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137
한자 中區
영어의미역 Jung-g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홍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면적 2.83㎢
가구수 23,564가구
인구(남, 여) 4,0348명[남 19,988명|여 20,360명]
개설 시기/일시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중구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남도 부산시 중구에서 부산직할시 중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개편
행정 구역 중구 - 부산광역시 중구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1951년 설치된 중부출장소에서 따와 중구(中區)가 되었다. ‘중부출장소’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부산시청 등 주요 공공 기관과 금융 기관, 각종 기업체, 주요 소비 시장 및 유통 산업이 집결해 있어 부산의 중추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중구 지역은 통일 신라 시대 동래군 동평현에 소속되었다가 고려 시대인 1018년(현종 9) 양주 동평현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 후기 동래부 사천면에 속하였으며 1678년(숙종 4)부터 현 용두산 공원을 중심으로 초량 왜관이 자리하며 동래부 사천면 신초량리에 속하였다. 초량 왜관은 1674년(현종 15) 신축 공사가 시작되어 1678년(숙종 4) 이전이 완료되었다. 초량 왜관용두산을 중심으로 동관[동광동 부산 호텔 주변]과 서관[신창동 대각사 일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청동에는 일본 사신을 맞아 연회를 베풀던 연향 대청(晏饗大廳)이 있었다.

1876년(고종 13)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면서 부산항이 개항되고 중구 지역에 있던 초량 왜관이 폐쇄되며,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어 일본인 거주자 수가 급증하게 된다. 1887년(고종 24) 부산해관 부지 매축[현 중앙동 부산 데파트 남쪽 바다를 매축한 것으로 부산 최초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인공 매축 사업]을 시작으로, 중앙동의 북빈[일본인들은 바닷가의 용미산(龍尾山)을 기준으로 남쪽의 자갈치 지역은 남빈(南濱), 북쪽은 북빈(北濱)으로 불렀다] 매축과 영선산 착평 공사(營繕山鑿平工事)[영주동동광동 경계에 위치한 영선산을 파낸 토석으로 바다를 매축하는 공사로 1909년 5월에 착공하여 1913년 3월에 준공하였으며, 중앙동 지역에 10만 1,124㎡의 토지를 조성하며 중앙로가 만들어짐] 등이 이루어져 전관 거류지를확대시킨다.

1889년(고종 26)에는 현재의 대청로광복로 등의 도로가 개설되고, 송현산[현 용두산] 주변과 해안가 매축지를 중심으로 각종 공공 기관과 업무 및 상업 시설, 항만과 철도 등 각종 산업 시설 등이 이곳을 중심으로 들어서며 급속한 변화가 발생한다. 이 지역은 조선인 거주의 자연 마을이 없었는데, 개항과 더불어 전국 각처에서 상인 및 부두 노동자들이 모여들며 영주동 터널 위에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908년(순종 2) 경부선 기점이 초량역[현 부산진역사 자리]에서 부산역[중앙동 87-7 번지에 임시 역사]으로 옮겨지고 1910년에는 부산역사[1953 대화재로 소실]와 제1 부두가 완공되며 제1 부두까지 철도가 부설되며 대표적인 무역항으로 성장하게 된다.

1914년 부산부에 속하게 되는데, 이때 행정 구역은 변천정(弁天町)[현 광복동]·금평정(琴平町)[현 광복동]·서정(西町)[현 신창동]·본정(本町)[현 동광동]·상반정(常盤町)[현 동광동행정(幸町)[현 창선동]·북빈정(北濱町)[현 중앙동]이다. 1947년 일본식 동명을 한국식 동명으로 변경하며 본정(本町) 1·2·3·4·5정목은 동광동 1·2·3·4·5가, 대창정(大倉町) 1·2·3·4정목은 중앙동 1·2·3·4가, 대청정(大廳町) 1·2·3·4정목은 대청동 1·2·3·4가, 복전정(福田町)은 복병동, 대교통(大橋通) 1·2·3정목대교동 1·2·3가, 변천정(弁天町) 1·2·3정목은 광복동 1·2·3가, 행정(幸町) 1·2·3정목은 창선동 1·2·3가, 서정(西町) 1·2·3·4정목은 신창동 1·2·3·4가, 남빈정(南濱町) 1·2·3정목은 남포동 1·2·3가, 보수정(寶水町) 1·2·3정목은 보수동 1·2·3가, 부평정(富平町) 1·2·3·4정목은 부평동 1·2·3·4가, 영정(榮町)대창동 1·2·3가로 개칭되었다.

