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0582 |
---|---|
한자 | -病身- |
영어의미역 | Gwigimi Shamanistdance for the Crippled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문홍 |
[정의]
1991년에 부산광역시 소재 극단 자갈치가 공연한 희곡.
[개설]
「뒷기미 병신굿」은 민족총예술인연합 부산지회 연극위원회 소속 극단 자갈치의 창작 희곡으로, 1991년에 소극장 신명천치에서 공연한 작품이다.
[구성]
「뒷기미 병신굿」은 삼랑진 뒷기미 나루를 배경으로 무대를 구성하였다. 삼랑진 뒷기미 나루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병신춤을 통해 민중의 저항과 의지를 표현하는 구성을 택하고 있다.
[내용]
삼랑진 뒷기미 나루에 쓰레기 매립장이 들어온다고 하자 주민들은 경부선 열차를 막아서며 격렬하게 저항한다. 1차 저지에 성공한 주민들이 기뻐하고 있을 때 권력의 하수인들과 자본가들, 마을 유지 등 이 사업으로 이권을 노리는 측에서는 주민들을 하나하나 매수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주민들 간의 대립과 반목이 극에 이르게 된다.
욕쟁이 할머니를 비롯한 여러 주민들의 방화 시위로 쓰레기 매립장을 막아 내지만 몇 사람은 억울한 옥살이를 한다. 이들이 풀려나던 날 뒷기미 나루터에서는 욕쟁이 할머니의 환갑잔치가 열리고, 환갑잔치는 ‘얼굴만 봐도 즐거운 병신들’인 주민들의 마을 잔치로 확대되어 크게 한 판 병신굿이 펼쳐진다.
[특징]
주민들이 추는 ‘병신춤’은 이익만을 좇는 자본가들과 권력자들에 맞서는 민초들의 저항 정신과 연대 의식을 상징하는 것으로, 밀양 백중놀이의 병신굿을 모티브로 하여 창작한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뒷기미 병신굿」은 물질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지역의 순수함을 지켜 내려는 민중의 저항과 의지를 표현하여 시각적 즐거움과 함께 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