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83
한자 釜山-
영어의미역 Busan Tunnel
이칭/별칭 영주 터널,제1 부산터널,제2 부산터널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서구 동대신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태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터널
길이 643m[제1 터널]|660m[제2 터널]
차선 2차선[편도]
8.5m[제1 터널]|9.4m[제2 터널]
준공 시기/일시 1961년 9월 15일연표보기 - 제1 터널 개통
증설|폐설 시기/일시 1988년 - 제2 터널 개통
전구간 부산 터널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서구 동대신동
해당 지역 경유 구간 부산 터널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서구 동대신동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서구 동대신동을 연결하는 쌍굴 터널.

[명칭 유래]

1961년 9월에 제1 부산 터널이 준공되었을 때는 중구 영주동에 위치한다고 해서 영주 터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가 1988년 제2 부산 터널이 준공되면서 부산 터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제원]

제1 부산 터널은 길이 643m, 폭 8.5m, 높이 5.4m이고 6억 1047만 원의 사업비가 소요되었다. 제2 부산 터널은 길이 660m, 폭 9.4m, 높이 7.0m로 284억 7700만 원의 공사비가 소요되었다. 제1, 2 터널 모두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립 경위]

부산 도심에서 서구로 이동하기 위해 대청로에서 구덕로로 멀리 돌아가야 했던 불편함과 부산 도심의 차량 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제1 부산 터널과 제2 부산 터널은 평행하게 건설된 쌍굴 터널이다.

[변천]

부산 터널은 1945년 이전에 착공했다가 1945년 8·15 해방과 함께 중단되었으나 1956년 다시 공사를 착수하여 1961년 9월 15일에 준공되었다. 이후 부산항 화물 물동량 증가로 늘어나는 차량 통행량을 감당할 수 없어 1988년에 제2 부산 터널이 준공되었다. 준공 연도에 따라 제1 부산 터널과 제2 부산 터널로 구분된다.

[현황]

부산 터널은 부산에서 처음 세워진 터널로 서구 서대신동에서 중구 영주동을 연결하는 대영로에 있다. 중구에서 부산 터널을 통과하면 동대신동 교차로서대신동 교차로를 지나 낙동대로로 연결된다. 2011년 6시에서 20시까지의 교통량이 6만 5325대로 백양, 장지, 만덕2, 황령 터널과 함께 가장 많은 교통량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우회 도로의 건설 등을 통해 2010년 6시에서 20시까지의 교통량에 비해서는 2.8% 감소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