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사립삼도고등실업여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922
한자 私立三島高等實業女學校
영어의미역 Samdo Practical Womens' Private High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교|교육 기관
설립자 三島지카에
개교 시기/일시 1913년 10월연표보기 - 향양학원으로 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5년연표보기 - 일시 폐교
이전 시기/일시 1914년 3월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서정(西町) 4정목]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22년 9월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서정(西町) 4정목]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대청정 1정목]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14년 3월연표보기 - 향양학원에서 부산실습여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6년 4월연표보기 - 부산실습여학교에서 삼도여자고등실습학교 또는 삼도고등실습여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1년연표보기 - 삼도여자고등실습학교 또는 삼도고등실습여학교에서 사립삼도고등실업여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향양학원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실습여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
주소 변경 이력 부산실습여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에 있었던 사립 여성 교육 기관.

[설립목적]

사림삼도고등실업여학교는 일본인[여자] 각종 학교로, 정숙하고 덕성스러운 여성을 양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13년 10월에 삼도일평(三島一平)의 발기로 대청정(大廳町)[현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향양원(向陽園) 부근에 재봉사숙을 개설하고, 조선 총독의 명령으로 향양학원이라고 하였다. 1914년 3월에 서정(西町) 4정목[현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으로 이전하고, 정무총감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가 선정한 부산실습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15년 10월에는 조선총독부로부터 중등 과정의 학교로 인정받았다. 이후 부산학교조합과 본도 지방비 지원으로 해마다 입학자가 늘어나자, 1922년 9월에 대청정 1정목[현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에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교사를 신축하고 이전하였다. 이 시기에 가사과를 병설하였다.

1926년 4월에 삼도여자고등실습학교 또는 삼도고등실습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학칙을 변경하여 수업 연한을 4년 과정으로 하였다. 1931년에 「실업 학교령」에 따라 사립삼도고등실업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일시 폐교되었다가 김길창에 의하여 경남성경학교와 통합하여 1945년 10월 5일에 중구 대청동 1가 10번지로 이전하여 개교하였다. 이때 학교 이름도 남조선고등여학교로 개칭하였는데, 이것이 현재의 남성여자고등학교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사립삼도고등실업여학교의 재학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1913년에서 1920년까지의 교장은 삼도치카에(三島チカエ)[1913~1920]이다. 교직원은 십우자(辻友子)[1913~1919], 석약기세(石躍幾世)[1923], 판본아야자(阪本あや子)[1923], 기촌영자(磯村英子)[1924], 아도매자(兒島梅子)[1924], 안무청자(安武淸子)[1924], 등도구자(藤島久子)[1925], 편강고지여(片岡古知余)[1925, 부교원], 원전아사자(原田アサ子)[1925], 고천마스요(古川マスヨ)[1925], 중촌기쿠에(中村キクエ)이다.

[교육 활동]

사립삼도고등실업여학교는 견실한 가정 부인의 양성을 위해 가사와 재봉, 기예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였다.

[현황]

사립삼도고등실업여학교는 2013년 현재 남성여자고등학교로 명맥을 이어 나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