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0년대 이후 부산 지역에서 인간 정서 및 사회 구조에 변화의 분위기를 확산시키려고 전개한 문화 예술 활동. 문화 예술 운동은 ‘한 사회가 요구하는 문제를 사람들의 집단적, 지속적, 계획적인 움직임으로 해결하고자 추구’하는 일련의 복합적인 문화 예술 활동이다. 문화 예술 운동은 상업적인 대중문화, 상류층과 지식 계층에 독점된 고급문화, 전통문화와 같은 기존 문화에 대한 대항문화...
-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의 산성 마을에서 실시된 마을 만들기 사업. 금정산(金井山) 마을 만들기는 주민 스스로 지역 사회의 장기적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자 추진한 산촌형 마을 만들기 사업이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국토해양부에서 지원한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시범 마을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역사와 생태 되살림을 통한 산성 마을 만들기...
-
1980년대 이후 문화 예술 운동의 일환으로, 부산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전개된 공연 운동. 마당극[굿] 운동은 전통 민속극인 탈춤과 서구의 사실주의·서사극·표현주의 등 여러 극 양식과 기타 민간의 연극 예술적 전통을 창조적으로 받아들여 만들어낸 한국 고유의 양식인 마당극[굿]을 통해 실현되는 문화 예술 운동이다. 1960년대 이후 신파와 창극, 악극 등 유랑 극단의 전통이 사라지...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산복 도로 3㎞를 지역 예술가와 지역민의 협업으로 만든 공공 미술 프로젝트. 물만골 프로젝트는 2009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부산 지역의 대표적 산복 도로인 망양로[초량동 일대]에서 진행된 부산광역시 공모 사업[시민과 함께 하는 문화 예술 사업]에 선정되어 오픈스페이스 배 주관으로 지역 예술가들의 협업에 의해 진행된 연구 과제이다...
-
1989년 부산을 비롯한 5개 지역 미술 단체가 제작한 걸개그림을 경찰이 파손한 사건.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전국적으로 민주 노조 운동이 활발해지는 한편 대학가에서는 조국 통일 운동이 열기를 더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88년 12월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 건설준비위원회[약칭 ‘민미련 건준위’]는 지역 간 연대 창작물인 대하 걸개그림 『민족 해방 운동사』를 제...
-
부산광역시의 도시 색채 계획에 의거하여 건축물과 시설물의 외부 도색에 권장되는 36가지의 색깔. 2007년 5월 17일 제정된 「경관법」[법률 제8478호]의 지방 자치 단체의 책무 조항[제4조 1항]에 의해 부산광역시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도시 경관 관리와 보호, 육성을 위하여 도시 색채 계획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시 계획의 수립과 신축 건축물에 대한 색채 관리로 통일...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과 해운대구 좌동에서 매년 두 차례씩 열리는 인문학 강좌. 2005년 KBS 부산방송총국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KBS 고전 아카데미 시민 강좌를 개최하면서 이를 모델로 하여 부산의 인문학 아카데미 설립에 대한 타당성 검토 및 운영 방향 모색이 이루어졌고, 2008년부터 부산 시민 대학을 개최하게 되었다. 부산 시민 대학은 동서양의 고...
-
부산광역시에서 한글 서체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통일된 전산 글꼴[font]. 온·오프라인(On·Off-Line) 전반에 걸쳐 전용 서체 사용으로 통일된 이미지를 구축하여 부산광역시만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부산광역시의 비전(vision)에 대한 명확성을 상승시키며, 심리적·지성적으로 소속감을 고취시키고[정체성 계승 및 강화]자 한다. 또한 문화적 코드인 한글을 통하여 대중...
-
1960~1970년대 부산에서 일어난 연극 활성화를 위한 운동. 부산의 소극장 운동은 1969년 김영송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김영송은 부산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당시 부산의 극단들을 연합하여 새로운 의미의 소극장 운동을 시작하고자 했다. 일찍부터 김영송은 부산 연극의 문제로 ‘연극인을 위한 발표장의 부족’과 ‘재정적·인적 자원의 결핍’을 지적한 바 있었...
-
1970년대 한국 영화의 침체기에 부산에서 전성기를 누린 소형 영화 시대. 1970년대의 한국 영화계는 1960년대보다 훨씬 침체되고 암울한 시기를 맞이하였다. TV의 전국적인 보급으로 영화 산업은 불황에 접어들었고, 유신 정국 하에서의 가혹한 검열로 인한 표현의 제한은 한국 영화를 질적 하락으로 내몰았다. 이렇게 당시 영화 산업적인 면에서 최악의 국면을 맞게 되지만, 이와는 달리...
