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51
한자 綜合運動場驛
영어의미역 Sports Complex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지하 73[거제동 1191-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503-4265
착공 시기/일시 1997년 11월 25일 - 착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5년 11월 28일연표보기 - 개통
최초 설립지 종합 운동장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지하 73[거제동 1191-2]
현 소재지 종합 운동장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지하 73[거제동 1191-2]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도시 철도 3호선의 일반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포동·서면 등 주요 지역의 교통난이 심각하여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이후 부산은 시가지의 외연적 확장이 계속되며 동서축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2호선이 건설되었다. 1호선·2호선의 개통으로 부산은 도시 철도 광역 대중교통 시대가 열리게 되었으나, 1990년대 중반에 이르며 강서구에서 도심으로 연결되는 도로와 북구에서 동래로 이르는 도로의 교통난이 심화되며, 동래에서 만덕 터널에 이르는 충렬로·만덕로강서구에서 북구로 연결되는 교량은 만성 정체 구간이 되었다.

이에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은 부산의 만덕·미남·연산동 등의 만성적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특히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던 강서 지역을 도심과 직접 연결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종합 운동장역(綜合運動場驛)은 부산 야구의 메카 사직 야구장과 연결되어, 프로야구 정규 시즌에는 사직 야구장을 찾는 많은 사람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종합 운동장역은 1997년 11월 25일에 수영~대저 간 18.3㎞ 구간에 해당하는 도시 철도 3호선 공사와 더불어 착공에 들어가, 2005년 11월 28일에 개통하였다.

[구성]

종합 운동장역은 모두 8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하에 2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은 대합실이고, 지하 2층은 3호선 승강장이다. 종합 운동장역에는 물품 보관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로는 역무실, 매표소, 만남의 장소, 고객 서비스 센터, 화장실, 승차권 발매기 등이 있다.

[현황]

종합 운동장역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연간 및 일평균 승차 인원은 각각 234만 9274명과 6,436명이고, 연간 및 일평균 하차 인원은 각각 245만 5936명과 6,729명이다. 도시 철도 3호선 16개 역 중에서 승차 인원이 4번째로 많다. 종합 운동장역은 한국철도공사의 동해 남부선 거제역,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 부산교육대학교 등과 가깝다. 또한 종합 운동장역 주변에는 부산고등법원,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검찰청, 사직 야구장, 부산의료원, 거제여자중학교, 여명중학교, 연제우체국 등이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린다. 2012년에는 노인 학대 예방 사진전, 우울증 무료 상담, 에이즈 예방 홍보 전시전, 결손 가정 어린이 및 무의탁 노인 돕기 캠페인 등이 열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