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58
한자 水晶-
영어의미역 Sujeong Tunnel
이칭/별칭 수정산 터널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부산진구 가야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태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터널
길이 2,356m
차선 2차선[편도]
9.9m
준공 시기/일시 2001년 12월연표보기 - 준공
전구간 수정 터널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부산진구 가야동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수정 터널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부산진구 가야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부산진구 가야동을 연결하는 터널.

[명칭 유래]

부산광역시 동구와 부산진구의 경계를 이루는 수정산 아래에 터널이 지나고 있어 수정 터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제원]

수정 터널의 길이는 상·하행선 2,356m이다. 폭은 9.9m, 높이는 7.4m이며, 편도 2차선의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건설본부가 시행, 쌍용엔지니어링이 설계를 맡았으며, 쌍용건설과 반도종합건설이 공동 시공하였다. 공사비는 1,437억 원이 투입되었다.

[건립 경위]

수정 터널남해 고속 도로, 경부 고속 도로관문 대로를 잇는 역할을 감당하고, 부산항만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과 물류비용 절감 효과를 위해 건립되었다.

[변천]

수정 터널은 1997년 5월 착공하여, 2001년 12월에 완공되었다. 한국민자도로운영에서 관리하고 있다.

[현황]

수정 터널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서 부산진구 좌천동을 연결하는 관문 대로[부산 제3 도시 고속 도로로 남해 고속 도로경부 고속 도로를 연결]에 있다. 유료 터널로 2002년 4월 1일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으며, 징수 기간은 2027년까지 25년이다. 경차는 400원, 소형차는 800원, 대형차는 1,100원이다.

수정 터널은 2011년 가덕 해저 터널이 생기기 전까지 부산에서 가장 긴 터널로, 부산 도심과 부산항을 연결하고 백양 터널과 함께 부산의 북부, 서부 외곽 지역과 김해 국제 공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부산의 도심과 김해, 양산 등의 북부, 서부 외곽을 연결하는 터널로, 1997년 개통 이후 통행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신 대구 부산 고속 도로[대구 부산 고속 도로]의 개통으로 컨테이너 수송 차량의 통행량이 급증하였다.

수정 터널은 2010년 6시에서 20시까지의 교통량은 3만 9238대이다. 그러나 2011년 6시에서 20시까지의 교통량은 3만 8011대로 2010년에 비해 1,227대[3.1%]가 감소하였다. 이는 거가 대교 개통에 따른 남해 고속 도로의 교통량 분산이 영향을 미쳤으며, 백양 터널의 교통 체증과 유료 터널에 대한 부담감으로 대체 도로를 이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 부산 북항의 물동량 감소도 수정 터널의 교통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