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792 |
---|---|
영어의미역 | Turnel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태윤 |
[정의]
부산광역시의 도로, 철도 등을 연결하기 위해 산지 등을 통과하도록 만든 통로.
[개설]
터널은 산이나 바다에 있는 암반이나 흙을 인공적으로 관통시켜 도로·철도·지하철 등의 교통 시설과 수로 등에 설치하는 시설이다. 터널은 원시 시대에 주거지로 이용하기 위해 동굴의 확장 및 토굴의 굴착에서 비롯된 것이며, 인간의 활동이 다양해짐에 따라 교통로, 배수, 기타 군사용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1945년 이전에는 극소수의 도로 터널과 북한에 있는 소수의 발전용 수로 터널이 대부분이었고, 철도용 터널과 광산용 터널도 비교적 수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들은 주로 일본 기술자들에 의하여 건설된 것이며, 우리나라 독자로 건설된 것은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터널 건설은 주로 광복 이후에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로별 터널 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 12월 기준으로 터널 수 1,382개, 총 연장은 97만 4,723m이다. 2009년과 대비하여 터널 수 95개, 연장은 65㎞가 증가하였고, 10년 전인 2000년에 대비해서는 터널 수 985개, 연장 735㎞가 증가한 것으로, 비율로 알아보면 연평균 터널 수는 7.13%, 연장은 7.54%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천]
부산광역시는 한반도의 척량 산맥인 태백산맥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지형으로 500m내의 구릉성 산지가 독립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지 면적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부산시는 우리나라에서 서울 다음으로 가장 많은 터널을 가지고 있는 도시이며, 연장으로는 서울보다 더 길다. 그만큼 부산시의 교통 상황을 설명할 때 터널을 제외하고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과 서구 동대신동을 연결하는 부산 터널은 1961년 준공되어 부산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터널로, 도심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고 도심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부산 터널을 시작으로 1971년에 대티 터널, 1973년에 제1 만덕 터널이 준공되었다. 1980년 번영로가 만들어지면서 광안 터널·대연 터널·문현 터널·오륜 터널·수영 터널이 함께 준공되었고, 1988년에 제2 만덕 터널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터널이 1990년대에 준공되었다. 2009년 당시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철도 터널인 금정 터널이 준공되었다. 가장 최근에 준공된 터널은 거가 대교가 만들어지면서 함께 준공된 가덕·침매·중죽도 터널로 2010년에 준공되었다. 그리고 2013년 말 준공을 목표로 철도 터널인 해운대 터널이 공사 중에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에는 도로 상에 모두 51개 터널이 있다. 고속 도로 상에 8개 터널이 있고, 광역시도 상에 39개 터널, 국가 지원 지방도 상에 4개 터널이 있다. 터널의 개수는 서울이 64개소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부산이다. 그리고 부산광역시 도로 상의 터널의 총 연장은 4만 9083.3m로, 우리나라 도시 중에서 가장 길다. 서울이 4만 1549.5m로 부산 다음으로 긴 터널 연장을 가지고 있다.
2009년 준공 당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터널은 철도 터널인 금정 터널이다. 금정 터널은 총 연장이 20.3㎞로, 2010년 현재 운행 중인 국내 최장 터널인 황학 터널[10㎞]의 2배, 최장 교량인 서해 대교[7.3㎞]의 3배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2010년을 기준으로 부산광역시에 준공되어 있는 터널을 고속 국도 터널, 광역시도 터널, 국가 지원 지방도 터널, 철도 터널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1. 고속 국도 터널
부산과 울산을 연결하는 고속 국도 제65호선에는 해운대 터널[상·하행], 기장 1터널[상·하행], 기장 2터널[상·하행], 일광 터널[상·하행]의 총 8개 터널이 있으며, 총 연장은 3,167m이다. 해운대 터널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과 송정동을 연결하는 터널로, 길이는 상·하행선 680m로, 편도 2차선의 반원형의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기장 1터널은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와 서부리를 연결하는 터널로 길이는 상행선 460m, 하행선 522m로, 편도 3차선의 반원형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기장 2터널은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와 일광면 삼성리를 연결하는 터널로 길이는 상행선 304m, 하행선 265m로, 편도 3차선의 반원형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일광 터널은 기장군 일광면 원리에 위치하고 있는 터널로, 길이는 상·하행선 128m로 편도 3차선의 반원형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8개 터널 모두 2008년 부산 울산 고속 도로가 만들어지면서 함께 준공되었다.
2. 광역시도 터널
부산광역시도 터널은 모두 39개가 있고 총 연장은 4만 278.7m이다. 부산보다 면적이 넓은 대구광역시도 터널이 6개, 인천광역시도 터널이 8개인 것을 보면 부산에 터널이 얼마나 많은지를 알 수 있다. 제1 만덕 터널만 상하 구분 없이 1개가 만들어져 있고, 나머지 터널은 상·하행으로 나누어져 있다. 39개 터널에 대한 자세한 현황은 앞서 표로 정리하였다.
3. 국가 지원 지방도 터널
부산과 거제를 연결하는 국가 지원 지방도 제58호선에는 가덕 터널, 침매 터널, 중죽도 터널[상·하행]의 4개 터널이 있고, 총 연장은 5,637.6m이다. 가덕 터널은 강서구 천선동에 있는 터널로, 길이 1,410m의 편도 2차선으로 되어 있다. 침매 터널은 강서구 천선동에 있는 터널로 길이가 3,665.6m이고 편도 2차선으로 되어 있다. 중죽도 터널은 강서구 천선동에 있는 터널로 상·하행 모두 281m이고, 편도 2차선의 쌍굴로 되어 있다. 4개 터널 모두 거가 대교가 만들어진 2010년에 함께 준공되었다.
4. 철도 터널
부산광역시의 철도 터널로는 2009년에 준공된 금정 터널과 2013년 말에 준공 예정인 해운대 터널이 있다. 금정 터널은 경부 고속 철도의 일부인 금정구 노포동과 동구 초량동을 연결하는 고속 철도 터널이며, 해운대 터널은 동해 남부선의 복선화과정에서 새로 만들어지는 철도 터널로 해운대를 통과한다.
금정 터널은 길이 20.3㎞, 폭 12.5~34.1m, 높이 8.6~12.5m의 복선 고속 철도 터널이다. 2009년 당시 우리나라 최장 터널인 금정 터널은 그 규모에 걸맞게 6년여에 이르는 건설 기간 동안 60만 명의 인원과 17만 대의 장비를 투입하였으며, 굴착한 토량은 덤프트럭 35만 대분인 208만㎥, 콘크리트 량도 아파트[79.34㎡ 규모] 5,000세대 건설 분량인 23만㎥에 달한다. 해운대 터널은 길이 3,685m, 폭 11.2m의 복선 철도 터널이다. 부산~울산 구간 복선 전철 구간 중 가장 긴 터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