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57
한자 -家屋
영어의미역 House of Yim Byeongjin
분야 생활·민속/생활,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북로43번길 57[신평1동 215]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홍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거 시설|일본식 주택
양식 목구조+우진각 기와지붕
소유자 임병진
건립 시기/일시 1936년 4월 1일연표보기 -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9년 3월 13일 - 임남식에서 임병진으로 소유자 변경
현 소재지 임병진 가옥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1동 215지도보기
원소재지 임남식 가옥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1동 215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1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일식 목조 기와집.

[위치]

임병진 가옥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1동 215번지, 동매산 기슭에 위치한다. 후면으로는 신평초등학교가, 아래쪽으로는 신평 장림 산업 단지가 자리 잡고 있다.

[변천]

임병진 가옥은 1936년 4월 1일에 건립되었다. 1979년 3월 13일 임남식에서 임병진으로 소유자가 변경되었다.

[형태]

대지 면적 633㎡, 105.79㎡의 지상 1층 건물이다. 일본식 목구조에 일식 기와를 얹은 우진각 형태의 지붕을 가지고 있다. 일본식 기와에 슬레이트를 덧대어 처마의 깊이를 늘렸으며, 일본식 지붕 구조인 말굽서까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목재 창호와 구조체가 대부분 그대로 남아 있고, 기존의 흙벽도 노후화로 인해 손상되었지만 원형은 그대로 남아 있다.

[현황]

현재 임병진 가옥의 소유자는 임병진이고, 할머니 한 명이 관리하고 있다. 원형을 훼손하는 보수 과정 없이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임병진 가옥은 부산 지역에 보존되어 있는 몇 안 되는 일식 가옥이지만, 관리의 부실로 인한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어 보수가 시급한 상태이다. 목조 구조체와 창호의 형태 등에서 일식 가옥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