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진공립보통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928
한자 釜山鎭公立普通學校
영어의미역 Busanjin Public Prim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로 30[범천동 890-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보통학교|학교|교육 기관
설립자 부산진 유지
인가 시기/일시 1909년 4월 1일 - 사립부산진보통학교로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08년연표보기 - 사립육영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11년 5월 3일연표보기 - 부산진공립보통학교로 교명 변경해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22년 11월 - 부산광역시 부산동구 좌천동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로 30[범천동 890-1번지, 현 부산진초등학교]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38년연표보기 - 부산진공립보통학교에서 부산진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1년연표보기 - 부산진심상소학교에서 부산진공립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5년연표보기 - 부산진공립국민학교에서 부산진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진국민학교에서 부산진초등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사립육영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동구 좌천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진공립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로 30[범천동 890-1]지도보기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었던 공립 교육 기관.

[개설]

우리나라 근대적 교육의 시작은 외세에 의해 문호가 개방되고 신식 학문(新式學文)이 들어오면서부터이다. 뜻이 있는 인사(人士)들은 우리의 비참한 국운(國運)을 일찍이 바로 세우지 못한 것은 신학문(新學問)의 수용이 늦어 자연히 세계의 진운(進運)에 어두웠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조국을 구하는 길은 오직 교육에 있다고 하여 이른바 ‘교육 구국(敎育求國)’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을사조약이 체결된 이후 이러한 생각이 더욱 깊어져 사립 학교가 생기게 되었다.

[변천]

당시 부산진에 지역 유지가 설립한 한문숙 육영재(漢文塾 育英齋)가 있었는데, 1907년(순종 1)에 교사를 신축하고 1908년(순종 2)에 「사립학교령」이 공포되어 사립육영학교로 개교하였다. 1909년(순종 3) 4월 1일에 사립부산진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그해 6월에 보조 지정 학교로 되었다. 같은 해 9월에는 양정숙[1908년 5월 부산진부인회의 후원으로 개설하고 부인회 기부금으로 교사 신축함]을 병합하여 분교로 삼았다. 1911년 5월 3일에는 부산진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개교하였으며, 1922년 11월에 부산진구 범천동[현 부산진초등학교 자리]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1938년에는 부산진심상소학교로, 1941년에는 부산진공립국민학교로, 1945년에는 부산진국민학교로, 1996년 3월 1일에는 부산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일제 강점기 학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훈도(訓導)는 김용세(金容世)[副訓導, 1911~1916], 이홍로(李弘魯)[副訓導, 1911~?], 사사후사(寺師フサ)[1914~1917], 김인숙(金仁淑)[1914~1918], 김경태(金景泰)[副訓導, 1919~1925], 고곡전지조(古谷田之助)[1919~1921], 김사영(金思濚)[1920~1923], 김응규(金應圭)[副訓導, 1911~?], 송석무(宋錫武)[副訓導, 1912~1913], 강의방(岡義芳)[1914~1917], 최봉우(崔鳳友)[副訓導, 1912~1917], 도원광청(稻垣光晴)[1917~1919], 반소사오(飯沼サヲ)[1917~1919], 신영자(申英子)[1918~1925], 야전마키에(野田マキエ)[1919~1921], 삼쯔루에(森ツルエ)[1921~1922], 박중태(朴重泰)[1922~1924], 김선묵(金先默)[1922~1925], 최영원(崔永源)[1924~1926], 수구광(水口廣)[1924~1926], 변장호(卞章浩)[1921~1925], 조익수(趙益壽)[1923~1926], 증전다만구(增田多滿龜)[1924~1925]이다.

촉탁(囑託)은 백용수(白龍水)[1917~1919], 김두옥(金斗玉)[1918], 윤치석(尹致錫)[1919~1920], 문수환(文守煥)[1919~1920), 좌등미팔(佐藤彌八)[1920~1921], 정상미치에(井上ミチエ)[1923], 복산백백자(福山百百子)[1925~1926]이다. 대용 교원(代用敎員)은 최진학(崔進鶴)[1911~1912], 김응식(金膺植)[1913~1914], 최숙자(崔肅子)[1915], 홍재문(洪在文)[1915~1919], 이성환(李性煥)[1916~1918], 평전후쿠(平田フク)[1911~1915], 강환호(姜煥鎬)[1914~1915], 한정원(韓貞瑗)[1915], 최정자(崔正子)[1916~1917]이다.

[교육 활동]

부산진공립보통학교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아동의 초등 교육을 담당하였다.

[현황]

부산진공립보통학교는 2013년 현재 부산진초등학교로 명맥을 이어 나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