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72
한자 加德-
영어의미역 Gadeok Tunne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동선동|천성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태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터널
길이 1,410m
차선 2차선[편도]
8.5m
준공 시기/일시 2011년 2월연표보기 - 준공
전구간 가덕 터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동선동~천성동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가덕 터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동선동~천성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동선동을 연결하는 터널.

[명칭 유래]

터널이 부산의 대표적인 섬인 가덕도에 위치하고, 가덕 고개 아래를 지나고 있어 가덕 터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제원]

가덕 터널의 길이는 상·하행선 1,410m이다. 폭은 8.5m, 높이는 4.5m이며 편도 2차선의 반원형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투자자는 부산광역시 건설본부이며 총 사업비는 392억 원 정도가 소요되었다.

[건립 경위]

남해안 조선 산업 단지와 신항만 배후 산업 단지 간 원활한 물동량 처리로 국가 및 부산, 거제도 양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남해안 관광 벨트 조성을 통한 핵심 인프라 구축을 위해 거가대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건립되었다.

[변천]

가덕 터널은 2006년 12월 착공하여 2011년 2월에 완공되었다.

[현황]

가덕 터널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에서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 간 8.2㎞를 연결하는 해상 연결 도로인 거가대로의 일부 구간에 해당한다. 송정 분기점에서 가덕 대교, 눌차교, 가덕 터널을 지나면 가덕 해저 터널, 중죽도 터널, 저도 터널, 농소 터널을 지나 거제 TG로 연결된다. 가덕도를 관통하는 가덕 터널이 개통되면서 거제도와 부산 간의 거리[140㎞→ 60㎞]와 시간[2시간 10분→ 50분대]을 단축함으로써 양측 경제와 관광 산업에 큰 이익을 주고 있다.

가덕 터널은 특히 2010년 거가 대교 완공 당시 거가 대교를 구경하기 위한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심한 교통 체증을 겪었다. 거가 대교 관광객으로 인해 물류 수송을 위한 컨테이너 차량들이 교통 체증으로 많은 피해를 보았고, 주말에는 전국에 관광객들이 집중함으로써 상황은 더욱 심각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교통 체증은 완화되었다. 가덕 터널의 1일 통행량은 임시 개통한 2010년에 2만 8000대에서 2011년에는 1만 7000대로 감소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