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929 |
---|---|
한자 | 東大新洞一-二-三街 |
영어의미역 | Dongdaesin-dong 1-ga, 20ga, 3-ga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동대신동 2가|동대신동 3가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동대신동(東大新洞)은 일제 강점기 일본인 거주가 확대되며 인구가 급증해 3개의 법정동으로 분할되었다. 1947년 한국식 동명인 동대신동 1·2·3가로 개칭되었으며, 행정동은 동대신 1·2·3동이다.
[명칭 유래]
동대신동이란 지명은 대신동의 동쪽이라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 대신동 지명이 처음 생긴 것은 1914년으로 추정된다. 지명에서 ‘대신동’은 보수천(寶水川)의 호안 공사 이후 일본인이 입주하여 형성된 새로운 시가지를 ‘한새벌’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 ‘한’은 크다는 뜻의 ‘대(大)’, ‘새’는 새롭다는 뜻의 ‘신(新)’, ‘벌’은 ‘땅’이라는 의미로 한새벌의 한자식 표현이다.
[형성 및 변천]
동대신동은 1800년대만 해도 닥밭골 부근[현재의 동대신동 삼익 아파트 자리]에 몇 채의 가옥이 있을 뿐 인가가 드문 지역이었다. 조선 후기에는 동래부 사하면 대치리에 속하였으며, 1866년(고종 3) 사하면이 사상면과 사하면으로 분할되면서 사하면 부촌리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부에 속하게 되며, 사하면 대치리와 부촌리를 병합하여 대신정이라 하였다. 대신정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구가 급증하자 1926년 동대신정과 서대신정으로 분할하며 동대신정 1정목·동대신정 2정목·동대신정 3정목으로 나뉘었다.
1947년 동대신동 1가, 동대신동 2가, 동대신동 3가가 되었다. 1951년 서구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 동대신동 1·2·3가가 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 서구가 되었으며, 1995년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2·3가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서구의 북부에 위치한다. 동쪽은 동구, 서쪽은 서대신동, 북쪽은 엄광산을 경계로 부산진구, 남쪽은 부용동과 접한다. 북쪽으로 엄광산[504m]이 있으며, 이곳에서 발원한 소하천은 서대신동 3가와 경계를 이룬다. 엄광산에서 동남쪽으로 이어진 산줄기는 구봉산과 보수산으로 이어진다. 이들 산지의 산록에 약수터가 많아 시민들이 자주 찾는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인 동대신 1·2·3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2.12㎢이며, 인구는 1만 13가구에 총 1만 9,613명으로 남자가 9,359명, 여자가 1만 254명이다. 시가지는 서쪽에 발달하여 있으며 동쪽은 보수산의 말단부에 해당되어 취락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다. 관내에 교육 기관으로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와 부속 병원이 있으며 경남고등학교가 있다. 부산 중구와 연결되는 부산 터널이 이곳을 지난다. 서쪽에 지하철 1호선이 지나고 있으며 동대신동역이 있다. 관내에 서구 종합 사회 복지관과 동대성당, 대신 종합 시장이 있다. 자연 마을로 대신리 마을, 동산리 마을, 북산리 마을이 있다. 행정동은 동대신 1동, 동대신 2동, 동대신 3동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4.28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09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07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2.12㎢이며, 인구는 9,873가구에 총 2만 114명으로 남자가 9,587명, 여자가 1만 527명이다 |
2020.05.22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2.12㎢이며, 인구는 9,306가구에 총 1만 9,368명으로 남자가 9,253명, 여자가 1만 115명이다.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