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685 |
---|---|
한자 | 東區 |
영어의미역 | Dong-g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동구(東區)라는 지명은 일제 강점기 도심의 중심부[현재의 중구] 동쪽에 위치한 데서 비롯되었다.
[형성 및 변천]
조선 시대 이곳은 일본과의 관계에서 거점 지역이었다. 1407년(태종 7) 부산포[현 좌천동 일대] 부근에 부산포 왜관이, 1607년(선조 40) 지금의 고관 자리[부산진역 부근]에 두모포 왜관이 설치되어 이것이 1678년(숙종 4) 초량으로 옮길 때까지 70여 년간 존속되었다. 동구 지역은 조선 후기 동래부 동평면에 속하였으며, 1910년 사중면에 편입된 초량동을 제외한 좌천동과 수정동, 범일동은 동래군 부산면에 속하였다.
1914년 동래군 부산면과 사중면이 모두 부산부에 편입되어 부산면이 되었다. 1949년에는 부산부를 부산시로 개칭하였고, 1951년 9월 1일 부산시 초량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57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동구가 설치되었다. 당시 동구는 초량동, 수정동, 좌천동, 대창동 3가, 범일 1·2·3·6·7동의 9개 동으로 이루어졌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66년 1월 1일 초량 1·2·3·4·5동, 수정 1·2·3·4·5동, 좌천 1·2·3동, 범일 1·2·3·4·5동의 18개 동이 확정되었으며, 1970년 7월 1일 초량 4동이 초량 4동·초량 6동으로, 좌천 2동이 좌천 2동·좌천 4동으로 범일 4동이 범일 4동·범일 6동으로 분리되어 21개 동이 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범일 3동 일부가 남구에 편입되고, 일부는 범일 2동과 범일 5동에 편입되며 범일 3동이 폐지되어 20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1982년 5월 1일 대창동 3가가 초량동으로 흡수되고, 수정동 일부가 좌천 3동으로 편입되었으며, 1989년 부산진구 범천동 동천 일부가 동구에 편입되었다. 또 1993년에는 중구 영주동[초원 아파트] 일부가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였다. 1998년에는 좌천 1동과 좌천 2동을 통합하여 좌천 1동으로, 좌천 3동과 범일 5동을 통합하여 범일 5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17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2008년 초량 4동, 초량 6동을 통합하여 초량 6동으로, 수정 2동, 수정 3동을 통합하여 수정 2동으로, 범일 4동, 범일 6동을 통합하여 범일 4동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현재 14개 동을 관할하고 있다.
[자연 환경]
동구의 북서쪽에는 부산의 등줄 산맥인 금정 산맥의 주능선이 있으며 수정산(水晶山)[315m], 엄광산(嚴光山)[504m: 남쪽으로 구덕산과 이어지고 한때 고원견산(高遠見山)으로 불렸으나 1995년 엄광산으로 개칭], 구봉산(龜峰山)[408m: 정상에 봉수대가 있다] 등의 산지가 연속되어 있다. 이들 산지는 오랜 지질 시대의 삭박 작용으로 종순형의 노년 산지를 보인다. 남동쪽이 바다에 연하여 배산 임해의 지형을 이룬다. 북서쪽 산지에서 부산천·초량천·호계천 등의 하천이 발원하여 구의 중앙을 지나 부산만으로 유입하며, 수정산에서 발원한 범천은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안창 마을과 평화 시장을 거쳐 동천에 합류한다.
구봉산에서 발원한 부산천은 수정동과 초량동을 차례로 지나면서 부산만에 유입된다. 증산에서 발원한 좌천은 일명 ‘좌자천’이라고도 불렀다. 하천 유역과 해안 지역, 산기슭 하천 주변을 중심으로 취락이 발달하였다. 현재 이 지역 하천은 상류의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복개되어 있다. 동천은 서면과 옛 조방 일대 주거 밀집 지역 및 시가지 중심부를 관류하고 있다.
이 지역 일대 해안은 거의 매립되어 과거의 해안선은 찾아볼 수 없다. 부산포 일대 해안은 대부분이 산지로 항만 부지가 부족하여 매축이 대규모로 진행되었다. 1913년~1917년에 진행된 부산진 매축 공사로 약 14만 평[0.46㎢]의 매립지가 생겨났다. 현재의 수정동 구관 앞에서 좌천동 앞의 바다이다. 이후 1926년에는 지금의 범일동에서 우암동까지 매립되었다. 시가지의 3분의 1 정도가 이 시기에 매립되었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면적은 10.12㎢이며, 인구는 4만 7,057가구에 총 8만 8,579명으로 남자가 4만 2,991명, 여자가 4만 5,588명이다. 남쪽으로는 중구의 북부와 접하고 부산항에 연하며, 해안 지역은 대부분 매축지로 조성되었다. 동쪽은 남구와 인접하고 또 북항과 면한다. 서쪽에 서구와 중구, 북쪽은 부산진구와 접한다. 일제 강점기 이후 부산항 부두가 축조되면서 해운 교통의 중심지가 되었다.
일제 강점기 부두 공사는 1941년에는 제3 부두, 1943년에 제4 부두, 1944년에 중앙 부두를 축조하고 임해 철도를 부설하였으며, 1935년부터 북방파제를 축조하였다. 부산역과 부산진역이 있어 철도 교통의 중심지이다. 또한 동구 범일동에는 부산에서 가장 먼저 건설된 입체 고가 도로인 자성 고가로가 있다. 구청 소재지는 수정동으로 14개 행정동과 수정동·초량동·좌천동·범일동 등 4개 법정동을 관할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4.29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면적],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09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2 | 현행화 | [상세정보], [현황] 면적, 가구수, 인구 변경 |
2021.03.1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9.86㎢이며, 인구는 4만 6,003가구에 총 9만 1,061명으로 남자가 4만 4,528명, 여자가 4만 6,533명이다 |
2020.05.22 | 현행화 | [현황]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9.87㎢이며, 인구는 4만 4,657가구에 총 9만 477명으로 남자가 4만 4,416명, 여자가 4만 6,061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