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089
한자 公立釜山女子高等普通學校
영어의미역 Busan Womens' Public High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29[수정동 558]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강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여자 보통학교
개교 시기/일시 1927년 4월 23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29년 6월 1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29[수정동 558]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38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부산항공립고등여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6년연표보기 - 부산항공립고등여학교에서 경남공립고등여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6년연표보기 - 경남공립고등여학교에서 경남공립여자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0년연표보기 - 경남공립여자중학교에서 부산제일여자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3년연표보기 - 부산제일여자고등학교에서 경남여자고등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초량정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주소 변경 이력 수정정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29[수정동 558]
현 소재지 경남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29[수정동 558]지도보기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었던 공립 여성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1922년 개정된 여자 고등 보통학교의 교육 목적은 ‘여학생의 신체 발달과 부덕(婦德)의 함양에 유의하여 그들에게 덕육(德育)을 실시하고 생활에 유용한 보통의 지식, 지능을 교수하여 국민으로서의 성격을 함양하고 일본어를 숙달시키는 데 있다’라고 밝히고 있다. 추정하건대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의 교육 목적도 위 지침을 따랐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교육 목적은 황국 신민으로서의 동화 교육 목적을 추진한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변천]

1925년 사립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가 부산진에서 동래읍으로 이전하여 부산부에 조선인을 위한 여학교가 없어지게 되자, 이를 안타깝게 여긴 어대성(魚大成)·강성문(姜成文)·송태승(宋泰昇)·장경택(張敬宅)·전성호(田聖昊)·김창태(金彰台)등이 기성회를 조직하여 1927년 4월 23일에 4년제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釜山公立女子高等普通學校)를 설립하게 되었다. 설립 초기에는 청년 회관을 빌려 1학년 1학급 57명으로 출발하였으나, 유지들의 노력으로 교사 신축이 진행되어 1929년 6월 1일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그해 당시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의 총원은 167명으로, 당시의 평균적인 학생 수보다는 적은 편이었다.

1927년부터 1936년까지의 학교 현황을 보면, 1927년 교원 수 3명, 학생 수 60명, 1928년 교원 수 5명, 학생 수 116명, 1929년 학급 수 3개, 교원 수 8명, 학생 수 167명, 1930년 학급 수 4개, 교원 수 8명, 학생 수 215명, 1931년 학급 수 4개, 교원 수 10명, 학생 수 213명, 1932년 학급 수 4개, 교원 수 10명, 학생 수 210명, 1933년 학급 수 4개, 교원 수 9명, 학생 수 201명, 1934년 학급 수 4개, 교원 수 10명, 학생 수 207명, 1936년 학급 수 5개, 교원 수 13명, 학생 수 259명이었다[『부산부세요람』 참조].

1938년 4월 1일에는 교명을 부산항공립고등여학교(釜山港公立高等女學校)로, 1946년에는 경남공립고등여학교로, 또 같은 해에 경남공립여자중학교로 바꾸었다가, 1950년 학제 변경에 따라 3년제 4학급씩의 부산제일여자고등학교(釜山第一女子高等學校)로 변경하였다. 이후 1953년에 현재의 경남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는 설립 취지에서 알 수 있듯이 지역의 선각자들이 민족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한 학교이다. 일제 강점기 기간 동안에도 조선인들을 위한 민족 교육을 실시하고 수업 시간에 한복을 입는다거나 1930년 1월 12일 일부 학생들이 일제에 항거하며 동맹 휴교 및 시위를 준비하다 발각되는 등의 활동 사항이 확인된다. 이는 부산 지역에서 일본의 불공정한 사립 학교 재정 지원 아래에서도 민족 자본을 통하여 꾸준한 민족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황]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는 2013년 현재 경남여자고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