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139 |
---|---|
한자 | 中央洞一-二-三-四-五-六-七街 |
영어의미역 | Jungang-dong |
이칭/별칭 | 중앙동,중앙동 1가,중앙동 2가,중앙동 3가,중앙동 4가,중앙동 5가,중앙동 6가,중앙동 7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1가|중앙동 2가|중앙동 3가|중앙동 4가|중앙동 5가|중앙동 6가|중앙동 7가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0.60㎢ |
가구수 | 2,451가구 |
인구(남, 여) | 3,781명[남 2,056명|여 1,725명]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부산부 북빈정 |
변천 시기/일시 | 1947년 - 부산부 대창정 1·2·3·4정목에서 부산부 중앙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중앙동 1·2·3·4가에서 부산시 중앙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1년 - 부산시 중앙동 1·2·3·4가에서 부산시 중부출장소 중앙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중부출장소 중앙동 1·2·3·4가에서 부산시 중구 중앙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중구 중앙동 1·2·3·4가에서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2년 - 대교동 1·2·3가가 중앙동 5·6·7가로 개칭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1·2·3·4·5·6·7가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1·2·3·4·5·6·7가로 개편 |
법정동 | 중앙동 1·2·3·4·5·6·7가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1·2·3·4·5·6·7가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중앙동(中央洞)은 1876년(고종 13)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고 1913년 대규모 매축지가 조성되며 부산항과 인접한 지역으로 인구가 급증하여 7개의 법정동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부산의 도심으로 성장하며 상업 및 업무 기능이 집중하여 주거 인구가 감소하자 대창동 1가와 합하여 행정동인 중앙동에 속하게 되었다.
[명칭 유래]
중앙동은 부산역과 부산시청·부산세관·부산우체국 등이 위치한 부산의 중심 지역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초량 왜관에 인접한 바닷가였는데,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고, 부산항 개항으로 초량 왜관이 폐쇄되고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면서 북빈(北濱)으로 불렸다. 일본인들은 바닷가의 용미산(龍尾山)[현재는 착평 공사로 사라지고 없음]을 기준으로 남쪽의 자갈치 지역은 남빈(南濱), 북쪽은 북빈이라고 불렀다. 이후 거류지 확대 과정에서 북빈 매축 공사와 영선산 착평 공사가 진행되며 대규모 매축지가 조성되었는데, 이를 새마당[새로 생긴 넓은 땅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으로 10만 1,124㎡의 토지가 조성되고 중앙로가 만들어짐]이라 불렀다.
중앙동 지역의 매축지 조성은 1913년 완공되었다. 공사가 진행되던 1908년(순종 2) 경부선 기점이 초량역[현 부산진역사 자리]에서 관내의 부산역[중앙동 87-7번지에 임시 역사]으로 옮겨지고, 1910년에는 부산역사[1953년 대화재로 소실]와 제1 부두가 완공되며 제1 부두와 경부선 철도가 연결되었다. 1914년 부산부 북빈정(北濱町)이 되었고, 이후 좌등정(左藤町)[매축 허가를 받은 일본인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지명], 고도정(高島町)[매축 허가를 받은 일본인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지명], 대창정(大昌町)[부두에 하역을 위한 큰 창고가 있어 붙여진 지명], 경부정(京釜町)[경부선 철도의 시발지라서 붙여진 지명] 등으로 명명되었다가, 이후 대창정(大倉町) 1·2·3·4정목과 대교통(大橋通) 1·2·3정목으로 불렀다.
1947년 일본식 동명을 한국식 동명으로 변경하며 대창정 1·2·3·4정목은 중앙동 1·2·3·4가로, 대교통 1·2·3정목은 대교동 1·2·3가로 개칭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였고, 1951년 중부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다. 1957년 중부출장소가 중구로 승격하였고, 1963년에는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82년 대교동 1·2·3가가 중앙동 5·6·7가로 개칭되고,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1·2·3·4·5·6·7가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중구의 동쪽으로 길게 자리하여 북쪽으로 영주 2동, 서쪽으로는 동광동·부평동·남포동과 접한다. 서북쪽에는 복병산이 있고, 서남쪽에는 용두산이 있다. 남쪽과 동쪽은 남해안과 접한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인 중앙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60㎢이며, 인구는 2,451가구에 총 3,781명으로 남자가 2,056명, 여자가 1,725명이다. 중앙 대로와 부산 도시 철도 1호선이 동의 서쪽으로 지나며, 지하철 중앙역이 있다. 동쪽 해안에는 부산항 국제 여객 터미널과 부산 연안 터미널이 있어 바다로 뻗어나가는 중추 구실을 한다. 밤바다의 야경이 더없이 아름다운 수미르 공원과 테즈락 거리, 오색 조명이 장식된 부산 대교, 그리고 6·25 전쟁의 애환이 깃든 40계단 등이 있다. 40계단 일대에서는 1999년부터 40계단 문화 축제를 매년 10월~11월경 개최하고 있다. 또한 금융, 무역, 통관 등의 업무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중구 세수의 34% 정도가 집중되어 있는 경제 활동 중심지이자 남포동과 인접하여 인쇄업, 요식업, 꽃집 등이 연속되어 있는 상업 중심 지역이기도 하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4.28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08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07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0.05.22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0.60㎢이며, 인구는 1,311가구에 총 2,494명으로 남자가 1,454명, 여자가 1,040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