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385 |
---|---|
한자 | 河川整備-復原事業 |
영어의미역 | River Refurbishment and a Restoration Project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노승조 |
[정의]
부산광역시 일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하천 관리와 생태 하천 복원 사업.
[개설]
하천 정비·복원 사업은 수질이 급격히 오염된 부산광역시의 하천을 정비하여 관리하고, 생명이 건강하게 살아 숨 쉬는 맑고 깨끗한 생태 하천으로 복원하는 사업이다.
[부산 지역 하천 현황]
부산 지역을 흐르고 있는 하천은 총 50개소[총 연장 258.33㎞]가 있다. 그중에서 국가 하천은 낙동강,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등 국가 하천 4개소[총 연장 59.19㎞]이다. 지방 2급 하천으로는 괴정천, 학장천, 덕천천, 대리천, 대천천, 보수천, 구덕천, 초량천, 부산천, 동천, 전포천, 호계천[동구·부산진구], 부전천, 가야천, 남천, 춘천, 우동천, 수영강, 온천천, 동래천, 석대천, 조만강, 지사천, 송정천[강서구], 해반천, 구산천, 호계천[강서구], 신어천, 효암천, 장안천, 용소천, 좌광천, 덕선천, 동백천, 일광천, 죽성천, 만화천, 서부천, 송정천[기장·해운대구], 철마천, 구칠천, 이곡천, 송정천[금정구·기장군], 임기천, 삼락천, 감전천 등 46개소[총 연장 199.14㎞] 가 있다.
[하천의 오염과 하천 관리]
부산 지역의 크고 작은 하천들은 197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회유성 물고기와 1급수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물고기가 노닐고, 아이들은 목욕을 하고 물장구를 치며 놀았을 정도로 맑은 물이 흐르는 아름다운 하천이었다. 그러나 1970~1980년대의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제방 축조나 콘크리트 라이닝 등에 주력하는 치수 및 토지 활용에 중점을 두는 하천 관리로 인해 하천 수질이 급격히 오염되고 생태계가 크게 훼손되었다.
이에 하천의 수 생태계 건강성을 복원·보전하고 하천 물길의 자유로운 사행화(蛇行化)를 유도하기 위하여 수질 개선 사업 및 다양한 하천 유지용수 공급 방안을 적극 도입하여 하천 구역뿐 아니라 하천 주변까지 생태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생태 하천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1년도에는 동천, 온천천 하류에 대한 준설 및 호안 정비와 초량천 생태 하천 복원 사업 실시 설계 용역 등을 추진하였다. 2012년에는 대연천, 수영강 하류에 대한 생태 하천 복원 사업 실시 설계 용역 착수 등 시역 내 하천에 대해 순차적으로 생태 하천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천 정비 사업]
부산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 하천 정비 사업으로는 학장천 고향의 강 조성 사업, 괴정천 정비 사업, 온천천 정비 사업, 수영강 하류 생태 하천 조성 사업 등을 들 수 있다.
‘학장천 고향의 강 조성 사업’[2010~2015년]은 사상구 주례동부터 낙동강 합류부까지 4.13㎞의 구간에 대해 480억 원[국비 288억 원]의 예산으로 2011년 5월에 착공되어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괴정천 정비 사업’[2010~2015년]은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공영 주차장]부터 해안에 이르는 671m의 구간에 대한 정비와 2개소의 교량 재가설 등이 275억 3,300만 원[국비 165억 2천만 원]의 예산으로 2011년 10월 1차 착공, 2012년 3월 2차 착공하여 진행되고 있다.
‘온천천 정비 사업’[2007~2013]은 금정구 청룡동[청룡교]부터 수영강 합류부까지 12.7㎞의 구간에 592억 9,800만 원[국비 223억 5,100만 원]의 예산으로 2007년 12월 종합 정비 사업 시행[2011년 12월 완료], 2011년 3월 상류 정비 사업, 2012년 3월 하류 생태 하천 복원 사업 등이 시행되어 진행되고 있다.
‘수영강 하류 생태 하천 조성 사업’[2008~2013년]은 금정구 회동 수원지 하류부터 수영교 일원에 이르는 8.5㎞의 구간에 94억 6,700만 원[국비 56억 8천만 원]의 예산으로 2011년 12월 착공하여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생태 하천 복원 사업]
부산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 생태 하천 복원 사업은 동천 환경 개선 사업과 초량천 개선 사업을 들 수 있다. ‘동천 환경 개선 사업’[2008~2013]은 부산진구청[동해 남부선]부터 북항 입구에 이르는 4.0㎞의 구간에 319억 1,200만 원[국비 147억 6,250만 원]의 예산으로 수질 개선[해수도수, 5만t/일]이 진행되고 있다. ‘초량천 개선 사업’[2011~2015]은 동구 초량동 하나은행에서 동일중앙초등학교까지 0.72㎞의 구간에 300억 원[국비 150억 원]의 예산으로 생태 하천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기타 하천에 대한 사업]
부산광역시는 동천, 온천천, 수영강, 학장천 등 부산의 주요 도심 하천 외에도 2004년 북구 대천천과 사상구 구덕천에 대해 기본 및 실시 설계를 수립하였으며, 해운대구 춘천은 2005년에 하천 정비 기본 계획과 하천 복원에 따른 기본 및 실시설계를 수립하여 하천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