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교육극단 꼭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271
한자 敎育劇團-
영어의미역 Edu-Theater Company Kkokdu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477[남천동 47-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문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인형 극단
설립자 김경화
전화 625-2117,010-5232-1350
홈페이지 교육극단 꼭두(http://www.mac1986.com)
설립 시기/일시 1987년 5월연표보기 - 인형 극단 까치로 창단
이전 시기/일시 2008년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477[남천동 47-9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2010년연표보기 - 인형 극단 까치에서 교육극단 꼭두로 개칭
최초 설립지 인형 극단 까치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주소 변경 이력 인형 극단 까치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주소 변경 이력 인형 극단 까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주소 변경 이력 인형 극단 까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주소 변경 이력 인형 극단 까치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477[남천동 47-9]
현 소재지 교육극단 꼭두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477[남천동 47-9]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인형극 공연 단체.

[설립 목적]

교육극단 꼭두는 어린이들에게 인형극 및 아동극을 통하여 꿈과 희망을 심어 주고, 대중문화의 홍수 속에서 어린이들의 정서를 건전하게 키우며, 상상력과 함께 마음껏 동심의 세계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설립되었다.

[변천]

1987년 5월에 중구 중앙동에서 인형 극단 까치로 설립되었다. 이후 서구 서대신동해운대구, 부산진구 양정동으로 옮겼다가 2008년에 현재의 위치인 수영구 남천동소극장 6번 출구 내에 사무실과 연습실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2010년에 우리 전통 설화의 소재와 전통 연희의 현대화라는 방법론에 적합하게 극단명을 인형 극단 까치에서 교육극단 꼭두로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87년 11월에 「청개구리 왕눈이」와 「나무꾼과 호랑이」, 「콩쥐 팥쥐」를 창단 공연으로 하여 출범하였다. 꾸준한 정기 공연과 함께 정기 공연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아동극 공연 지원 사업, 부산 아동극 페스티벌 참가 공연, 동래 야외극 페스티벌 참가, 찾아가는 문화 활동 및 자선 공연, 부산 아동극 페스티벌 제작, 주최 등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백화점 초청 공연과 특수 교육 대상자 자선 공연을 해 오고 있다.

인형극 공연 작품으로 「청개구리 왕눈이」, 「꾸러기 만세」, 「내 귀는 짝짝이」, 「아기 돼지 삼 형제」, 「팥죽할멈과 호랑이」, 「은혜 갚은 두꺼비」, 「장화 신은 고양이」, 「꼬리 뽑힌 호랑이」, 「스크루지의 크리스마스」, 「시골 쥐와 서울 쥐」를 공연하였고, 환경 관련 창작 인형극으로는 「부리부리 박사 1」, 「부리부리 박사 2」, 「아기 코끼리 몽짝코」, 「해님 달님」, 「수탉과 몽둥이」, 「토끼와 거북이」, 「짱구야 놀자」, 「용감한 원숭이」, 「짜리 짜리 몽당짜리」, 「맑은 공기 동굴 속 거북이」, 「썩어 버린 호랑이 꼬리」, 「폐수를 먹어 버린 개미」, 「청소 대장 꼬마 짱구」 등을 공연하였다.

[현황]

교육극단 꼭두는 아동극 및 인형극 관람 중 흥겨운 동요와 율동을 통해 아동들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교육적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2013년 현재 심미란이 극단의 대표이며, 조영미와 이혜영, 배문수, 김홍식 등이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교육극단 꼭두는 부산 지역의 인형 극단 중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단체로서, 어린이들에게 우리 전통 연희와 설화의 소재를 통해 우리 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고, 극단 맥과 연계하여 연극적 형식과 결합하여 극적 상상력을 확장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