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103 |
---|---|
한자 | 大廳洞一-二-三-四街 |
영어의미역 | Daecheong-dong |
이칭/별칭 | 대청동,대청동 1가,대청동 2가,대청동 3가,대청동 4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대청동 2가|대청동 3가|대청동 4가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0.35㎢ |
가구수 | 3,413가구 |
인구(남, 여) | 5,747명[남 2,729명|여 3,018명]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부산부 대청정 1·2·3·4정목 |
변천 시기/일시 | 1947년 - 부산부 대청정 1·2·3·4정목에서 부산부 대청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대청동 1·2·3·4가에서 부산시 대청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1년 - 부산시 대청동 1·2·3·4가에서 부산시 중부출장소 대청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중부출장소 대청동 1·2·3·4가에서 부산시 중구 대청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중구 대청동 1·2·3·4가에서 부산직할시 중구 대청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2년 - 복병동이 대청동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중구 대청동 1·2·3·4가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2·3·4가로 개편 |
법정동 | 대청동 1·2·3·4가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2·3·4가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대청동(大廳洞)은 1876년(고종 13)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4개의 법정동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부산의 도심으로 성장하며 상업 및 업무 기능이 집중함에 따라 주거 인구는 감소한 반면 유동 인구는 증가하였다.
[명칭 유래]
대청동은 초량 왜관의 연향 대청(晏饗大廳)[일본 사신을 맞아 연회를 베풀던 장소로, 현재의 광일초등학교 자리]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대청정(大廳町)으로 불렸고, 광복 이후에도 일본식 지명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대로 대청동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 동래부 사천면에 속하였으며, 1678년(숙종 4)부터 현 용두산 공원을 중심으로 초량 왜관이 자리하게 되며 동래부 사천면 신초량리에 속하였다.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면서 부산항 개항으로 초량 왜관이 폐쇄되고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어 일본인 거주자 수가 급증하였다. 1889년(고종 26)에는 현재의 대청로 및 광복로 등의 도로가 개설되고, 송현산[현 용두산] 주변과 해안가 매축지를 중심으로 각종 공공 기관과 업무 및 상업 시설, 항만과 철도 등 각종 산업 시설 등이 들어서며 급속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1914년 부산부에 속하였으며, 이후 대청정(大廳町) 1·2·3·4정목이 되었다. 1947년 일본식 동명을 한국식 동명으로 변경할 때 대청정 1·2·3·4정목이 대청동 1·2·3·4가로 개칭되었고, 1949년 부제가 폐지되며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였다. 1951년 중부출장소가 설치되며 그 관할이 되었고, 1957년 구제 실시에 따라 중부출장소가 중구로 승격하였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82년 복병동(伏兵洞)이 대청동에 병합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2·3·4가가 되었다.
[자연 환경]
중구의 중앙에 위치하여 북으로는 영주동, 동으로는 동광동, 남으로는 광복동, 서로는 보수동과 접한다. 북쪽으로 구봉산이 있고, 남쪽으로는 용두산을 끼고 있다. 서쪽은 분지 지대이며 동쪽은 남해와 인접해 있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인 대청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35㎢이며, 인구는 3,413가구에 총 5,747명으로 남자가 2,729명, 여자가 3,018명이다. 중구청이 위치한 구청 소재지이며, 고지대 주거 지역이 많고, 저지대 도로가로는 인쇄, 의류, 유통 등 특수 업종이 밀집한 상가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청동 상설 패션 할인 거리와 동광동 인쇄 골목도 있다. 고지대의 주거지는 주로 인근 국제 시장 및 자갈치 시장 상인들의 거주 지역이었으나 1995년부터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이 시행되어 다세대 주택이 늘어나고 있다. 행정동은 대청동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4.03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05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04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0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0.35㎢이며, 인구는 3,553가구에 총 6,601명으로 남자가 3,101명, 여자가 3,500명이다. |
2020.05.22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0.35㎢이며, 인구는 3,495가구에 총 6,773명으로 남자가 3,193명, 여자가 3,580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