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914 |
---|---|
한자 | 釜山公立高等女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Public Womens' High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 50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전영섭 |
[정의]
개항기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에 있었던 공립 여성 교육 기관.
[변천]
부산은 일제의 한반도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당시 부산 지역의 일본인을 위한 중등 교육 시설은 다른 어느 곳보다 충실하고 앞서 있었다. 1905년(고종 42) 11월에 고교서(高橋恕)[당시 부산공립고등소학교장] 외 유지의 주도로 거류민단에서 고등 여학교 신설의 건이 가결되었다. 이후 1906년(고종 43) 4월 1일에 부산공립고등소학교 내에서 일본인 부산거류민회가 부산 주재 일본 영사의 인가를 얻어 부산공립고등여학교를 설립하였다. 수업 연한은 3년 과정이었다. 같은 해 11월에 거류민단법 실시와 함께 부산거류민단립고등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07년(순종 1) 1월에 통감부로부터 지정 학교가 되었으며, 같은 해 4월 1일에 수업 연한이 4년 과정으로 되었다. 1909년(순종 3) 4월에 본과 외에 기예 전수과(技藝專修科)[2년 과정]를 설치하였으며, 그해 6월 15일에 토성정[현 경남중학교 자리]에 교사를 신축하고 이전하였다. 1912년 4월에는 경상남도 소관이 되어 부산공립고등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14년에 거류민단 폐지로 학교조합으로 이관되었으며, 1925년 4월에 수업 연한이 5년으로 정해졌다. 1931년 4월에는 부산 제1특별경제로 이관되었다. 다음은 당시 학교 현황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교장은 교고서[1906~1919], 화전영정(和田英正)[1919~1921], 안등문랑(安藤文郞)[1921~1923], 우유도희륙(于留島喜六)[1924~1929], 석천뢰언(石川賴彦)[1929~1932], 낙합수보(落合秀保)[1932년 3월 취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유(敎諭), 충청남도사범학교장, 해주고등보통학교 교유, 경성제2고등보통학교 교유, 광주중학교장 역임]이다.
교직원은 다음과 같다. 교유는 시두상웅(矢頭常雄)[1906~1907], 영목총차랑(鈴木總次郞)[1906], 원산테루(遠山テル)[조교유대리, 1906~1908], 남합순료(南合舜了)[1906~1910], 목야조(木野照)[1906~1907], 가등키쿠(加藤キク)[조교유, 1907~1910], 중본관치(重本官治)[1908~1919], 삼도치가에(三島チカエ)[1910~1920], 굴중자(堀仲子)[1911~1912], 산내애조(山內愛助)[1912~1918], 삼과코토(三科コト)[1906~1916], 치염강친(置鹽降親)[1906~1916], 영류미(永留美)[1907~1909], 궁원수웅(宮原秀雄)[1907~1916], 강촌직치(岡村直治)[1909~1911], 천엽천예(千葉天裔)[1909~1913], 본다접자(本多蝶子)[1909~1913], 소림호중(小林好重)[1910~1911], 생전오랑(生田五郞)[1911~1912], 금진○◯(今津○◯)[1912~1913], 임후미자(林フミ子)[1913~1914], 마장토모에(馬場トモエ)[1913~1922], 대교국지(大橋菊枝)[1914~1917], 임견(林絹)[1915~1917], 사사후사에(寺師フサエ)[1916~1924], 진전의작(津田儀作)[1916~1918], 좌백건책(佐伯建策)[1916~1920], 소지시마(小池)[1917~1922], 파강무휘(波岡茂輝)[1918~1920], 전중영(田中英)[1919~1923], 중도요시에(中島ヨシエ)[1920~1922], 서산여삼길(西山與三吉)[1920~1924], 암좌신자(岩佐信子)[1920~1922], 시야국태랑(矢野國太郞)[1921~1922], 이등오리와(伊藤をりわ)[1914~1915], 암좌류길(岩佐留吉)[1915~1920], 천야속(天野速)[1916~1921], 수곡유우(水谷ゆう)[1917~1919], 중원키쿠에(中原キクエ)[1917~1919], 제등천대(齊藤千代)[1917~1919], 천정용승(淺井龍勝)[1919~1923], 삼산공(杉山恭)[1919~1921], 낙합성길(落合盛吉)[1920~1922], 대총명삼(大塚明三)[1919~1922], 전구련(田口連)[1920~1922], 장방장작(長房丈作)[1921~1922], 수분이좌미(守分伊佐美)[1923~1926], 기강청(磯江淸)[1923~1924], 소림정강(小林靜江)[1922~1925], 뢰고일(瀨古一)[1923~1925], 율원조작(栗原助作)[1923~1924, 1924년부터는 교장 사무 대리]이다.
촉탁(囑託)은 청수준언(淸水俊彦)[1907~1907], 정상키미(井上キミ)[1909~1909], 목야군강(牧野君江)[1909~1919], 증야소(增野咲)[1912~1917], 송강방녀(松岡芳女)[19099], 안동코토(安東コト)[1917~1929], 유광치카노(有光チカノ)[1921~1924], 지전희륙(池田喜六)[1922], 향증아부하나(香曾我部ハナ)[1919~1921], 안등화미(安藤和美)[1921~1924], 시원키미(市原キミ)[1922~1925], 송본하강(松本夏江)[1922], 아부말길(阿部末吉)[1922~1925], 고기무웅(高崎茂雄)[1922~1924], 보모순일(保母純一)[1923~1925], 산본수웅(山本秀雄)[1922~1924], 수자치카(須子チカ)[1922~1923], 시총아사노(時惣アサノ)[1924~1925]이다.
고(雇)는 소류종량(小柳宗良)[1913~1919]이고, 강사(講師)는 산전수(山田秀)[1909~1912], 영송타카(永松タカ)[1909~1916], 석약기세(石躍幾世)[1909~1916]이다. 서기(書記)는 야구민웅(野口敏雄)[1906~1907], 궁전수차랑(宮田秀次郞)[1907~1910], 산근우융(山根友隆)[1919~1920]이다.
1946년 4월 5일에 서구 서대신동 1가 53번지로 교사를 이전하였고, 같은 해 9월에 부산공립여자중학교[6년제]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1년 8월 31일에는 학제 개편으로 부산여자고등학교가 되었다.
[교육 활동]
부산공립고등여학교는 일본인 여자 중등 교육을 담당하였다. 1912년 본과에서는 수신, 국어[일본어], 역사, 지리, 수학, 이과(理科), 도화(圖畵), 가사, 재봉, 음악, 교육, 수예(手藝), 영어, 한국어, 체조 등을 가르쳤다. 기예 전수과에서는 수신, 국어, 수학, 가사, 재봉, 수예, 음악, 체조 등을 가르쳤다. 부산공립고등여학교를 통하여 일제 강점기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를 대상으로 중등 교육을 실시하여 일본이 조선 병합에 필요한 인재 양성에 얼마나 철저하였는지 알 수 있다.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