 돈이나 물건을 주우면 시험을 잘 못 본다. 시험 도중 필기구를 떨어뜨리면 시험을 잘 못 본다. 고사장에 제일 먼저 들어가면 시험을 잘 본다. 아침에 거미를 보면 시험을 잘 본다. 아침에 영구차나 쓰레기차를 보면 3일간 재수가 좋다. 우연히 시계를 보아 시침과 분침이 같은 숫자를 가리키고 있으면 재수가 좋다. 우연히 속옷을 뒤집어 입으면 그날 재수가 좋다. 등굣길에 여자가 우는 모습을 보면 그날은 선생님께 혼난다. 시계가 4시 44분을 가리키는 것을 직접 보면 재수가 없다. 봉선화 꽃물을 들인 손톱이 겨울까지 남아 있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 벚꽃이 떨어질 때 한 번에 벚꽃을 손에 받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조 문화는 민간 신앙적 사유에 근간을 두었으면서 동시에 현대에 새롭게 부각된 물질문화와 생활문화 등에서 유추된 징후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2. 청소년 집단의 금기

시험 때에는 미역국, 계란, 바나나, 참기름이 든 음식, 기름에 튀긴 음식, 낙지, 라면, 깨진 그릇에 담긴 음식, 남이 먹다 남긴 음식은 먹지 않는다. 시험 때 떨어졌다는 말은 하지 않는다. 모서리에 앉아 밥을 먹으면 미움을 산다. 밥그릇을 손에 바치고 먹으면 복이 나간다. 다리를 떨면 복이 나간다. 사다리 아래로 지나가면 재수가 없다. 장의사 집 앞을 지날 때 숨을 쉬면 재수가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