-
1999년 부산광역시 부산역 광장에서 부산 영화인들이 스크린 쿼터제를 사수하기 위해 전개한 궐기 대회. 당시 스크린 쿼터 축소를 둘러싸고 정부와 영화계가 마찰을 빚고 있었는데, 정부가 한미 투자 협정 타결과 관련해 146일로 돼 있는 스크린 쿼터를 2002년부터 40일에서 60일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스크린 쿼터는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 양보...
-
1989년 부산미술운동연구소에서 개설한 대중적 미술 교육 프로그램. 1984년 무렵 미술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활동가에 의해 시민미술학교가 개최되었으나, 당시의 어려운 문화 운동의 조건과 처지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1989년 초반 부산미술운동연구소는 현장 미술 활동을 구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적 구성을 완료하였다. 이에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현장 미술 활동의 하나로 판화, 만화...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부산진구 가야동 일대에 걸쳐 있는 안창 마을에서 커뮤니티 공공 미술을 실행한 프로젝트. 안창고(雁窓庫) 프로젝트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는 아트 인 시티(Arts in City) 공공 미술 연구 과제로서 전국의 10개 시도에서 공모를 통하여 대상지를 선정한 후 예술 감독의 제안서를 재공모하여 선정·지원한 사업이다. 이를 ‘안창 마을 공공 미술’...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의 부산문화연구회가 주관하는 어린이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 부산문화연구회가 부산 지역의 독서 인구 저변 확대와 독서 진흥, 어린이에게 경제기초 교육을 통한 올바른 금융 알리기를 목적으로 2005년 5월 28일 제1회 어린이 독서 경제 체험 학교를 시작하였다. 국제신문사, 부산광역시 교육청, 부산은행과 함께 진행하고 있다. 매월 1회 부...
-
일제 강점기 이후 현재까지 부산을 비롯한 각지에서 확산된 대안 언어 운동. 에스페란토는 1887년 폴란드인 자멘호프[L. L. Zamenhof, 1859~1917]가 언어 패권주의에 반대하여 창안한 대안 언어이자, 국제적 소통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국제간의 이해와 평화를 추구하고자 만든 국제어이다. 한국인으로는 홍명희가 1910년 중국 상하이에서 에스페란토에 입문한 이래 1920년...
-
한 권의 책을 선정하여 함께 읽고 토론하는 부산 지역 시민 독서 생활 운동. 한 권의 책을 통해 지역 사회가 하나가 된다는 취지로 1998년 미국 시애틀에서 시작된 ‘원북원 시티(One Book One City)’ 운동은 현재 미국 48개주 239개 지역에서 매년 다채로운 책 관련 행사를 열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3년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서산 시민 모두가 책 한 권을 함께 읽...
-
1980년대 부산 지역에 있는 부산가톨릭센터, 프랑스 문화원 등 비상업권 문화 공간을 중심으로 일어난 운동. 1980년대는 군사 정부 시기라 대중문화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을 것 같지만, 사실은 해방 후 최초로 독자적인 문화를 갖춘 정치 세대가 발생한 시기였다. 정치 문제가 실은 문화 충돌이란 것을 예민하게 느낀, 또는 문화의 변동이 시대의 흐름을 바꾼다는 것을 각성한 젊은이들이...
-
부산광역시에서 개최된 전국의 지역 문화 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포럼. 전국의 문화 시설과 문화 재단 관계자, 문화 관련 NGO 대표, 문화 예술인 등이 상호 긴밀한 연대와 지역 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다. “지역 문화, 내일을 연다.”라는 주제로 개최된 제1회 지역 문화 NGO 포럼은 부산문화방송 부설 문화도시네트워크 주관, 지역문화네트워크 및 지역문화NGO...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서 시작된 지역 교육 복지 운동. 2005년 12월 16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지역의 초등학교·중학교 7개교, 해운대교육지원청, 시민 단체인 희망세상[느티나무도서관 운영] 등 총 15개 기관·단체가 모여 희망의 사다리 운동본부의 발대식을 가지면서 시작되었다. 희망의 사다리 운동은 교육에 대한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여 교육 혜택에서...