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127
한자 新昌洞一-二-三-四街
영어의미역 Sinchang-dong 1-ga, 2-ga, 3-ga, 4-ga
이칭/별칭 신창동,신창동 1가,신창동 2가,신창동 3가,신창동 4가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가|신창동 2가|신창동 3가|신창동 4가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홍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부산부 서정
변천 시기/일시 1947년 - 부산부 서정 1·2·3·4정목에서 부산부 신창동 1·2·3·4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부 신창동 1·2·3·4가에서 부산시 신창동 1·2·3·4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1년 - 부산시 신창동 1·2·3·4가에서 부산시 중부출장소 신창동 1·2·3·4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중부출장소 신창동 1·2·3·4가에서 부산시 중구 신창동 1·2·3·4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중구 신창동 1·2·3·4가에서 부산직할시 중구 신창동 1·2·3·4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중구 신창동 1·2·3·4가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2·3·4가로 개편
법정동 신창동 1·2·3·4가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2·3·4가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신창동(新昌洞)은 1876년(고종 13)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2개의 법정동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부산의 도심으로 성장하며 상업 및 업무 기능이 집중함에 따라 주거 인구는 감소한 반면 유동 인구는 증가하여 4개의 법정동으로 되었다. 행정동은 광복동이며, 창선동 1·2가광복동 1·2·3가로 이루어져 있다.

[명칭 유래]

신창동은 1947년 일제식 동명 개칭 때 서정(西町)에서 신창동으로 개칭되었는데, 그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서정은 초량 왜관의 서관이 있던 장소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1678년(숙종 4)부터 현재 용두산 공원을 중심으로 초량 왜관이 자리하게 되며, 동래부 사천면 신초량리에 속하였다. 이 지역은 초량 왜관의 서관[신창동 대각사 일원]이 있던 자리였는데,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고, 부산항의 개항으로 초량 왜관이 폐쇄되며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었다. 1914년 부산부에 속하며 서정(西町)[현 신창동]이 되었고, 이후 일본인의 주택가와 상가가 되어 인구가 증가하며 서정 1·2·3·4정목이 되었다.

1947년 일본식 동명을 한국식 동명으로 변경하며 신창동 1·2·3·4가로 개칭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였고, 1951년 중부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56년 7월 시 조례로 법정동인 신창동은 행정적으로 행정동인 광복동에 편입되어 법정동으로만 존재하는 동이 되었다. 1957년 중구 신창동이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2·3·4가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동쪽은 대청동·동광동, 남쪽은 중앙동, 서쪽은 광복동 2가를 지나 남포동, 북쪽은 부평동·보수동과 접한다. 북쪽으로 복병산과 연접하고, 동쪽으로는 용두산과 접한다. 남쪽으로 중앙동을 지나 남해안과 인접해 있다.

[현황]

신창동중앙동과 접하여 지하로 지하철 1호선이 지나며, 남포역이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국제 시장 일부가 관내에 속하는데, 이 중 가장 유명한 먹자골목이 포함되어 있다. 먹자골목은 과거 노점에서 시작되었는데, 지금도 비빔당면 골목[충무 김밥을 함께 판다]과 팥빙수 골목, 떡볶이 골목 등에서는 좌판을 놓고 음식을 판다. 현재 거주하는 인구수에 비해 유동 인구가 훨씬 많은데 대부분 상업에 종사한다. 창선동 1·2가광복동 1·2·3가와 합해 행정동 광복동에 속해 면적과 인구수 등의 현황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