1949년 부제가 폐지되며 부산시로 승격하였고, 1951년 6·25 전쟁으로 임시 정부의 정치 중심지 구실을 하였다. 행정 구역별로 6개 출장소를 설치하여 중부출장소도 설치되었으며,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피난민들로 인구가 증가하여 영주동을 만들었다. 1957년 구제 실시에 따라 중부출장소는 중구로 개칭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82년 대교동 1·2·3가중앙동 5·6·7가로 개칭되었고, 복병동(伏兵洞)이 대청동에 포함되고, 대교동 3가 일부와 동광동 1가남포동에 편입되었다. 또한 충무동 1·2·3가남포동 4·5·6가로 개칭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 중구가 되었다.

[자연 환경]

중구는 부산의 남서쪽에 위치하여 서쪽은 서구, 동쪽은 동구, 북쪽은 사상구와 접한다. 동쪽은 영주천, 서쪽은 보수천을 경계로 하며, 북쪽은 복병산을 접하고 남쪽은 남해안과 임한다. 복병산 지맥인 용두산이 한가운데 솟아 동서로 나누고, 구의 중심부인 중앙동, 대청동, 남포동, 광복동 1가, 동광동 1가 등 옛 시청을 제외하고는 모두 매축지로 구성되어 있다. 보수동, 대청동, 영주 2동, 동광동, 복병산, 영선산 산록이 주택지로 형성되어 있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면적은 3.01㎢이며, 인구는 2만 3,564가구에 총 4만 348명에 남자가 19,988명, 여자가 20,360명이다. 바다를 사이에 두고 영도 대교부산 대교를 통해 영도구와 인접해 있다.

면적이 기초 자치 단체 중에서 가장 작으나 국제 시장, 자갈치 시장, 건어물 시장, 신동아 시장, 롯데 백화점, 롯데 지하상가, 코오롱 지하상가, 광복동 상가 지역, 남포동 상가 지역, 부평동 상가 지역 등이 있어 부산 상권의 중심지이다. 또한 부산경남본부세관, 부산지방보훈청 등 39개소의 행정 기관과 46개소의 금융 기관, 부산전화국, 국제전화국, 무역 회관을 중심으로 관련 업체들이 밀집해 있어 행정·무역·금융·정보·통신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부산광역시의 주요 간선 도로가 모두 중구에서 시작되는데, 중앙 대로, 충장 대로, 구덕로, 대교로, 대영로, 대청로가 이에 해당된다. 지하철 1호선이 시내 중심부를 관통하여 지나며, 국제 여객 터미널, 연안 여객 터미널, 화물 제1 부두, 제2 부두는 부산의 관문 구실과 국제화의 전초 기지 구실을 담당하고 있다. 공원으로는 용두산 공원중앙 공원이 있으며, 보수동 책방 골목부평동 한복 거리, 40계단 테마 거리 등이 조성되어 개항 이후 부산의 발전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최근 21세기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북항 재개발 사업, 부산 롯데 월드 건립과 자갈치 시장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며 해양 친수 공간과 연계한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중앙동, 동광동, 보수동, 대청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 1동, 영주 2동 등 9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청 소재지는 대청동에 있다. 구의 상징물은 구목으로 소나무, 구화로 동백꽃, 구조로 비둘기가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5.04.03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2025.04.03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면적] 현행화
2022.11.04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10 현행화 인구수 수정
2020.05.22 현행화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2.83㎢이며, 인구는 2만 3,160가구에 총 4만 4,072명에 남자가 21,904명, 여자가 22,168명이다.
2019.04.29 2019년 현행화 2019년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