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 의료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92
한자 釜山廣域市醫療院
영어공식명칭 Busan Medical Center
이칭/별칭 부산의료원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359[거제동 133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성수성향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병원
설립자 H. N. 앨런
전화 051-507-3000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의료원(http://www.busanmc.or.kr/)
설립 시기/일시 1876년 11월 13일연표보기 - 관립 제생의원으로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36년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1가 10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56년 11월 1일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1가 10에서 충무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62년 5월 -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에서 부산진구 부전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68년 12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연제구 연산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1년 12월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거제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894년 10월연표보기 - 관립 제생의원에서 부산공립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07년 12월연표보기 - 부산공립병원에서 부산거류민단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4년 4월연표보기 - 부산거류민단병원에서 부산부립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7년 7월연표보기 - 부산부립병원에서 부산시립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2년 7월연표보기 - 부산시립병원에서 지방공사 부산직할시 의료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5년 3월연표보기 - 지방공사 부산직할시의료원에서 지방공사 부산광역시 의료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6년 3월 8일연표보기 - 지방공사 부산광역시 의료원에서 부산광역시 의료원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관립 제생의원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의료원 -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359[거제동 133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공공 종합 의료 기관.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의료원은 지역 거점 공공 병원으로서 의료 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하고, 수준 높은 진료를 통해 시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광역시 의료원은 1876년(고종 13) 11월 13일 중구 광복동 2가[구 로얄 관광호텔 부지]에 미국인 선교사 H. N. 앨런에 의해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설립된 관립 제생의원(官立濟生醫院)에서 비롯되었다. 관립 제생의원은 1894년 부산공립병원으로 변경되었고, 1907년 12월 일본에 의해 부산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위한 부산거류민단병원으로 변경되었다. 1914년 4월 일제에 의해 부산부립병원으로 변경되었고, 1936년 서구 아미동 1가[현 부산대학교병원 부지]로 이전하였다. 광복 이후인 1947년 7월 부산시립병원으로 변경되었고, 6·25 전쟁 시기인 1951년 6월부터는 제15육군병원으로 사용되었다. 1956년 11월 1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부지를 넘기고 서구 충무동으로 이전하였다.

1962년 5월 부산진구 부전동으로 이전하였고, 1968년 12월 연제구 연산동[현 연산 SK 뷰 아파트 부지]으로 이전하였다. 1982년 7월 지방공사 부산직할시 의료원으로 변경하였고, 1995년 3월 지방공사 부산광역시 의료원으로 변경하였다. 2001년 8월 연제구 거제동의 신축 공사가 완료되어 2001년 12월 거제동으로 이전하였다. 2006년 3월 8일 부산광역시 의료원으로 변경하였고, 2007년 10월 29일 동편 부지에 부산노인전문제2병원을 개원하였다. 2013년 6월 20일 병원 내 건강증진센터 3~4층에 부산한방병원을 개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의료원의 주요 업무로는 지역 주민에 대한 공익 진료, 감염병 관리 및 예방 사업, 보건 의료 교육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밖에 국가에서는 필요하나 민간 의료 기관이 담당하기 곤란한 보건 의료 사업,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의 공공 보건 의료 시책 수행, 경영 개선을 위한 장례식장 및 부대시설 운영 사업 등을 담당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대지 면적 10만 355㎡, 건물 연면적 4만 4330㎡의 지하 2층 지상 9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병상 444개, 공익 병상 69개, 감염병상 17개, 정신병상 32개 등 총 132실에 562병상과 부산노인전문제2병원에 188병상을 갖추고 있다.

신장 내과, 내분비 내과, 호흡기 내과, 심장 내과 등 총 27개의 진료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문 진료 센터로 건강 증진 센터, 재활 센터, 심혈관 센터, 인공 신장 센터, 장애인 치과 센터, 인공 관절 센터, 소화기 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노인 병동과 완화 의료 병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갑상선 클리닉, 당뇨병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 공공 의료 봉사[저소득 환자 대상으로 무료 시술 및 진료비 지원, 봉사 활동의 목적], 불우 환자 후원회, 소외 계층 의료 서비스 자원, 의료 사회사업, 건강 정보 제공, 건강 상담 등을 운영하고 있다.

임원 2명, 의사직 48명, 약사직 1명, 간호직 223명, 보건직 58명, 행정직 38명, 기술직 7명, 기능직 55명 등 총 432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64채널 PET-CT, 자기 공명 영상 촬영기[MRI], 유방 촬영기[Mammo], 비디오 복강경 내시경, 레이저 전립선 응고기, 다목적 X-Ray 촬영기, 초음파 내시경, 128채널-MDCT, 컴퓨터 단층 촬영기[CT], 디지털 심혈관 촬영기, 형광 안저(眼底) 카메라, 요실금 치료기, 디지털 EEG, 관절 내시경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부대시설로는 외래객 식당, 편의점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 의료원은 우리니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관립 제생의원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역사성과 함께 부산 지역 최대 규모의 공공 병원이라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의료원(http://www.busanmc.or.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03.16 내용 수정(현행화)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전염병 관리 및 → 감염병 관리 및 ------------------------- [현황] 전염병상 → 감염병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