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진영 가옥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768
한자 -家屋
영어의미역 Residence of Gim Jinyeong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흑교로35번길 26[부평동 4가 42-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기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거 시설|적산 가옥
양식 일식 목구조
소유자 백순희
관리자 백순희
건립 시기/일시 1938년 9월 8일연표보기 - 건립
철거 시기 2011년 2월연표보기 - 철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월 14일 - 토지 소유권이 백순희로 이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4가 42-1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4가에 있던 일제 강점기의 일식 목조 주택.

[위치]

김진영 가옥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4가 42-1번지에 위치하였다. 부산 지하철 1호선 토성역 1번 출구로 나와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앞 사거리에서 보수 사거리 방향으로 총 400m 정도 가면 찾을 수 있었다. 김진영 가옥이 있던 인근에는 구 경상남도청으로 건립되어 6·25 전쟁 당시 부산 임시 수도 정부 청사(釜山臨時首都政府廳舍)로 사용되었던 동아대학교 박물관임시 수도 기념관이 있으며,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많은 학교들이 밀집하여 있다.

[변천]

김진영 가옥은 1938년 9월 8일 일식 목조 주택으로 건립되어 2007년까지 사용되었다. 2011년 1월 14일 토지 소유권이 백순희로 이전되었으며, 그해 2월까지 비어 있다가 건물 철거 작업이 진행되어 현재 새 건축물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원형은 남아 있지 않다.

[형태]

건축 면적 204.26㎡, 연면적 249.75㎡의 2층 목조 주택[198.05㎡]과 창고[51.7㎡]로 구성되었다. 중앙의 정원을 둘러싸고 있는 ‘ㄷ’ 자형의 일본식 주택이었다. 정원을 향하는 편복도 형식으로 주택 건물의 각 요소에서 일본 주택의 수법이 잘 남아 있는 건축물이었다. ‘ㄷ’ 자형 건축물로 평면의 꺾이는 부분에 화장실 및 목욕실과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었다.

부분적으로 2층으로 지어진 곳은 좀 특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증축된 것으로 보이는 2층은 콘크리트 벽면에 페인트로 마감되어 있었다. 각 방에서 복도 쪽으로는 환기창이 설치되어 있었다. 현관의 건넌방에는 가벽(假壁)이 남겨져 있었으며, 벽으로 구획된 방의 벽면 흔적으로 유추해 볼 때 각 방마다 가벽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손님의 접객실로 여겨지는 현관 옆방에는 폭 50㎝, 높이 2m의, 수직성을 강조한 독특한 양식의 오르내리창이 설치되어 있어 일식 목구조 건축물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자아냈다.

[의의와 평가]

김진영 가옥은 구 법원에 근무하였던 변호사 김진영이 살았던 건축물로, 주택 내에 있던 창고 양식으로 보아 상류 주택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주거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