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광조 가옥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39
한자 -家屋
영어의미역 Mr. Gim Kwang-Jo's House
분야 생활·민속/생활,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4길 9-43[좌천리 134]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조영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거 시설|개인 주택
양식 한식+경량 기와|우진각 지붕
소유자 김광조
관리자 김광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8월 5일 - 건물에 대한 근대 문화유산 현황 조사 실시
현 소재지 김광조 가옥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13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개인 주택.

[위치]

김광조 가옥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134번지에 위치한다.

[변천]

김광조 가옥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구전에 의하면 100여 년 전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원래의 집은 정면 3칸의 초가 구조였다고 하며, 이를 일제 강점기 중에 일식 기와를 얹은 우진각 지붕의 목구조로 변형하였다고 한다. 근간에 들어 창호와 기와, 마루를 교체하고, 기둥 및 출입문 등을 새로 도장하는 등 전체적인 개·보수가 이루어졌다.

[형태]

연면적 249.56㎡의 지상 1층 건물이다. 한옥식이며, 전체 구조는 목구조이다. 지붕은 우진각 형태이나 경량의 보급형 기와를 얹었다. 이로 인해 처마의 곡선이나 지붕 선의 흘림은 없어지고, 일본식처럼 직선형으로 지붕 선이 만들어졌다. 지붕 외면부에 슬레이트 지붕을 덧달아 내고 툇마루를 넓혔는데, 이를 통해 대청마루 대신에 툇마루를 넓혀 공간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안방을 확장하면서 일부 외벽면과 창호부를 개수하고, 일부 목재 마감재 위에 유성 페인트로 마감하였다. 재래식 부엌은 보존되어 있다.

[현황]

현재 김광조 가옥의 소유자 및 관리자는 김광조이다. 2004년 8월 5일에 김광조 가옥에 대한 근대 문화유산 현황 조사가 실시된 바 있다.

[의의와 평가]

김광조 가옥은 최초에 한옥으로 건립되었으나 일식 자재 등을 이용하여 개·보수하면서 변형을 겪은 경우로, 근대 주택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는 점에서 근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