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517 |
---|---|
한자 | 石坮川 |
영어의미역 | Seokdae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해운대구 석대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반용부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와 해운대구 석대동을 흐르는 하천.
[지명유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을 지나는 하천이라 석대천이라고 부른다.
[자연 환경]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개좌산[450m]·운봉산·장산 등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소지류와 사당골 고촌리와 성산[368.2m] 서쪽의 안평리 일대에서 발원한 소지류 등 24개의 소하천들이 합류해 석대천을 형성한다. 석대천은 반송동과 석대동을 지나 수영강에 합류한다. 상류부에서는 계곡에 소류지를 조성해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석대동·반여동·반송동 일대에는 평야가 발달해 있다. 석대천은 석대동의 반여 농산물 도매 시장 인근에서 수영강에 합류한다.
[현황]
석대천은 유로 연장 9.4㎞에 유역 면적은 22.6㎢이며, 전체 유로 중 약 700m가 복개되어 도로나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석대천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의 안평 마을과 고촌 마을에 침식 분지를 형성하고 수영강과의 합류 지점 부근 석대동에 넓은 평야를 형성하였다. 이 일대는 반여 농산물 도매 시장, 동부산대학교, 영산대학교, 반여 아시안 게임 선수촌이 들어서 있다.
석대천이 수영강에 합류하는 하천 연변에는 석대동 화훼 단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최근 공장과 창고 및 주택 단지가 조성되는 등 반송동·반여동·석대동 일대가 도시화되며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석대천변을 따라 부산 도시 철도 4호선이 개통되고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더욱 빠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근 생태 하천 사업의 일환으로 석대천변 둔치에 시민 공원 조성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